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ccinum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19초

Notes on the Korean Higher Fungi(XVII)

  • Cho, Duck-Hyun
    • Plant Resources
    • /
    • 제5권1호
    • /
    • pp.51-58
    • /
    • 2002
  • Many higher fungi were collected at Mt.Manrae, Mt.Kirin, Mt.Nam, Mt.Unjang, Mt.Yonsuk, Mt.Minjuji from May, 2000 to June, 2001 and they were identified. As the result, Marasmius buxi, M. epiphylloides, M. hudsoni, Mycena erubescens, Agaricus bisporus var. bisporus, Panellus ringens, Lactarius aquiflus, Leccinum quericinum were newly discovered in Korea. They were designed Korean common names by author.

  • PDF

지리산(智異山) 일대(一帶)의 고등균류(高等菌類) (V) (The Flora of Higher Fungi in Mt. Jiri Areas (V))

  • 조덕현;박성식
    • 한국균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75-185
    • /
    • 1991
  • 1989년 3월부터 1990년 10월까지 지리산 국립공원 일대에서 한국산 고등균류를 약 70여종 채집하여 동정한 결과 미기록 1속과 미기록 12종을 확인 하였으며 이들에 대하여 한국 보통명을 신칭하였다. Tubaria (겨나팔버섯속), Collybia areruata (단풍애기버섯), Hygrocybe calyptraeformis (새벽벚꽃버섯), Tubaria fufuracea (겨나팔버 섯), Amanita hemibapha subsp. javanicea (노란띠쟈바버섯), A. alboflabescens (백황색광대버섯), A. neoovoidea (신알광대버섯), Leccinum holopus var. holopus (으뜸껄껄이그물버섯아재비), L. griseum (회색껄껄이그물버섯), Tylopilus nigropurpureus (흑자색쓴맛그물버섯), Lactarius zonarius var. zonarius (당귀젖버섯아재비), L. necator (독젖버섯), Russula alboareolata (흰둘레무당버섯).

  • PDF

소나무목(林)과 포플러목(林)에 공생(共生)하는 외생균근균(外生菌根菌)의 동정(同定) 및 비교(比較)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mposition of Ectomycorrhizal Fungi in Pine and Poplar Stands)

  • 이경준;김양섭
    • 한국균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9-13
    • /
    • 1983
  • 수원근처(水原近處)에 있는 리기테다소나무림(林) 포플러(은사시나무)림(林)의 임상(林床)으로부터 1981년(年) 6월말(月末)부터 11월초(月初)까지 그리고 1982년(年) 7월초(月初)부터 9월말(月末)까지 외생균근(外生菌根)을 형성(形成)하는 버섯을 채취(採取)하여 그 분포(分布)를 구명(究明)하고 두 임분(林分)의 균종(菌種)의 상이점(相異點)을 비교(比較)하였다. 소나무림(林)에서는 15속(屬) 39종(種)을 구명(究明)하였으며, 가장 흔한 속(屬)은 Amanita, Lactarius, Russula, Laccaria이었다. 포플러림(林)에서는 8속(屬) 16종(種)을 분류(分類)하였으며, 이 중 13종(種)은 소나무림(林)에서도 채취(採取)된 동일균종(同一菌腫)이였으며, 가장 흔한 속(屬)은 Amanita, Lactarius, Russula, Laccaria이었다. Boletus는 두 임분(林分)에서 한 균근(菌種)(붉은 그물버섯)만이 확인(確認)되었다. Lactarius는 포플러림(林)에서 관찰(觀察)되지 않았다. 1982년도(年度) 채집중(採集中) 한국말기록종(韓國未記錄種)인 Cantharellus lutescens를 소나무림(林)에서 채취(採取)하여 확인(確認)하였다.

  • PDF

한국고등균류기(韓國高等菌類記) (IV) (Notes on Korean Higher Fungi (IV))

  • 이지열;김병각;조덕현
    • 한국균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3-47
    • /
    • 1978
  • 1977년(年) 4월(月)부터 1977년(年) 10월(月)까지 소백산(小白山) 및 영주지방(榮州地方)에서 채집(採集)된 고등균류(高等菌類)를 동정(同定)한 결과 미기록종(未記錄種)은 다음과 같다. Collybia dryophila (BULL. ex FR.) QUEL.,(굽은대애기 허섯), Mycena polygramma (BULL. ex FR.) S.F. GRAY.(세로줄애주름), M. pura (PERS. ex FR.) $QU{\acute{E}}L$.(맑은 애주름 버섯) Crepidotus nephrodes (BERK. et CURT.) SACC.(회색콩팥노란귀버섯) lnocybe montana KOBAY.(산땀 버섯) I squamulosa KOBAY.(비늘 땀 버섯), Rhodophyllus ater HONGO(검은 외대버섯), R. violaceus (MURR.) SING.(보라빛 외대 버섯), Leccinum aurantiacum (BULL.) S.F. GRAY. (등색 그물버섯), Suillus aeruginascens(SECR.) SNELL.(녹슬은 그물버섯) 저자들은 아산재단이 연구비의 일부를 보조하여 준데 대하여 사의를 표한다.

