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rning engagement

검색결과 236건 처리시간 0.028초

중학생의 학업성취만족도와 학업열의 사이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Grit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satisfa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Academic Engagement)

  • 권은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2호
    • /
    • pp.225-230
    • /
    • 2021
  • 본 연구는 중학생의 학업성취만족도와 학업열의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한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창원시 소재의 중학생 575명을 대상으로 학업성취만족도, 학업열의, 그릿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분석은 주요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그릿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Baron&Kenny의 분석절차에 따라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매개효과의 유의성은 Sobel test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상관분석 결과 학업성취만족도와 그릿 및 학업열의는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둘째, 회귀분석 결과 학업성취만족도와 학업열의사이에서 흥미유지와 노력지속은 모두 부분매개하였다. 이는 학업성취만족도가 중학생의 학업열의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릿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이 있음을 의미한다. 끝으로 중학생의 학업열의를 높이기 위해 학업과 관련된 흥미를 향상시키는 교육 및 상담방안과 다양한 학습동기향상프로그램 개발 등 학습상담의 방안을 논의하였다.

How Student Classroom Engagement Affects Students' Study Results in Mathematics Classroom

  • SI, Hai-xia;YE, Li-jun;ZHENG, Yan-fang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2권4호
    • /
    • pp.305-318
    • /
    • 2019
  • To improve students' classroom engagement is not only the demand of curriculum revolution, but also the reflection of learning democracy. Students' responses and thinking are the main manifestations of students' participation in classroom learning. To reduce the amount of questions and increase the opportunities and time for students to think, this study, by employing SPSS, makes attempts to analyze the data by using multivariate GLM analysis to explore the effects of students' responses and thinking on learning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the students learning effect will be promoted through reducing the quantity and increasing the quality of question and adding the thinking opportunities.

YouTube와 Flickr에 사진과 비디오를 공유하는 이용자 동기 연구 (Motivations for Sharing Photos and Videos on YouTube and Flickr)

  • 오상희;신수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27-245
    • /
    • 2017
  • 본 연구는 YouTube와 Flickr에서 비디오와 이미지자료를 웹사이트에 공유하는 이용자의 동기를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소셜미디어 이용자의 정보공유모형에서 제시된 10가지 동기요소 - enjoyment(즐거움), self-efficacy(자기효율성), learning(학습), personal gain(개인적이익), altruism(이타심), empathy(감정이입), social engagement(사회적참여), community interest(공동체이익), reputation(평판), reciprocity(상호협조) - 를 정의하고 YouTube와 Flickr 이용자의 동기조사를 하였다. Amazon Mechanical Turk라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YouTube와 Flickr를 사용하는 이용자들에게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고, 연구결과에 따르면, YouTube와 Flickr 이용자들은 learning과 social engagement에 가장 영향을 많이 받고 있으며, altruism과 reciprocity의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동기로 나타났으나, 다른 동기요소들과의 연관성은 높게 나왔으며, personal gain의 경우 YouTube와 Flickr 이용자 모두에게 가장 낮은 동기요소가 되었으나, 두 이용자 그룹을 서로 비교했을 때는 Flickr 이용자들이 YouTube 이용자보다 personal gain에 영향을 더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용자의 동기를 반영한 YouTube나 Flickr와 같은 서비스디자인이나 인터페이스업그레이드 등에 반영될 수 있다.

경향점수매칭을 통한 과학기술특성화대학 재학생의 학습참여(student engagement) 분석 : 일반 종합대학 이공계열 및 인문사회계열 학생과 비교 (Student Engagement of STEM-specialized Institutions : A Comparative Study Employing Propensity Score Matching(PSM))

  • 변수연;배상훈;한송이
    • 공학교육연구
    • /
    • 제20권3호
    • /
    • pp.13-24
    • /
    • 2017
  • This study investigated student engagement of STEM-specialized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n comparison with students from humanities & social science and STEM majors, respectively. By doing so, the study aimed to find the effects of the characteristics of STEM disciplines and organizational culture of STEM-specialized small-sized institutions on student engagement. The students majoring STEM disciplines, regardless of the organizational types, showed lower reflective-integrative learning experiences compared to students on humanities & social science disciplines. In contrast, students of STEM-specialized institutions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peer relationship and student-faculty interaction in comparison with humanities & social science students and STEM students of general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Finally, the study suggests policy implications for STEM education.

