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Issue Leadership and Learning Agility on Startup Employees' Innovation Behavior

이슈 리더십과 학습민첩성이 스타트업 구성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한영찬 (호서대학교 정보경영학과 ) ;
  • 이상직 (호서대학교 정보경영학과)
  • Received : 2023.06.07
  • Accepted : 2023.06.23
  • Published : 2023.06.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mpirically analyze the impact of issue leadership and learning agility on the innovation behavior of startup employees. Issue leadership was subdivided into issue creation, audience engagement, and issue execution. Learning agility was subdivided into five factors: feedback seeking, information orientation, reflection, experimentation, and agility. The survey was conducted among employees working in startups. In this study, 300 valid surveys were analyzed. Hierarchical regression was used to test the hypothese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were as follows Among the sub-factors of issue leadership, issue creation, audience engagement, and the sub-factors of learning agility, information orientation, reflection, experimentation, and agil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tartup employees' innovation behavior. On the other hand, issue execution, a subcomponent of issue leadership, and feedback seeking, a subcomponent of learning agility,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In addition, the magnitude of the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was in the order of experimentation, agility, issue creation, information orientation, audience engagement, and reflection. Therefore, this study on the effect of issue leadership and learning agility on innovative behavior concludes that issue creation, audience engagement, information orientation, reflection, experimentation, and agility play an important role.

본 연구는 이슈 리더십과 학습민첩성이 스타트업 구성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이슈 리더십의 하위요소로는 이슈 창안, 오디언스 몰입, 이슈 실행으로 세분화하였다. 학습민첩성은 피드백 추구성향, 정보지향성, 성찰, 실험성, 민첩성의 5가지로 세분화하였다. 스타트업에 종사하는 구성원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며, 본 연구에서는 300개의 유효한 설문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가설 검정을 위한 분석은 위계적 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슈 리더십의 하위 요소 중 이슈 창안, 오디언스 몰입 및 학습민첩성의 하위 요소 중 정보지향성, 성찰, 실험성, 민첩성은 스타트업 구성원의 혁신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이슈 리더십의 하위 요소인 이슈 실행과 학습 민첩성의 하위 요소인 피드백 추구성향은 혁신행동에 유의한 영향 관계가 검정되지 않았다. 또한,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의 크기는 실험성, 민첩성, 이슈 창안, 정보지향성, 오디언스 몰입, 성찰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슈 리더십과 학습민첩성이 혁신적인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본 연구에서는 이슈 창안, 오디언스 몰입, 정보지향성, 성찰, 실험성, 민첩성 등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학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권난주, 이지연(2022). 한국 체류 외국인 난민의 정보행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9(1), 351-374. https://doi.org/10.3743/KOSIM.2022.39.1.351
  2. 권세현, 이진구(2020). 직무도전성, 학습민첩성, 업무몰입, 혁신적 업무행동의 구조적 관계: K기업을 중심으로.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52(2), 83-107.
  3. 김미애(2018). 제조업 근로자의 개인 및 직무 변인과 학습민첩성의 관계에서 긍정적 실책관리 문화의 조절효과(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4. 김승곤, 설현도(2021). 국내 혁신행동 연구 동향에 대한 고찰. 무역연구, 17(2), 391-415.
  5. 김영일, 유기웅(2020). 중등교사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학습민첩성, 긍정심리자본, 직무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인문사회21, 11(2), 1225-1240.
  6. 김영현(2023). 호텔종사원의 학습민첩성, 잡크래프팅, 혁신행동과 조직민첩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호텔리조트연구, 22(2), 5-25.
  7. 김재열(2023). 병원관리자의 임파워링 리더십이 CSR 활동, 혁신행동과 관리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리회계학회, 23(1), 83-113.
  8. 김종훈, 신제구(2018). 이슈 리더십이 조직 구성원의 그릿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 및 학습된 무기력의 직렬다중 매개효과을 중심으로. 리더십연구, 9(4), 35-66.
  9. 김창민, 양동우(2022). 스타트업 관련 최근 국내연구 동향 : 연구 변수들에 대한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벤처창업연구, 17(2), 84-97.
  10. 박관후(2019). 학습민첩성이 혁신적 업무행동에 미치는 영향(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11. 박봉제, 신제구(2021). 이슈 리더십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적응적 수행의 매개효과와 리더신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지, 34(4), 615-640.
  12. 박성열, 정병규(2021). 이슈 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학습 민첩성의 매개효과, 벤처혁신연구, 4(3), 69-87. https://doi.org/10.22788/4.3.5
  13. 박정호, 최우제, 백기복(2019), 팀장의 이슈리더십이 팀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영학연구, 48(2), 407-434.
  14. 박종철, 권봉헌(2021). 호텔기업 상사의 포용적 리더십, 구성원의 권력거리, 심리적 안전감, 혁신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호텔리조트연구, 20(2), 47-65.
