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rning effect

검색결과 4,381건 처리시간 0.03초

Employee Performance Distributions: Analysis of Motivation, Organizational Learning, Compens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Astri Ayu PURWATI;William WILLIAM;Muhammad Luthfi HAMZAH;Rosyidi HAMZAH
    • 유통과학연구
    • /
    • 제21권4호
    • /
    • pp.57-67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ims to measuring the employee performance distributions of company in using relationship analysis between motivation, organization learning, compens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Research design and methodology: The study was conducted on 102 employees as a sample. Data were analyzed using Path Analysi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ith PLS. Results: the research result has shown that motivation and compensation have a positive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le organizational learning has negative and in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urthermore, motivation, organizational learning and motivation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employee performance distribu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as a positive significant effect on employee performance distribution. Results for mediating effect has obtained where organizational commitment mediates the effect of motivation and compensation on employee performance distribution, but cannot mediate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learning on employee performance distribution. Conclus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is study can make employees feel comfortable and attached to the company so that employees can perform well to achieve company goals. Motivation and compensation are driving factors in improving employee performance distribution and will achieved if employees have goo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is study, organizational learning is not an important factor in improving employee performance distribution.

이러닝 학습자들의 개인·심리적 요인이 이러닝 학습효과와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ersonal and Psychological Factors of Learners on e-Learning Effect and Intention to Reuse)

  • 배재홍;신호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283-289
    • /
    • 2019
  • 본 연구는 이러닝 학습자의 특성을 개인적 요인과 심리적 요인으로 분류하여, 이러한 학습자의 특성이 이러닝 학습효과와 재이용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상북도에 소재한 Y대학과 K대학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연구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학습자의 학년, 자제력, 집중력, 자기효능감이 이러닝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자의 학년, 이러닝 학습경험, 자기효능감, 학습효과가 이러닝 재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대학생들의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콘텐츠 개발과 스스로 학습과정을 관리하고 학습을 진행할 수 있도록 시스템 설계와 교수자의 관리적인 역할이 중요시 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러닝의 학습효과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활용방안과 이러닝 학습자 특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성인대학생의 사회적지지와 대학교육서비스품질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학습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Impact of Adult College Students' Social Support and Service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on Learning Engagement: Focusing on Medium Effect of Learning Motivation)

  • 조재철;김진숙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2호
    • /
    • pp.251-259
    • /
    • 2023
  • 본 연구는 성인대학생의 사회적지지, 대학교육서비스품질,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학습동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성인대학생의 학습효과 향상과 학습촉진 강화를 위한 학습체계 구축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에 위치한 2~3년제와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성인대학생 57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지지와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학습동기는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교육서비스품질과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학습동기는 완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성인대학생의 학습몰입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지지체계 구축과 교육서비스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개발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청소년들의 시간관리능력이 대면 및 비대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부모 학습관여의 조절효과 (Influence of Time-Management Ability on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Learning Flow in Adolescent: Moderating Effect of Parental Learning Involvement)

  • 김은진;정구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643-655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의 시간관리능력이 대면 및 비대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 학습관여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자는 중·고등학교 청소년 363명이었고,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주요 통계 분석 방법은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및 회귀분석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비대면 수업보다 대면 수업에서 학습몰입이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시간관리능력, 부모 학습관여 및 학습몰입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시간관리능력이 대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 학습관여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였다. 넷째, 시간관리능력이 비대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 학습관여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였다. 즉, 부모의 긍정적 학습관여가 높아질수록 청소년들의 시간관리능력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더욱 강하게 하였다. 마지막으로 청소년들의 학습몰입의 증진을 위한 부모의 긍정적 관여의 중요성과 시간관리능력 증진 방법을 논의하였다.

학업소진이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습시간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Time on the Effect of Academic Burnout on Self-esteem)

  • 권은경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1호
    • /
    • pp.157-164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학업소진이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습시간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소재의 중학생 1,045명을 대상으로 학업소진, 학습시간, 자존감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응답을 통해 3가지로 분석하였다. 첫째, 학업소진, 학습시간, 자존감의 집단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업소진과 학습시간은 집단별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자존감은 성별, 학년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상관분석 결과 학업소진과 학습시간은 자존감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이고, 학습시간과 자존감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회귀분석 결과 학업소진이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습시간은 모두 부분매개하였다. 이는 학업소진이 중학생의 자존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을 뿐 아니라, 학습시간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넷째, 성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에서는 남학생의 경우 매개변인인 학습시간이 자존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지만 여학생의 경우는 학습시간이 자존감에 유의미한 통계적 영향을 미치고 있어 여학생만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학년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에서는 중학교 1,2학년은 학습시간이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였으나, 중학교 3학년의 경우 학업시간이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력은 유의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설문을 통해 급격한 성장기인 중학생 시기에는 남학생과 여학생의 성별에 따른 접근 뿐 아니라 학년별로도 학업소진이 학습시간과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는 것을 고려한 교육과 상담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하였다.

