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rning Disability

검색결과 144건 처리시간 0.027초

The Effect of Vespa simillima Extracts on Long-Term Memory and MK-801-Induced Learning Disability in Mice

  • Fujiwara, Yumiko;Kobayashi, Haruo;Kawai, Shigenao;Suzuki, Koichi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15권1호
    • /
    • pp.39-45
    • /
    • 2007
  • Extracts of adult worker bodies of Vespa simillima in 2 % NaCl or acidified methanol were administered orally to mice for 70 days. Following this period, memory at one-day and one-month periods, and the effects on scopolamine-induced amnesia were examined using a step-through passive avoidance task. Changes in MK-801-induced disability after 8 days of training, and in memory one month after the trial were also assessed. Mice treated with the 2% NaCl extract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memory in the behavioral tests one month after the trial, whereas mice receiving the extract in acidified methanol, did not differ from the controls in any trial. The results inidicate that Vespa simillima contains substances acting favorably on the cerebral functions of mammals.

도서관장애인서비스 담당사서를 위한 계속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tinuing Education & Training Program for the Disabled Users Service Special Librarian)

  • 김혜주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73-197
    • /
    • 2015
  • 본 연구는 장애인서비스 전문사서 양성과 전문성 강화를 위한 장애인서비스 전문사서를 위한 계속교육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 담당자와의 인터뷰를 통하여 국립중앙도서관 사서교육문화과에서 수행한 장애인서비스 전문사서 계속교육 강좌를 조사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얻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장애인서비스 전문사서 역량강화를 위한 계속교육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였다. 제안되는 프로그램 모형은 Track 1, 2로 나누었으며, 교육 형태는 사이버형 교육, 집합형 교육, 그리고 혼합형 교육으로 편성하였다.

Recent update on reading disability (dyslexia) focused on neurobiology

  • Kim, Sung Koo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4권10호
    • /
    • pp.497-503
    • /
    • 2021
  • Reading disability (dyslexia) refers to an unexpected difficulty with reading for an individual who has the intelligence to be a much better reader. Dyslexia is most commonly caused by a difficulty in phonological processing (the appreciation of the individual sounds of spoken language), which affects the ability of an individual to speak, read, and spell. In this paper, I describe reading disabilities by focusing on their underlying neurobiological mechanisms. Neurobiological studies using functional brain imaging have uncovered the reading pathways, brain regions involved in reading, and neurobiological abnormalities of dyslexia. The reading pathway is in the order of visual analysis, letter recognition, word recognition, meaning (semantics), phonological processing, and speech production. According to functional neuroimaging studies, the important areas of the brain related to reading include the inferior frontal cortex (Broca's area), the midtemporal lobe region, the inferior parieto-temporal area, and the left occipitotemporal region (visual word form area). Interventions for dyslexia can affect reading ability by causing changes in brain function and structure. An accurate diagnosis and timely specialized intervention are important in children with dyslexia. In cases in which national infant development screening tests have been conducted, as in Korea, if language developmental delay and early predictors of dyslexia are detected, careful observation of the progression to dyslexia and early intervention should be made.

특수 교육을 위한 ICT 기반의 장애 평가 애플리케이션 연구 (A Study on the ICT-based Disability Evaluation Applications for Special Needs Education)

  • 정종문;정대영;황민태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889-899
    • /
    • 2017
  • 컴퓨터 및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특수 교육 분야에서도 ICT 기술을 접목해 시너지 효과를 얻기 위한 다양한 노력과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특수 교육 분야에서 활용 가능한 ICT 기반의 장애 평가 웹사이트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설계하고 구현한 다음 이를 특수 교육 현장에서의 필드테스트를 통해 그 효용성을 확인하였다. 개발한 웹사이트는 평가자가 노트북이나 PC를 이용해 평가 대상자의 자폐 행동이나 학습 장애를 평가할 수 있도록 하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은 평가자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 모바일 기기를 이용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게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평가 결과는 서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되며, 개발한 웹사이트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은 서로 데이터베이스를 공유하므로 쉽게 연동되어 활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 결과는 특수 교육 현장에서 평가 대상자를 지속적으로 평가하고 관찰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Experience of e-Learning during Lockdow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Alharthi, Emad M.;Bagadood, Nizar H.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1호
    • /
    • pp.33-38
    • /
    • 2022
  •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e-learning on the educational level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rom the viewpoint of their teachers.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seven teachers: two working in primary school, two in middle school, and three in secondary school. The research applied a qualitative approach, using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ollowing are required for the effective use of e-learning: firstly, appropriate training courses need to be offered to teachers, students, and families and secondly, it is vital students are provided with the appropriate digital devices to maintain contact with their teachers. The study concludes by recommending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applications and/or programs capable of supporting teachers and students in their use of e-learning.

