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rning Mentoring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34초

미래학습에서의 Learning by Teaching 적용가능성 (Reconsidering the Concept and Potential of Learning by Teaching)

  • 최효선
    • 의학교육논단
    • /
    • 제23권1호
    • /
    • pp.3-10
    • /
    • 2021
  • Learning by teaching (LbT) has long been recognized as an important learning behavior that constructs meaning based on interactions between learner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meaning of LbT as an important learning activity for future implementation in education. LbT is based on the 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y and sociocultural learning theory, as developed by scholars including Vygotsky. These frameworks value the construction of meaning based on language, and LbT is reported to be effective in constructing meaning. In addition, within the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posited by Vygotsky, learning through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improves academic achievement, higher-order thinking, deep learning, and reflective learning. LbT also promotes students' learning presence, and strengthens various competencies such as collaboration and communication skills. Interactive behavior between learners in the form of LbT has been explored as an approach to teaching and learning, with methods including peer learning, peer tutoring, peer teaching, peer mentoring, Lernen durch Lehren, and peer-assisted learning. LbT has also been applied as a learning method. In the future, LbT has boundless potential to improve learning through activities such as flipped learning or online learning based on interactions between learners.

IT 개발자 대상 학습플랫폼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f Learning Platform for IT Developers)

  • 이지은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147-158
    • /
    • 2021
  • The digital transformation and COVID-19 are also causing major changes in teaching-learning methods. The biggest change is the spread of remote training and the emergence of various innovative learning platforms. Distance education has been criticized for not meeting technology trends and field demands..However, the problem of distance education is being solved through a system that supports various interactions and collaborations and supports customized learning paths. The researcher conducted a case study on domestic and foreign learning platforms that provide non-face-to-face ICT education. Based on the case study results, the researcher presented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a learning platform that effectively supports non-face-to-face learning. In common, these sites faithfully supported the basic functions of the information system. In addition to learning progress check and learning guidance, some innovative learning platforms were providing differentiated functions in practice support, performance management, mentoring, learning data analysis, curation provision, and CDP support. Most learning platforms supported one-way, superficial interaction. If the platform effectively supports a variety of learning experiences and provides an integrated learning experience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user satisfaction with the learning platform, intention to continue learning, and achievement will increase.

웹 기반 원격교육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시스템 상호작용의 조절효과 관점에서 (The Effects of Web Based Distance Learning upon Learning Achievement: The Moderating Effects of System Interactions)

  • 김인재;박의준;고완영;이연정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18권2호
    • /
    • pp.111-126
    • /
    • 2009
  • A high-speed Internet has brought a rapid spread of Web Based Distance Learning(WBDL). Even though the WBDL was considered a new methodology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a traditional education, it evolves not as alternatives but as strategic augmenting tools for a traditional face-to-face education. The WBDL systems accommodate diverse services such as e-Learning, e-Mentoring, and Blended Learning in order to give satisfactions to learners and increase the learning effectiveness. This study suggested the WBDL system's and learner's characteristics as two major affecting factors, in which two independent variables were respectively selected. A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motivation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learning achievement was empirically tested.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WBDL sysrem and learners were also tested on the view points of the moderating effects between the learning motivation and the learning achievemen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ediating effects of learning motiv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system interaction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학생 중심 동료 멘토링 교수법에서 수학적 과정에 대한 의사소통학적 접근 (A communicational approach to mathematical process appeared in a peer mentoring teaching method)