  15. 백기복(2016). 리더십 리뷰. 서울 : 창민사.
  16. 변영실, 백기복(2015). 이슈리더십과 혁신행동 관계에 있어 직무열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9), 494-508. https://doi.org/10.5392/JKCA.2015.15.09.494
  17. 변영실, 백기복(2018). 호텔관리자를 대상으로 한 이슈 리더십의 다중초점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31(3), 501-529.
  18. 심지현, 채영원(2023). 직무도전성이 학습민첩성을 매개로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5(2), 843-854. https://doi.org/10.37727/jkdas.2023.25.2.843
  19. 양효선, 차동옥(2021). 감성리더십이 구성원들의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계적 에너지와 회복탄력성의 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기업경영연구, 28(2), 49-72.
  20. 여동춘, 김희규(2019). 학교조직의 학습지향성, 교사의 비판적 성찰행동 및 혁신행동과의 인과관계,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23(1), 59-81. https://doi.org/10.18628/urimal.81..201906.1
  21. 여윤희, 홍소정, 이윤수(2022). 초등교사의 학교 조직풍토, 학습민첩성, 혁신행동간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아시아교육연구, 23(2), 333-359. https://doi.org/10.15753/aje.2022.6.23.2.333
  22. 유승완, 이찬(2021). 국내 기업 근로자의 혁신적 업무행동과 관련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농업교육과인적자원개발, 53(2), 107-140. https://doi.org/10.23840/AGEHRD.2021.53.2.107
  23. 윤세현, 김재문, 이진구(2021). 학습민첩성이 혁신적 업무행동에 미치는 영향 : 무형식 학습, 일 몰입의 매개효과. 인적자원개발연구, 24(4), 1-32.
  24. 원정달(2023). 중소기업 CEO의 전략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혁신행동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와 LMX의 조절효과(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25. 이가현, 임상혁(2018). 인사담당자의 심리적 안전감이 혁신 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지. 31(11), 2125-2145.
  26. 이상훈, 조태준(2020). 역할 과부하와 학습민첩성의 비선형적 관계: 변화지향 리더십의 조절효과. 역량개발학습연구, 15(3), 1-29.
  27. 이승율, 박지원(2023), 중소기업 근로자의 학습지원 환경이 혁신적 업무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과 직 원몰입의 매개효과 분석. 역량개발학습연구, 18(1), 67-96.
  28. 이진주, 박세현, 송지훈(2021). 학습민첩성에 대한 메타분석: 최근 10년(2011~2020) 간 발표된 국내 문헌을 중심으로. 기업교육과 인재연구, 23(1), 27-63.
  29. 임세민, 송지훈(2023). 스타트업에서 실패를 통한 학습풍토와 혁신행동의 관계: 지식공유의 매개효과와 과업갈등의 조절된 매개효과, 대한경영학회지, 36(3), 349-373. https://doi.org/10.18032/kaaba.2023.36.3.349
  30. 임창현, 이희수(2017). 상사의 역기능 리더십 행동, 선행요인 그리고 결과에 대한 질적 분석. 직업교육연구, 30(4), 1-22.
  31. 정현석, 홍관수(2018). 행동유도시스템과 혁신행동에서 민첩성의 매개효과 및 인지욕구의 조절효과: 서비스기업을 중심으로. e-비지니스연구, 19(1), 21-38.
  32. 조현진, 조피터성규, 이현소, 이성각(2019). 호텔기업에서 팀리더의 이슈리더십과 혁신행동과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역할 : 광주전남 관광호텔 종사원을 대상으로, 외식경영연구. 22(4), 205-223.
  33. 주경진, 김나정, 백기복(2021). 영업 관리자의 세일즈 리더십 유형이 팀 영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이슈리더십의 증분효과를 중심으로. 리더십연구, 12(4). 3-44.
  34. 최경춘, 남유진, 심선아(2017). 이슈리더십과 직무 성과의 관계에서 상사정치지각의 매개효과와 신바람의 조절 효과 검증. 리더십연구, 8(1), 57-79.
  35. 하유라, 손원숙(2021). 대학생의 피드백 추구 행동과 학업성취와의 관계: 피드백 추구 동기 및 자기성찰의 역할. 교육과정평가연구, 24(2), 127-145.
  36. 현광은, 권은아, 허창구(2021), 조절초점 조직문화가 혁신적 업무행동에 미치는 영향: 긍정적 및 부정적 피드백 추구행동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34(2), 237-260.
  37. 홍봉성, 강종구(2020). 체육조직 구성원의 학습지향성, 비판적 성찰행동 및 혁신행동의 구조관계, 교육문제연구, 26(2), 49-66.
  38. 황미정, 이희수(2022). 상사의 경계확장행동과 구성원의 혁신행동 관계에서 학습민첩성과 자기주도 직무설계의 이중 매개효과. 대한경영학회지, 35(12), 2413-2442.