성인간호학의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대한 학습만족도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Learning Satisfaction for Real-Time Online Classes in Adult Nursing)

  • 함미영;임소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80-87
    • /
    • 2021
  • 본 연구는 실시간 온라인 성인간호학 수업에 대한 학습만족도의 영향요인을 확인하여 간호학 교과목의 온라인 강의 설계 및 운영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을 준비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일개 대학 간호학과에서 실시간 온라인 성인간호학 수업을 수강하고 있는 3학년 105명을 대상으로, 2020년 6월 20일부터 7월 30일까지 구조화된 온라인 설문지를 통하여 자료수집을 시행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t-test, One-way ANOVA, Scheffe test, Pe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학습몰입은 3.07점(5점 척도), 수업참여는 3.46점(5점 척도), 학습만족도는 3.88점(5점 척도)으로 나타났다. 학습만족도는 학습몰입(r=.41, p<.001), 수업참여(r=.56, p<.001)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본 연구 대상자의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수업참여(��=.47), 성인간호학 수업에 대한 흥미정도에서 매우 높음(��=.21), 높음(��=.20) 순이었으며, 설명력은 34%로 분석되었다(F=14.53, p<.001). 따라서 본 연구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학습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주요요인은 수업참여로, 적극적인 수업참여를 이루어지기 위한 방안 및 교육방법을 개발하여 간호대학생의 학습성과 및 학습목표의 효율적인 달성을 기대해 본다.

공학교육에서 학습자 질문 촉진을 위한 온라인 소통 창구의 활용과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tilization and Effect of Online Communication Channels to Promote Learner Questions in Engineering Education)

  • 홍수민;유재혁;김한휘;임영섭;임철일
    • 공학교육연구
    • /
    • 제26권4호
    • /
    • pp.11-21
    • /
    • 2023
  • In engineering education, stimulating students' questions and encouraging learning participation are crucial for achieving higher-order thinking abiliti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use and effect of an online communication channel in fostering engineering students' questioning abilities. Consequently, in this research, we gauged students' satisfaction with an engineering class that implemented a communication channel, and scrutinized the changes in their perceptions regarding the significance of questions, their engagement in learning, and their academic self-efficacy. In addition, we interviewed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lass. The outcomes are as follows: Firstly, student satisfaction improved compared to the previous semester's class where the communication channel was not utilized. Secondly, learners'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asking questions positively escalated, alongside their actual frequency of posing questions. Thirdly, there was an improvement in learners' active engagement in their studies and their academic self-confidence.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suggest that communication channels should be employed to motivate learners to pose questions and involve students in effective learning.

문헌고찰을 통한 물리적 도구와 가상도구의 사용이 과학 개념학습에 미치는 시사점 (Implications of Using Physical and Virtual Tools in Learning Science Concepts from a Literature Review)

  • 강석민;김성연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7권2호
    • /
    • pp.154-166
    • /
    • 2023
  • 물리적 도구와 가상도구가 가진 서로 다른 도구적 특성은 사용자의 지식획득과 개념 이해에 있어 각기 다른 기제로 작용하여 학습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왔다. 본 개관연구는 문헌고찰을 통해 물리적 도구와 가상도구의 사용을 통한 학습과정을 도구가 부여하는 행동유도성의 관점과 인지적 개입의 깊이에 따른 관점에서 정리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기존에 수행된 물리적 도구와 가상도구의 사용을 통한 학습수행 정도를 비교한 연구의 결과들을 재해석하였다. 비록 물리적 도구와 가상도구의 사용에 있어 각기 다른 행동유도성이 관여되긴 하지만 실제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가상도구를 사용하느냐 혹은 물리적 도구를 사용하느냐가 아니라, 도구가 제공하는 새롭고 부가적인 정보의 양과 학습자가 도구를 이용한 다양한 학습활동을 통해 개념을 이해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인지적 개입의 깊이에 달려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교사들이 물리적 및 가상도구를 사용하여 학생들의 개념 이해를 돕기 위한 학습 시 행동유도성과 인지적 개입의 관점에서 수업 계획을 세울 때 고려해야 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로봇 활용 SW융합교육에서 SW효능감이 컴퓨팅 사고력, 융합인재소양에 미치는 영향: 흥미와 학습참여의 이중매개효과 (Effects of SW-Efficacy on Computational Thinking and STEAM Literacy in Robot-utilized SW Convergence Education: Dual Mediation Effects of Interests and Learning Engagement)