  • 최상호;하정미;김동중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0권3호
    • /
    • pp.375-392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의사소통학적 관점에서 학생의 공유와 참여를 핵심가치로 하는 교수법 중에 하나인 동료 멘토링 방법의 변천과정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 지속적으로 강조하는 수학적 과정에 대한 변화의 특징을 명시화하는 것이다. 의사소통학적 접근 방식에서 수학적 과정의 출발점인 동시에 수행의 핵심이라고 볼 수 있는 학습자의 수업 참여를 위해 17년 동안 동료 멘토링 수업 방법의 변화 과정 5단계를 교수법 변화 측면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학적 과정을 위한 교수법 변화와 연관된 요소를 학습 환경, 학습 과정, 평가 측면에서 단계별로 추출하였다. 분석 결과, 학습자의 상호작용을 촉진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실 공동체로 모든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수학적 과정을 위한 교수법 변화와 관련된 특징은 연속적인 상호작용성, 맥락의존성, 양방향성, 교사 역량, 학생 참여 원리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 다섯 가지 원리를 바탕으로 수학적 과정의 효과적 변화의 저변에 깔려있는 원동력으로 공유된 창의성의 원리를 추출할 수 있었다.

임상실습 전 동료멘토링 학습을 적용한 OSCE 프로그램이 간호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과 비판적 사고성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Peer Mentoring Learnings-based Preclinical OSCE program on Self-Confidence on Core Basic Nursing Skills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for Nursing Student)

  • 윤매옥;주연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7호
    • /
    • pp.285-295
    • /
    • 2017
  • 본 연구는 임상실습 전 동료멘토링 학습을 적용한 OSCE프로그램(객관적 구조화 임상시험)을 실시하여 간호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 자신감 및 비판적 사고성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실험설계의 실험연구로 연구대상은 J도 소재 일개 4년제 대학 간호학과 2학년 학생 68명이었으며 연구기간은 2016년 2월부터 2017년 2월까지였다. 연구결과 임상실습 전 동료 멘토링 학습을 적용한 OSCE프로그램(객관적 구조화 임상시험)이 핵심 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과 비판적 사고성향을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이 유의하게 증가시켰고, 중재 후 핵심기본간호술 자신감과 비판적 사고성향 간에 긍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임상실습 전 동료멘토링 학습을 적용한 OSCE프로그램이 간호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 자신감과 비판적 사고성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으므로 이를 토대로 동료멘토링 학습을 적용한 OSCE프로그램의 효과를 비교분석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동적교류 기반 효과적인 멘토링 커뮤니티 구현 (An Implementation of a Mentoring Community System focused on Dynamic Communication)

  • 황신희;박영호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423-432
    • /
    • 2008
  • 최근, E-러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E-러닝 형태의 교육들이 증가하였다. 그 중 현대사회의 지도자 역할인 리더를 양성하는 리더십 교육이 중요해 지고 있다. 리더십 활동은 상담자와 비상담자 간의 관계를 통해 영향을 주기도 하며 받기도 한다. 그러나 리더십 활동은 일방적으로 교육이 이루어지는 E-러닝 학습의 개념과 달라서 구체화하기가 어렵다. 또한, 오프라인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시간과 공간적인 제약을 많이 받게 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교수와 학생이 하나의 주제를 가진 공간에서 멘토와 멘티가 되어 하나의 리더십 커뮤니티를 형성하는 온라인 멘토링 커뮤니티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멘토와 멘티가 자유롭게 만날 수 있을 뿐 아니라 새로운 평가 체계의 도입으로 동적 평가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멘토링 커뮤니티를 설계하고 그 의미와 구현방안을 소개한다.

  • PDF

동료 멘토링 교수법에서 교사의 수업 참여전략과 발문전략 분석 (An analysis of student engagement strategy and questioning strategy in a peer mentoring teaching method)

