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rning Agility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5초

애자일 리더십과 스타트업 조직성과 관계 탐색 : 학습민첩성의 매개효과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gile Leadership and Startup Organizational Performance : Exploring the Mediating Role of Learning Agility)

  • 정병규
    • 벤처혁신연구
    • /
    • 제7권1호
    • /
    • pp.59-75
    • /
    • 2024
  • 4차산업혁명의 진전에 따라 스타트업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는 시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스타트업의 5년내 생존율이 OECD국가보다 낮은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스타트업이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조직성과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전제하에 애자일리더십, 학습민첩성과 스타트업 조직성과의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애자일리더십을 독립변수로, 학습민첩성을 매개변수로, 조직성과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전국의 스타트업 종업원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중 유효한 197부를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실증분석은 Process Macro 4.2를 활용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애자일리더십은 스타트업 조직성과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애자일리더십은 학습민첩성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학습민첩성은 스타트업 조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학습민첩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학습민첩성은 애자일리더십과 조직성과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학술적으로는 스타트업의 조직성과를 향상시킬수 있는 다양한 리더십 스타일 중에서 스타트업의 문화에 맞는 애자일리더십의 유용성을 검정한 것이다. 실무적으로는 이러한 애자일리더십이 조직성과에 영향을 직접 미치기도 하지만 스타트업 종업원의 학습민첩성을 통해서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이는 스타트업 종업원들이 지속적으로 학습하고 적응하도록 장려하는 학습 민첩성 문화를 조성함으로써 스타트업은 생존과 성공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슈 리더십이 혁신 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학습 민첩성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Ag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ssue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 박성열;정병규
    • 벤처혁신연구
    • /
    • 제4권3호
    • /
    • pp.69-87
    • /
    • 2021
  • 본 연구는 불확실성과 복잡성이 증대되고 있는 경영 환경하에서 조직의 장기적 생존에 필요한 혁신 행동에 초점을 맞추어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이슈 리더십이 조직 구성원의 혁신 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신호이론(Signaling theory), 경로-목표이론(Path-Goal Theory), 직무요구-자원이론(Job Demands-Resources Theory) 관점에서 규명하였다. 또한 학습 민첩성 및 학습 민첩성의 하위 구성 요인의 매개 역할을 실증적으로 분석 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다국적 기업에 근무하고 있는 팀장과 팀원 총 252쌍(한국 142쌍, 미국 110쌍)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슈 리더십은 종업원들의 혁신 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학습 민첩성은 이슈 리더십과 혁신 행동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학습 민첩성의 하위 구성 요인인 피드백 추구성향, 정보 지향성, 성찰, 실험성, 민첩성의 각각에 대해 매개효과를 검정하였다. 그 결과 5개의 하위 구성 요인 모두 이슈 리더십과 혁신 행동간에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민첩성의 매개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정보 지향성이 크게 나타났다. 이슈 리더십이 혁신 행동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 관계에서 학습 민첩성의 매개 역할을 규명한 일부 연구는 있지만, 이를 세분화해서 살펴본 경우는 거의 없는 실정에서 본 연구는 학술적인 의미가 있다고 사료 된다. 실무적인 차원에서도 조직의 학습 민첩성 제고를 하고자 할 때 어느 부분을 더 집중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메타인지가 구성원 민첩성에 미치는 영향: 역할확장 자기효능감과 학습민첩성의 직렬다중매개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Metacognition on Employees Agility: Focusing on the Serial Multiple Mediation of Role Breadth Self-efficacy and Learning Agility)