  • PDF

버섯중 항균물질의 검색 및 개발에 관한 연구 -버섯중 항진균활성 물질의 검색 (I)- (Studies on the Screening and Development of Antibiotics in the Mushroom -The Screening of Antifungal Components in Basidiomycetes (I)-)

  • 민태진;김은미;이선정;배강규
    • 한국균학회지
    • /
    • 제23권1호통권72호
    • /
    • pp.14-27
    • /
    • 1995
  • 32종의 한국산 버섯을 석유에테르, 80% 에탄올 및 증류수로 각각 추출하여 항진균 활성을 검색한 결과, 수원그물버섯, 거친껄껄이그물버섯, 나팔버섯, 해면버섯, 주걱간버섯 및 석이버섯의 에탄올 추출물 그리고 큰낙엽버섯의 석유에테르 추출물이 효모에 대하여 활성을 보였다. 특히 석이버섯의 에탄올 추출물은 C. neoformans균에 큰 활성을 보였으며, 그 MIC 값은 $600\;{\mu}g/ml$ 이었다. 애광대버섯, 거친껄껄이그물버섯, 나팔버섯, 해면버섯, 주걱간버섯, 큰낙엽버섯 및 석이버섯의 에탄올 추출물과 석유에테르 추출물은 곰팡이에 대하여 각각 항균활성을 보였다. 또한 나팔버섯의 에탄올 추출물은 M. gypseum균에 대하여 $1,000\;{\mu}g/ml$ 이었고, 석이버섯의 에탄올 추출물은 T. mentagrophytes, M. gypseum 및 P. oryzae균에 대하여 각각 $300\;{\mu}g/ml,\;600\;{\mu}g/ml$$600\;{\mu}g/ml$ 였으며, 이 버섯의 석유에테르 추출물은 M. gypseum균에 대하여 $300\;{\mu}g/ml$의 MIC 값을 보였다.

  • PDF

Screening Test of Wild Mushroom Methanol Extracts for Fibrinolytic and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 김준호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45-249
    • /
    • 2007
  • We investigated the fibrinolytic and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of 55 wild mushroom methanol extracts. Among them, 14 mushrooms showed fibrinolytic activity. In particular, Amanita virgineoides showed the greatest enzyme activity (3.9 plasmin units/ml) by a fibrin plate assay. The fibrinolytic activities of Suillus pictus and Polypolellus varius were 3.8 plasmin units, and the activity of Gomphus fujisanensis was 2.8 plasmin units. Leccinum extremiorientale and Xerocomus nigromaculatus had the same activity with 2.3 plasmin units. In a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test, Lactarius sp. showed the greatest inhibitory activity at 97.3%. The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ies of Clitocybe odora, Xerocomus nigromaculatus, Melanoleuca melaleuca, Suillus pictus, and Gyroporus castaneus were 84.3%, 77.9%, 74.6%, 68.7%, and 65.4%,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results, because Suillus pictus and Xerocomus nigromaculatus have strong fibrinolytic and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ies, the two mushrooms will be used as materials for the development of new biofunctional food.

  • PDF

야생(野生)버섯의 기생균(寄生菌)인 이분지털곰팡이의 출현(出現)과 배양(培養) 특성(特性) (Occurrence of Syzygites Megalocarpus on Wild Mushrooms and Its Cultural Characteristics)

  • 가강현;박현;윤갑희;박원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5호
    • /
    • pp.691-696
    • /
    • 2000
  • 이분지털곰팡이(Syzygites megalocarpus)는 송이, 껄껄이그물버섯, 노란분말그물버섯, 냄새무당버섯, 암회색광대버섯아재비에서 출현하고 있었다. 이분지털곰팡이는 Malt Extract Agar, Mueller Hinton Medium, Potato Dextrose Agar에서 잘 자랐으며, 생육 최적온도는 $23^{\circ}C$ 내외, 최적 pH는 6.0 이었다. PDA배지에서 이분지털곰팡이는 2일째에 NaCl이 포함되지 않은 대조구에 비하여 5% NaCl에서는 생장이 36.5% 억제되었고 8% 이상 NaCl에서는 생장이 거의 없었다. 그러나 5일째에는 10% NaCl에서도 1.1cm 생장을 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송이균은 NaCl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생장이 감소되어 2.5%에는 거의 생장하지 않았다. 따라서 이분지털곰팡이는 고농도의 NaCl에서도 생육이 가능하므로 송이 버섯에서 발생한 이분지털곰팡이를 NaCl 처리로 방제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울릉도의 균류상 (V) -기타 주름버섯류에 대하여- (Fungal flora of Ullung Island (V) -on additional agaric fungi-)