HMD기반 몰입형 VR 학습에서 방해요인, 프레즌스, 몰입, 학습효과 사이의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Distraction Factors, Presence, Flow, and Learning Effects in HMD-based Immersed VR Learning)

  • 권종산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1002-1020
    • /
    • 2018
  • Virtual reality (VR) technologies, which have been improved of late, offer experiences closer to reality than before. While VR technologies are expected to be an effective medium if used in learning content that cannot be offered in real life, distraction factors in VR technologies may prevent the users' presence and flow, making these technologies ineffective. Therefore, this study, through experiment and observation, analyzed the effect of distraction factors on the user's experience perception and learning effect when using HMD-based immersive VR. Experimental results revealed that the distraction factors were shown to have a negative, albeit not generally significant (except for tactile interactivity), effect on vividness, tactile interactivity, locomotive interactivity, presence, and flow. Ultimately, they were shown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learning.

Immersive Learning Technologies in English Language Teaching: A Meta-Analysis

  • Altun, Hamide Kubra;Lee, Jeongmi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6권3호
    • /
    • pp.18-32
    • /
    • 2020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erform a meta-analysis of the learning outcomes of immersive learning technologies in English language teaching (ELT). This study examined 12 articles, yielding a total of 20 effect sizes. The Comprehensive Meta-Analysis (CMA) program was employed for data analysis.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overall effect size was 0.84, implying a large effect size. Additionally, the mean effect sizes of the dependent variables revealed a large effect size for both the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s. Furthermore, the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moderator variables such as sample scale, technology type, tool type, work type, program type, duration (sessions), the degree of immersion, instructional technique, and augmented reality (AR) type. Among the moderators, the degree of immersion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suggested that immersive learning technologies had a positive impact on learning in ELT.

자유글쓰기(Free Writing)를 활용한 이공계 글쓰기 수업의 효과 (Effect of Free Writing on Engineering and Science Writing)

  • 김혜경;최원영
    • 공학교육연구
    • /
    • 제22권1호
    • /
    • pp.48-54
    • /
    • 2019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free writing in writing class targeted for engineering students on their writing skills. To assess the effects, we have asked 100 engineering students from writing class to write free writing, classifying them as the test group(N=50) and the control group(N=50). We have also compared their learning effect, their writing ability, and learning satisfaction via pre and post intervention surveys. The results showed higher change in learning effect, interest in writing, learning attitude, writing ability, learning satisfaction in the test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is positive change proves that free writing is a significant teaching method in writing class for engineering and science students.

다문화가정 중3 청소년의 성취동기가 학교학습활동적응에 미치는 영향: 진로태도 매개효과 (Impact of the Achievement Motivation of Middle School Teenag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on their Adaptation to School Learning Activities: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Attitude)

  • 김혜금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1권4호
    • /
    • pp.663-671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whether the achievement motivation of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their third year of middle school influenced their adaptation to school learning activities. It also explored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attitude on achievement motivation and adaptation to school learning activities. An analysis was performed on data obtained from students in the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who participated in the sixth wave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APS).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ly, achievement motivation exhibit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both career attitude and adaptation to school learning activities. Secondly, the achievement motivation of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ir career attitude both exerted a positive effect on their adaptation to school learning activities. Thirdly,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attitud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aptation to school learning activities and achievement motivation of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as verified.

e-learning에 대한 태도가 e-learning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Impact of the Attitude of e-learning on the Effectiveness of e-learning)

  • 한진환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6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92-98
    • /
    • 2006
  • 본 연구는 e-learning에 대한 태도가 e-learning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과 e-learning에 대한 태도의 선행요인에 대하여 검증하였다. 이 연구를 위한 자료수집은 대학에서 가상강좌를 수강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의 분석은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e-learning에 대한 긍정적 태도가 e-learning 유효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e-learning 학습관리시스템에 대해 지각하는 사용용이성, 학습동기, 학습콘텐츠의 정보품질은 e-learning에 대한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e-learning 학습관리시스템에 대해 지각하는 유용성은 e-learning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e-learning을 통하여 학습관리시스템, 학습 콘텐츠와 정보품질이 제공되어야 하며 그리고 학습자의 학습동기가 중요한 수단으로 활용되어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