  • 권기정;신제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379-402
    • /
    • 2022
  • 본 연구는 조직 구성원 개인의 메타인지가 구성원 민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유효성을 확인하고, 그러한 관계에서 구성원의 역할확장 자기효능감과 학습민첩성을 경유하는 직렬다중매개 효과를 통한 메커니즘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동일방법편의를 해결하고자 독립변수와 종속변수는 시차를 두고 측정하였고, 직급과 상사와 근무한 기간을 통제변수로 적용하여 변수 간의 관계를 명확하게 검증하고자 하였다. 가설의 검증에서는 300명 이상의 다양한 업종의 기업에 근무하는 직장인들로부터 수집한 478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메타인지는 구성원 민첩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역할확장 자기효능감은 메타인지와 구성원 민첩성의 관계를 정(+)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됐고 셋째, 학습민첩성은 메타인지와 구성원 민첩성을 정(+)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메타인지는 역할확장 자기효능감과 학습민첩성을 직렬 매개하여 구성원 민첩성에 대한 정(+)의 영향이 검증됐다. 또한 메타인지는 구성원 민첩성에 대한 직접효과 보다 역할확장 자기효능감과 학습민첩성을 경유할 때 구성원 민첩성에 대한 영향이 크게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 경영학 분야에서는 실증 연구가 부족했던 메타인지에 대해 최근의 조직 이슈와 관련 있는 구성원 민첩성과 인과 관계를 실증함으로써 기존의 연구를 확장하는 데 의의가 있다. 이와 관련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향후 연구에 대한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군 직무특성 및 개인 학습민첩성과 학습만족도 간의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 Learning Agility and Learning Satisfaction)

  • 최순원;전기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197-210
    • /
    • 2020
  • 학습민첩성은 새로운 환경과 경험 속에서 빨리 학습하여 생각과 행동을 유연하게 변화시키는 의지와 능력이고, 위기를 극복하고 조직의 문제를 해결하는 핵심역량이며, 언제든지 개발 가능하기 때문에, 군(軍)과 같은 조직 집단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개념이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육군 간부의 직무특성과 개인학습민첩성이 학습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를 진행하였다. 상·원사 216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받아 SPSS 24.0을 이용하여 측정변인에 대한 신뢰도과 타당도를 검증하고, 가설에 대해 회귀분석으로 검증한 결과, 직무특성 하위항목 일부(업무과부하)가 부적인 영향을 미치며, 개인 학습민첩성 하위항목 일부(자기인식, 적극적 변화추구)는 학습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군 사이버교육의 효과를 증진하기 위해서는 야전에서 업무가 과부하되지 않도록 조치하고, 군 조직에서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자기인식 및 피드백을 바탕으로 적극적인 변화를 추구하는 개인 학습민첩성을 개발해야 함을 의미한다.

2년제 공학계열 대학생의 학습민첩성과 취업준비행동의 관계: 학습몰입과 교수-학생 간 상호작용 빈도의 조절된 조절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Agility and Job Preparation Behavior of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Moderated Moderation Effect of Learning Flow and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Frequency)

  • 위영은;우혜정;김우철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405-419
    • /
    • 2021
  • 본 연구는 공학계열 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습민첩성과 취업준비행동의 관계에서 학습몰입과 교수-학생 간 상호작용의 조절된 조절효과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년제 P대학 2학년 재학생 206명으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Process v3.5.3 for SPSS를 활용하여 연구 모델의 조건부 효과(직접효과 및 조절된 조절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공학계열 대학생의 학습민첩성은 취업준비행동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민첩성과 취업준비행동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은 유의한 부적 조절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민첩성과 취업준비행동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조절효과는 교수-학생 간 상호작용 빈도에 의해 조절되고, 그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고 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문적·실무적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슈 리더십과 학습민첩성이 스타트업 구성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ssue Leadership and Learning Agility on Startup Employees' Innovation Behavior)