  • 허미선;이정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1-14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로봇 활용 SW융합교육에서 SW효능감이 컴퓨팅 사고력, 융합인재소양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관계에서 흥미와 학습 참여의 이중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중학교에 재학 중인 146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자유학기제 로봇활용 SW융합교육을 진행한 후 SW효능감, 컴퓨팅사고력, 융합인재 소양, 흥미, 학습참여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이중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SPSS macro process를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SW효능감은 컴퓨팅 사고력, 융합인재소양에 유의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흥미는 SW효능감과 컴퓨팅 사고력, 융합인재소양의 관계를 매개하지 않은 반면, 학습참여는 SW효능감과 컴퓨팅 사고력, 융합인재소양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셋째, SW효능감은 흥미와 학습참여를 이중매개 과정을 거쳐 컴퓨팅 사고력과 융합인재소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로봇 활용 SW융합교육에서 컴퓨팅 사고력과 융합인재소양을 향상시키기 위한 SW효능감과 흥미 및 학습참여의 역할을 제시하고, 수업 설계 및 수업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기술 기반의 글자교구재 디지털 앱 개발 사례와 교육효과 평가: 학습동기, 학습만족도, 학습몰입도를 중심으로 (An Augmented Reality-Based Digital App as an Educational Tool for Foreign Language Learning and the Evaluation of Its Learning Effect: Towards an Examination of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Engagement)

  • 김새론;원은진;김형기;윤필중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41-157
    • /
    • 2023
  • The present work aimed to present the development of 'Funt', the augmented reality-based digital app as an educational tool for foreign language learning. Our work further evaluated the learning efficacy of the tool by the assessment of the three dependent measures including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involvement. With a learning app of 'Funt', students can use AR app to access recognition-based or location-based experiences such that any objects, artifacts, or media appear to be in the app. Students are then able to interact with the digital content by manipulating it to learn more about it. Students's engagement should also increase when they create their own experience in AR to demonstrate their understanding of a particular concept or words. Learning effects were evaluated on survey data collected from a hundred respondents aging six to nine years. One-group design for pre-test and post-test was utiliz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learning efficacy by comparing the non-'Funt' group and the Funt group scores. A pairwise t-Test was performed for pairwise comparisons between two learning group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Funt' group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non-'Funt' group in the measures of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involvement. Overall, our results suggest that 'Funt' attracted the students' attention, provided them with a fun context to learn English vocabulary, and develop positive motivation and satisfaction towards vocabulary learning through AR technology.

깊은강화학습 기반 1-vs-1 공중전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Modeling and Simulation on One-vs-One Air Combat with Deep Reinforcement Learning)

  • 문일철;정민재;김동준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9권1호
    • /
    • pp.39-46
    • /
    • 2020
  • 인공지능(AI)를 교전상황에 활용하는 것은 최근 10년간 국방 분야의 주요 관심사였다. 이러한 응용을 위해서, AI 교전에이전트를 훈련해야 하며, 이를 위해 현실적인 시뮬레이션이 반드시 필요하다. 하드웨어 차원의 현실성을 가진 공중 무기체계 공중전 모델에서 AI 에이전트를 학습한 사례에 대해서 본 논문은 서술하고 있다. 특히, 본 논문은 기총만을 활용하는 공중전 상황에서 적을 어떻게 추적해야하는지 AI를 학습하였다. 본 논문은 현실적인 공중전 시뮬레이터를 작성하여, 에이전트의 행동을 강화학습으로 수행한 결과를 제시한다. 훈련 결과로는 Lead 추적을 활용하여 단축된 교전시간과 높은 보상을 갖는 에이전트의 학습에 성공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