  • 정학성
    • 한국균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96-208
    • /
    • 1994
  • 1992년 7월과 9월 2차례에 걸쳐 채집한 84점의 주름버섯류 표본을 최근의 분류체계에 따라 정리한 결과 이들 표본의 약 3/4이 최종적으로 동정되어 주름버섯목의 11과, 21속, 35종, 1아종으로 확인되었다. 그중 3종과 1아종은 국내 미기록종으로 판명되어 우리나라의 균류목록에 새로이 추가되었으며, 이들 미기록종 균류는 송이과의 Mycena luteopallens(신칭(新稱), 너도애주름버섯), Mycena macrocystidiata(신칭(新稱),소녀애주름버섯), 광대버섯과의 Amanita hemibapha ssp. similis(신칭(新稱), 회색달걀버섯), 및 난버섯과의 Pluteus petasatus(신칭(新稱), 흰난버섯)이었다. ‘울릉도의 균류상’ 제 4보에서 보고한 균류중 가장 흔한 종류는 느타리(Pleurotus ostreatus), 졸각버섯(Laccaria laccata), 뽕나무버섯 (Armillariella mellea), 긴대애주름버섯(Mycena elegans), 그리고 갈색먹물버섯(Coprinus micaceus)등 5종이었으며, 본 연구를 통하여 새로이 애기버섯 (Collybia dryophila)과 족제비 눈물버섯(Psathyrella candolleana)이 울릉도 주름버섯류의 우점종으로 추가로 확인되었다. 많은 종류의 주름버섯류들이 활엽수와 침엽수 아래의 부식토에서 자라고 있었으며 일부는 활엽수의 둥치, 밑동, 기부, 노출 뜨는 매몰 뿌리, 매몰 가지, 솔방울이나 너도밤나무 열매, 또는 이끼낀 수피에 서식하고 있었다. 목재서식 주름버섯류에는 느타리속(Pleurotus), 귀버섯속(Crepidotus), 애주름버섯속(Mycena), 난버섯속(Pluteus), 눈물버섯속(Psathyrella), 개암버섯속(Naematoloma), 및 비늘버섯속(Pholiota)의 균류들이 있으며, 주로 너도밤나무(Fagus crenata var. multinervis), 마가목(Sorbus commixta), 및 섬피나무(Tilia insularis)가 이들의 가장 좋은 숙주였다. 반면에 우산고로쇠 (Acer okamotoanum)와 소나무(Pinus densiflora) 는 깔대기버섯속(Clitocybe), 애기버섯속(Collybia), 꽃버섯속(Hygrocybe), 끈적버섯속(Cor tinarius), 자갈버섯속(Hebeloma), 땀버섯속(Inocybe), 젖버섯속 (Lactarius), 및 무당버섯속 (Russula)과 같은 토양서식 주름버섯류의 생장에 좋은 환경을 제공하고 있었다. 육지의 주름버섯류 균류상에 비하여 울릉도의 균류 다양성은 매우 제한되어 있었으며 육지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낙엽버섯속(Marasmius), 벚꽃버섯속(Hygrophorus), 광대버섯속(Amanita), 갓버섯속(Lepiota), 주름버섯속(Agaricus), 먹물버섯속(Coprinus), 볏짚버섯속(Agrocybe), 비늘버섯속(Pholiota), 끈적버섯속(Cortinarius), 땀버섯속(Inocybe), 외대버섯속(Entoloma), 무당버섯속(Russula), 젖버섯속(Lactarius), 그물버섯속(Boletus), 쓴맛그물버섯속(Tylopilus), 및 껄껄이그물버섯속(Leccinum)의 균류 분포는 매우 빈약하거나 전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울릉도에서는 일부 우점종들이 섬전역을 통하여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반면에 미기록종을 포함한 일부 고유종들이 울릉도 균류상의 특징을 규정짓고 있었다.

  • PDF

액체배양 시 탄소원의 종류에 따른 외생균근균의 균사생장 특성 (Mycelial Growth of Ectomycorrhizal Fungi by Different Carbon Sources in Liquid Culture)

  • 전성민;전하샘;가강현
    • 한국균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50-158
    • /
    • 2014
  • 4종의 외생균근균이 MMN 배지상에서 7종 단소원에 대한 이용능력을 조사하였다. 60일간 순수배양한 결과, 다색벚꽃버섯(KFRI 1987), 향버섯, 접시껄껄이그물버섯(KFRI 1194), 송이(KFRI 1256)는 dextrin에서 균사 생장이 우수하였다. 다색벚꽃버섯, 향버섯(KFRI 1676), 접시껄껄이그물버섯은 pectin에서 균사 생장이 가장 낮았다. 송이(KFRI 1256)를 제외한 7개의 균주들은 heteroglycan(pectin)보다 homoglycan계 탄소원(starch, dextrin)의 이용률이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균 배양 후 배지의 pH 값은 배양 전보다 최소 1.1~최대 3.0 범위까지 감소하였다. 외생균근균 배양체의 형태적 특징을 조사한 결과, 모든 탄소원 시험배지에서 백색 균사체가 우세하였으나 탄소원의 종류에 따라 황색, 갈색, 자주색 계열의 다양한 균사체가 관찰되었다. 접시껄껄이그물버섯은 4~5종류의 탄소원에서 single colony의 형태로 생장한 반면, 이외 대부분의 균주들은 6종의 탄소원에서 multiple colony의 형태로 생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