  • 한영찬;이상직
    • 벤처혁신연구
    • /
    • 제6권2호
    • /
    • pp.1-19
    • /
    • 2023
  • 본 연구는 이슈 리더십과 학습민첩성이 스타트업 구성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이슈 리더십의 하위요소로는 이슈 창안, 오디언스 몰입, 이슈 실행으로 세분화하였다. 학습민첩성은 피드백 추구성향, 정보지향성, 성찰, 실험성, 민첩성의 5가지로 세분화하였다. 스타트업에 종사하는 구성원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며, 본 연구에서는 300개의 유효한 설문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가설 검정을 위한 분석은 위계적 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슈 리더십의 하위 요소 중 이슈 창안, 오디언스 몰입 및 학습민첩성의 하위 요소 중 정보지향성, 성찰, 실험성, 민첩성은 스타트업 구성원의 혁신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이슈 리더십의 하위 요소인 이슈 실행과 학습 민첩성의 하위 요소인 피드백 추구성향은 혁신행동에 유의한 영향 관계가 검정되지 않았다. 또한,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의 크기는 실험성, 민첩성, 이슈 창안, 정보지향성, 오디언스 몰입, 성찰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슈 리더십과 학습민첩성이 혁신적인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본 연구에서는 이슈 창안, 오디언스 몰입, 정보지향성, 성찰, 실험성, 민첩성 등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학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비수도권 대학생의 학습민첩성과 대학생활 적응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agility and university life adaptation of university students in non-metropolitan area)

  • 송영선;이희수;임창현
    • 직업교육연구
    • /
    • 제37권6호
    • /
    • pp.16-35
    • /
    • 2018
  • 이 연구는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알아보기 위해 학습민첩성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비수도권에 위치한 대학의 재학생 26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 기술통계, Pearson 상관관계, 요인분석, Chronbach's ${\alpha}$, 다중회귀분석, Baron & Kenny(1986)의 3단계 매개효과 검증, Sobel 검정을 사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민첩성의 하위요인 중 '자기인식'과 '성장지향' 은 대학생활 적응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민첩성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은 완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통해 학습민첩성의 '자기인식', '성장지향'과 '자아존중감'은 대학생활 적응에 중요한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인 면과 실천적인 면에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대학생의 학습민첩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학업도전의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university students' learning agility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challenge-)

  • 이효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197-204
    • /
    • 2019
  • 이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습민첩성, 학업도전, 진로준비행동 간의 영향관계를 파악하고, 학습민첩성이 학업도전을 매개로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여 대학에서 실시하는 진로교육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와 충북의 4년제 대학 4곳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42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고 성실하게 작성된 398부의 설문 응답을 토대로 SPSS 22.0과 AMOS 22.0을 통해 통계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학습민첩성은 학업도전을 매개로하여 진로준비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업도전 역시 진로준비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업도전은 학습민첩성과 진로준비행동의 영향관계에서 완전매개역할을 하므로 이는 학습민첩성은 학업도전을 수반할 때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되며 이는 대학의 효과적인 진로교육을 위해 학습민첩성과 학업도전 등의 변인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치위생학과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학습민첩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lf-Leadership in Dental Hygiene Students on Learning Agility)

  • 김서연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2호
    • /
    • pp.171-178
    • /
    • 2022
  • 본 연구는 치위생학과 대학생의 셀프리서십이 학습민첩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2021년 9월 6일부터 10월 1일까지 K지역에 있는 2개 대학교 치위생학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195부 시행하였다. 통계프로그램은 SPSS win 25.o을 이용하였다. 셀프리더십에 있어서는 대학생활 만족도, 전공만족도, 대인관계, 성격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학습민첩성에 있어서는 흡연예방 및 금연교육, 건강상태, 대학생활 만족도, 전공 만족도, 대인 관계, 성격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치위생학과 대학생에게 셀프리더십이 학습민첩성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 및 교육을 개발하여 학교만족도와 전공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며 다양한 학문간의 접근으로 반드시 융합연구가 앞으로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조직구성원의 학습민첩성, 직원몰입, 경력만족, 적응수행의 구조적 관계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Learning Agility, Employee Engagement, Career Satisfaction, and Adaptive Performance of Employees Corporate Organizations)

  • 전혜지;김우철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6권1_spc호
    • /
    • pp.79-97
    • /
    • 2024
  • 본 연구는 학습민첩성과 적응수행과의 관계에서 직원몰입과 경력만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온라인으로 실시하였고, 데이터 329부의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변인 간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로 학습민첩성이 직원몰입과 적응수행에 통계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직원몰입은 경력만족에 정적 영향을 미치며, 경력만족은 적응수행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직원몰입과 경력만족은 학습민첩성과 적응수행의 관계에서 유의한 매개효과를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HRD분야의 학문적 및 실무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