• 제목/요약/키워드: Lee Chang-dong

검색결과 5,574건 처리시간 0.033초

용성산인(龍城山人) 이창원(李昌遠)의 사상학설(四象學說)과 체질침(體質鍼)에 대한 고찰(考察) (A study on Chang-Won Lee's theory of sasang and acupuncture of constitution)

  • 안창범;윤현민;허재영;권혜연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19권1호
    • /
    • pp.225-235
    • /
    • 2002
  • Objective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review Chang-Won Lee's theory of Sasangand acupuncture of constitution. Methods : We have investigated Chang-Won Lee's unknown literature "Medicine of sassang "(四象醫學). Results : Constitutional acupuncture is based on the diversity of human being and medically developed the response variation to disease and acupuncture. The diversity is due to the Organ's Congenital Formation Variation based on human nature and it is categorized as four from physiology, pathology, symptoms, to therapy. Chang-Won Lee's constitutional acupuncture discriminated constitution of comparison palpations of right and left both sides. He insisted that constitution only four type(Sasang), not exist man of To-Hyoung (土形人) in "young -chu"(靈樞) and his constitutional acupuncture all used Jung-kyuck (reinforcement acupuncture method) and Seong-kyuck(reducing acupuncture method) of Sa-am(舍岩)

  • PDF

'인간'을 바라보는 영화감독의 두 가지 시선 -이창동, 임상수 영화를 중심으로 - (Two Contrasting Views of Film Directors on Human Nature: A Reflection on Films by Lee Chang-Dong and Im Sang-Soo)

  • 류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587-596
    • /
    • 2013
  • 영화는 사람을 담는다. 영화에서의 캐릭터는 감독의 세계관이고 감독의 '사람'에 대한 철학과 관점이다. 이창동, 임상수. 여기, 지독히 '사람'에 집중하는, 하지만 인간을 매우 다르게 바라보는 두 명의 감독이 있다. 이창동 감독이 인간 본연의 모습을 '순수함'에서 찾으며 그것을 회복하고자하는 희망을 담는다면 임상수 감독은 인간에 대해 냉소적이고 허무주의적인 태도를 보이며 역사 속의 인간을 '우연히' 그 시간, 자리에 머무는 존재일 뿐이라고 말한다. 이 글은 이창동 감독의 <초록물고기>, <박하사탕> 등 대표작들과 임상수 감독의 <바람난 가족>, <그때 그 사람들>, <하녀> 등을 통해, 두 감독의 '인간'을 바라보는 상이하고 독특한 시선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과연 그들이 표현하는 '인간의 본질'은 무엇이며 각각의 감독은 서로 어떤 다른 시선을 가지고 있을까?

이창동 영화에 표현된 개인 (Subject Matter in Lee Chang-Dong's Film)

  • 채희주;민경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122-129
    • /
    • 2015
  • 이창동감독의 영화는 인간 개인으로서의 주체 문제에 대해 다루고 있다. 그는 영화 속 주인공들을 통해서 개인으로서 주체가 사회 속에서 어떻게 구조화되는지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프랑스 현대철학자 미셸 푸코의 주체 문제와 상당부분 연결된다고 볼 수 있다. 푸코는 주체가 사회라는 거대한 구조 속에서 자기 주체성을 잃어버리고 객체화된다고 주장한다. 주체는 권력 속에서 소외된다. 또한 주체는 사회적 구조 속에서 정상과 비정상으로 구분된다. 이창동감독은 영화<시>를 통해 자기에 대한 배려를 담은 개인을 보여주고 있는데, 푸코 또한 말년에 자기에의 배려라는 차원에서 주체를 새롭게 해석하려는 시도를 보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창동 감독과 푸코가 공유하고 있는 개인 주체에 관한 문제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창동 작가론 : 윤리를 창조하는 '반복'으로서의 영화 만들기 (Lee Chang Dong : Film Making as a 'Repetition' Creating Ethics)

  • 이현승;송정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116-126
    • /
    • 2012
  • 영화작가로서 이창동은 장르적 자장 안에서 영화를 만들고 있는 한국영화계의 대다수 감독들과 구별된다. 그동안 그의 영화는 관객과의 소통을 위해 느와르, 멜로 등의 장르를 차용해왔지만 최근작 <시>에 이르러서는 장르적 외피를 벗어던진 것처럼 보인다. <초록물고기>부터 <시>에 이르기까지 일관되게 남은 것은 관객의 참여를 요하는 깊은 심도와 시간의 연속을 암시하는 길게 찍은 숏들의 몽타주, 현실성을 강조한 연기 등 리얼리즘적 표현방식이다. 또한 이창동의 영화들은 환영적 동일시를 깨는 방식으로 관객들에게 성찰의 자리를 돌려준다는 측면에서 장르영화의 카운터 시네마로 파악할 수 있다. 이창동의 영화에서 볼 수 있는 '낯설게 하기'는 핸드헬드, 판타지, 미장아빔, 응시 되돌려 보내기 등의 영화적 장치로 구현된다. 이 장치들은 텍스트의 재현양식을 폭로함으로써 관객들이 역사적, 정치적 컨텍스트를 성찰하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시>,<오아시스>,<밀양> 등의 분석을 통해 이창동의 영화 만들기 행위는 결국 보이지 않는 '실재'를 상징화함으로써 '윤리를 창조하는 반복충동'이라고 주장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