  39. Afsar, B., Badir, Y. F., & Saeed, B. B.(2014).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Industrial Management & Data Systems, 114(8), 1270-1300. https://doi.org/10.1108/IMDS-05-2014-0152
  40. Alotaibi, S. M., M. Amin & J. Winterton.(2020). Does emotional intelligence and empowering leadership affect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work engagement. Leadership & Organization Development Journal, 41(8), 971-991. https://doi.org/10.1108/LODJ-07-2020-0313
  41. Anseel, F., Beatty, A. S., Shen, W., Lievens, F., & Sackett, P. R. (2015). How are we doing after 30 years? A meta-analytic review of the antecedents and outcomes of feedback-seeking behavior. Journal of Management, 41(1), 318- 348.
  42. Batcheller, J.(2016). Learning agility: Acritical competency. AORN Journal, 103(4), 430-432. https://doi.org/10.1016/j.aorn.2016.02.003
  43. Bedford, C. L. (2011). The role of learning agility in workplace performance and career advance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nnesota, USA.
  44. Dai, G., DeMeuse, K. P., & Tang, K. Y.(2013). The role of learning agility in executive career success: The results of two field studies. Journal of Managerial Issues, 25(2), 108.
  45. Damanpour, F., & Aravind, D.(2012). Managerial innovation: Conceptions, processes, and antecedents. Management and Organization Review, 8(2), 423-454. https://doi.org/10.1111/j.1740-8784.2011.00233.x
  46. De Meuse, K. P.(2017). Learning agility: Its evolution as a psychological construct and its empirical relationship to leader success. Consulting Psychology Journal: Practice and Research, 69(4), 267-295. https://doi.org/10.1037/cpb0000100
  47. DeRue, D. S., Ashford, S. J., & Myers, C. G. (2012). Learning agility: In search of conceptual clarity and theoretical grounding.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5(3), 258-279. https://doi.org/10.1111/j.1754-9434.2012.01444.x
  48. De Stobbeleir, K. E., Ashford, S. J., & Buyens, D. (2011). Self-regulation of creativity at work: The role of feedback-seeking behavior in creative performan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54(4), 811-831. https://doi.org/10.5465/amj.2011.64870144
  49. Jain, R.(2015). Employee innovative behavior: A conceptual framework. Indian Journal of Industrial Relations, 1-16.
  50. Karatepe, O. M., M. Aboramadan & K. A. Dahleez.(2020). Does Climate for Creativity Mediate the Impact of Servant Leadership on Management Innovation and Innovative Behavior in the Hotel Industry?.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mporary Hospitality Management, 32(8), 3497-2517.
  51. Lombardo, M. M., & Eichinger, R. W.(2000). High potentials as high learners. Human Resource Management, 39(4), 321-330.
  52. Messmann, G., & Mulder, R. H.(2012). Development of a measurement instrument for innovative work behaviour as a dynamic and context-bound construct.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ternational, 15(1), 43-59.
  53. Miao, Q., A. Newman, G. Schwarz & B. Cooper.(2018). How leadership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enhance innovative behavior.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78(1), 71-81. https://doi.org/10.1111/puar.12839
  54. Oldham, G. R., & Cummings, A.(1996). Employee creativity: Personal and contextual factors at work.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9(3), 607-634. https://doi.org/10.2307/256657
  55. Renn, R. W., & Fedor, D. B. (2001). Development and field test of a feedback seeking, self-efficacy, and goal setting model of work performance. Journal of Management, 9, 147-164.
  56. Podsakoff, P. M., MacKenzie, S. B., Lee, J., & Podsakoff, N. P.(2003). Common method biases in behavioral research: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recommended remedi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8(5), 879-903.
  57. Scott, S. G., & Bruce, R. A.(1994). Determinants of innovative behavior: A path model of individual innovation in the workpla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7(3), 580-607. https://doi.org/10.2307/256701
  58. Shalley, Zhou, & Oldham.(2004). The effects of personal and contextual characteristics on creativity: Where should we go from here?. Journal of Management, 30(6), 933-958. https://doi.org/10.1016/j.jm.2004.06.007
  59. Smith, B. C. (2015). How does learning agile business leadership differ Exploring a revised model of the construct of learning agility in relation to executive performance(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olumbia, New York.
  60. Suprapti, S., M. Asbari, Y. Cahyono, A. Mufid & N. E. Khasanah.(2020). Leadership style, organizational culture and innovative behavior on public health center performance during Pandemic Covid-19. Journal of Industrial Engineering & Management Research, 1(2), 76-88.
  61. Twenge, J. M.(2013). Teaching generation me. Teaching of Psychology, 40(1), 66-69. https://doi.org/10.1177/0098628312465870
  62. Zhang, X., and K. M. Bartol.(2010). Linking Empowering Leadership and Employee Creativity: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Intrinsic Motivation, and Creative Process Engagement.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53(1), 107-128. https://doi.org/10.5465/amj.2010.48037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