대학생의 장애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A Study about Factors Influencing on Awareness toward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by Undergraduate Students)

  • 신가인;우예신;박혜연;김정란
    • 재활복지
    • /
    • 제21권4호
    • /
    • pp.177-193
    • /
    • 2017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장애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환경적 요인을 확인하고, 장애인식을 긍정적으로 개선시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편의 표본 추출을 통해 총 1,998명의 대상자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중 설문조사에 동의하지 않았거나 결측값이 있는 41명의 설문을 제외한 총 1,957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설문지는 일반적 특성, 장애관련 경험, 장애인식에 대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장애인식 항목은 4점 Likert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 24.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기술적 통계분석, t-검정, 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응답한 대학생들의 장애인식 총점은 평균 40.52로 긍정적인 점수에 가까웠다. 둘째, 여학생의 장애인식이 남학생보다 긍정적이었으며, 4학년의 장애인식이 가장 긍정적이었다. 셋째, 학과에 따라서는 비 재활관련학과 학생의 장애인식이 재활관련학과 학생의 장애인식보다 유의하게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인 중 장애인이 있거나 지인 중 보건계열 종사가 있는 대학생들의 장애인식이 유의하게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장애인 관련기관에 봉사경험 유무를 기준으로 비교해 보았을 때 봉사경험이 있는 학생의 장애인식이 유의하게 긍정적이었다. 마지막으로 대학생들의 장애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학과, 지인 중 장애인의 유무, 장애관련 기관 봉사경험의 유무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을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이론적인 학습보다 장애인과의 긍정적인 경험을 활성화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장애아 통합어린이집 일반교사의 장애인식 및 보육경험에 관한 연구 (Study on Childcare Teachers' Changes of Disability Awareness and Childcare Experience through the Training for Disability Awareness)

  • 원영미;전지혜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69-192
    • /
    • 2018
  • 본 연구는 변화하는 장애아동의 보육환경 속에서 장애통합 어린이집의 일반 보육교사가 장애인식개선교육을 전후로 어떻게 장애인식 및 장애아 보육실천의 변화를 경험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인천시의 국공립 장애통합 어린이집 일반 보육교사 9명이었고, 3인씩 3그룹의 포커스면담 및 개별 면담을 통해 경험을 듣고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일반보육교사들은 장애인식개선교육 전에 장애아동에 대한 무지함과 막막함, 두려움을 호소하였고, 오히려 비장애아동의 편견 없는 태도로부터 배우기도 하였다. 장애아동에 대한 이해의 필요와 지식에 대한 요구가 높았으며 장애인식개선교육에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교육에 참여한 이후 교사들은 장애아동에 대한 인식변화 및 보육실천의 방식변화를 나타냈다. 인식과 관련해서는 교사들은 장애아동을 더 이해하고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비장애아동과 대등하게 대하고자 노력하게 되었다. 보육실천과 관련해서는 비장애아동과 장애아동 모두와 협력적 파트너쉽을 통해서 함께 통합프로그램을 실천하였고, 비장애아동에게 장애이해 교육을 제공하기도 하였고, 상황에 따라서 부분적 통합보육을 탄력적으로 실시하는 변화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보육현장에서 장애인식개선교육과 관련한 일반 보육교사의 경험에 대하여 해석하고 논의하였으며 장애인식개선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서도 논의 하였다.

장애학생 보조기기 사용 실태 (Status of Assistive Device Availability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

  • 조병모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33-39
    • /
    • 2023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status of the efficient supply of assistive devic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METHODS: A complete investigation was conducted on the request and supply of assistive devic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t th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Welfare. The subjects were 112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applied for assistive device rental. The status of the supply of assistive devices according to the type of disability was investigated. The overall satisfaction with learning support was measured. The questionnaire content was categorized into the following three factors to determine learning support satisfaction: support overall (role, staff, facilities) learning support (learning support, learning counseling, life consultation), assistive device supply (counseling, rental, uses, rental period, maintenance services). RESULTS: The most common typ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physical disabilities 62 (29.38%) and hearing impairments 62 (29.38%).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brain lesions rented manual and electric wheelchairs the most. Learning support satisfaction was evaluated considering the factors support overall, learning and assistive device supply effects. satisfaction of learning suppor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83.5 points. CONCLUSION: The satisfaction with assistive device supply appears to be relatively lower than support overall. Each university will gradually secure assistive devices that suit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장애아동 부모 관점에서 스마트교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방향에 대한 연구 (Policy directions for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y to invigorate smart education in special education)

  • 한동욱;강민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3호
    • /
    • pp.63-68
    • /
    • 2014
  • 본 연구는 장애아동들의 스마트교육 활성화를 위해 장애아동들 부모 관점에서 스마트교육 활성화 정책을 도출하고자 하였으며 도출한 정책을 기반으로 AHP방법론을 사용하여 중요도 분석을 통해 가중치를 제시하였다. 장애아동 부모들은 스마트교육 콘텐츠개발, 인프라지원, 교수 학습 지원, 법률적 기반 마련, 스마트교육 네트워크 확보 순으로 중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장애아동들의 스마트교육 활성화를 위해 하위 정책으로는 다양한 콘텐츠개발, 접근성을 고려한 스마트 기기 개발, 재정지원제도 개선 등이 가중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친화적 캠퍼스를 위한 교육복지시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ducational Welfare Facilities for Disability-friendly Campus)

  • 김학철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4권4호
    • /
    • pp.25-32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design guidelines necessary for creating disability-friendly campuses. To this end, a literature survey and a survey on the current educational welfare facilities for disabled college students were conducted. The fact-finding survey was conducted in writing and visiting evaluations on 19 campuses located in Gangwon-do(provi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college enrollment rate of the disabled has doubled since 2000, but it was found to be half of the enrollment rate based on school enrollment, and the number of students who gave up in the middle is increasing. This is due to an obstacle in the learning environment, so it is necessary to improve welfare facilities. 2)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status of educational welfare suppor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t was found that the overall evaluation result was improved, but the absolute evaluation result was less than 70%, and it was not improved. 3)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intermediate facilities, indoor facilities, sanitary facilities, guidance and other facilities, and unit spaces, it is necessary to expand and improve them due to the lack of disabled parking marks, continuity of access roads, pedestrian safety passages, lifts, and rest areas for the disabl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