  • 최상호;하정미;김동중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153-176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동료 멘토링을 이용한 수업에서 교사의 수업 참여전략과 발문전략이 어떻게 학생의 수업 참여와 수학적 개념과 문제해결에 영향을 주는지 분석함으로써 교사가 학생들의 수업 참여를 촉진하는 방법론에 대한 시사점을 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동료 멘토링 방법을 이용하여 수업을 진행하고 있는 중학교 1학년 수업과정 중에서 대표적인 수업을 비디오로 녹화하여 전사하였다. 자료 수집 후 학생들의 수업 참여를 촉진하는 참여전략과 수학적 개념과 문제해결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교사의 발문전략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1학기말 수학 성취도와 2학기말 수학 성취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동료 멘토링에서의 편안한 분위기를 기반으로 하는 학습 환경에서의 다양한 수업 참여전략과 멘토링의 효과성에 따른 교사의 적절한 발문은 학습 과정에서 학생들의 학습 동기를 유발시켜 수업 참여를 촉진하였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효과적인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수학적 개념 형성과 문제해결 과정에 도움을 줌으로써 수학 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학습자의 수업 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교수법과 교사의 역할과 기여를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수업 참여전략과 발문전략을 동시에 고려하는 수업 설계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멘토링을 활용한 회계학 수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ccounting Teaching using Mentoring)

  • 이경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0호
    • /
    • pp.225-230
    • /
    • 2017
  • 본 연구는 한국채택 국제회계기준이라는 변화된 회계환경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전문가적 능력을 갖춘 회계전문가 및 실무자를 양성하기 위한 회계학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질적 연구이다. 전통적 주입식 폐쇄적 교육은 더 이상 글로벌화된 회계환경에 적합한 인재를 양성할 수 없다는 것이 회계실무 현장에서 명확히 입증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전통적인 주입식 교육을 탈피하고 학습자간 또는 교수자와 학습자간에 충분하고 활발한 논의와 토론이 이루어지는 개방적이고 능동적인 회계교육이 정착되기를 기대해 본다.

중학교 교사${\cdot}$학생들의 e-Learning에 대한 인식 연구 (The recognition of e-Learning formiddle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 정상목;오필우;송기상
    • 한국컴퓨터산업학회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519-528
    • /
    • 2005
  • 지식 정보화 시대에서 컴퓨터는 단순한 작업을 하는 도구에서 학습에 적극 활용하는 교육 도구로 급속히 파급되었으며, 컴퓨터를 활용한 e-Learning 은 시공간을 초월한 학습, 표준화된 콘텐츠 보급과 관리, 학습자와 멘토링, 즉각적인 피드백, 역동적인 학습형태를 이루어 낼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여러 교육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중략> 본 연구를 위하여 중학교 교사 150명과 학생 460명을 대상으로 e-Learning의 개념, e-Learning 운영, e-Learning 에 대한 설문조사를 하였다. 연구결과, 교사와 학습자간에 e-Learning 개념에 대한 인식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원인으로는 e-Learning에 대해 직${\cdot}$간접적으로 경험을 해본 교사들과 학생들이 많은 것으로 분석된다. <중략> 본 연구에서 도출된 연구결과에 의하여 향후 효과적인 중학교 e-Learning 활성화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동기식 온라인창업교육의 학습자만족 모델 개발 (A Study on Developing the Model of Learner Satisfaction in Synchronous Online Entrepreneurship Education)

  • 변영조;이상한;김재영
    • 지식경영연구
    • /
    • 제21권2호
    • /
    • pp.119-135
    • /
    • 2020
  • Owing to pandemic (COVID-19), the traditional face-to-face education method has been changed to the non-face-to-face real-time online education methods. Using a real time-based video conference system, synchronous education can be adopted by face-to-face class easily. Specially, it is very important to minimize the difference in learning effects between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in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this study, in order to deriv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satisfaction of learners in synchronous online education, authors collected data from learners taking a synchronous entrepreneurship course. Through previous research, learned the reality of education and the composition of lessons. Spatiotemporal effectiveness, mentor ability, and educational environment influence learning satisfaction. PLS-SEM results revealed that it was confirmed that only spatiotemporal effects affect learner satisfaction. However, the education environment (fluent operation and convenience of function use of real-time based online conference system) effect teaching presence, class structure, and spatiotemporal effects. Through this research, we hope to provide theoretical and practical support for developing effective teacher activities, proper lesson structure, convenient function of the conference system, and learner-centered online learning environment when developing synchronous online clas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