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rner-learner interaction

검색결과 251건 처리시간 0.026초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컴퓨터 실습수업에서의 학습자 만족 연구: 콘텐츠 요인과 교수자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Learner's Satisfaction of Computer Practice Classes by applying BL: Focusing on contents and instructor interactions)

  • 전병호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221-230
    • /
    • 2017
  • BL(Blended Learning) has been presented as a promising alternative learning approach. BL is defined as a learning approach that combines e-learning and face-to-face classroom learning. The adoption of BL in computer practice class is necessary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computer practice class itself. This study proposes a research model that examines the determinants of learner's satisfaction of computer practice classes in BL environmen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computer practices classes contents and instructor interaction were identified as the determinants. The research model is tested using a questionnaire survey of 141 participant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was performed to tes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asurements. The partial least squares (PLS) method was used to validate the measurement and hypotheses. The empirical findings shows that contents easiness and contents constructs are the primary determinants of instructor interaction in BL. Instructor interaction was also found to be related to the learner's satisfaction resulting in re-using. The findings provide insight into the planning and utilizing BL in computer practice classes to enhance learner's satisfaction.

Clicker를 활용한 한국어 교실 상호 작용 증진 방안 연구 (A Study on Method for Promoting Interaction in L2 Classroom Using Clickers)

  • 류혜진
    • 한국어교육
    • /
    • 제25권1호
    • /
    • pp.53-82
    • /
    • 2014
  • This study aims to find the method to promote interaction in L2 classrooms. Active interaction between learner-to-learner and learner-to-teacher in L2 classroom plays an important role in language acquisition. In light of this, L2 classroom would benefit with the help of learning tools such as Clickers which helps learners to express their level of understanding during the process of learning itself. This is because the anonymity of Clickers allows learners to express their needs without the social risks associated with speaking up in the class. It allows for an evaluative feedback loop where both learners and teachers understand the level of progress of the learners, better enabling classrooms to adapt to the learners' needs. Eventually this tool promotes participation from learners, This is in turn, believed to be effective in fostering classroom interaction, allowing learning to take place in a more comfortable yet vibrant way. This study is finalized by presenting the result of an experiment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is approach when teaching pragmatic aspect of the Korean expressions with similar semantic function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learning achievement of learn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found higher than the learners' in a control group. Analyzing the data collected from a questionnaire given to the learners, the study presented data suggesting that this approach increased the scope of interactivity in the classroom, thus enhancing more active participation among learners. This active participation in turn led to a marked improvement in their communicative abilities.

교사의 Multimedia Literacy를 위한 원격교육에서의 Learner - Contents Interaction 구현 방안 (Plan of Realization of Learner - Contents Interaction in Distance Education for Teacher's Multimedia Literacy)

  • 이지영;홍명희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4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45-55
    • /
    • 2004
  • 본 논문은 교사의 Multimedia Literacy 함양을 위한 원격교육 Contents를 제작함에 있어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상호작용 구현 방안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논문에서는 웹 기반 원격교육 상호작용 유형과 그 구현 방안을 새롭게 정리해 보고, 효율적인 원격교육과 상호작용 구현을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한 제안을 통해 논지에 접근하였다. 본 논문은 연구 범위를 교사의 멀티미디어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원격교육 Contents에서의 Learner - Contents Interaction으로 제한하였으며, Java Script, Hash, HTML의 Event, Action, Link, Navigation 등을 활용한 Courseware 개발에 주력하였다. 상호작용이 강화된 이 Courseware는 Open Contents System으로 구축되어 다양한 원격교육 Contents에 다각도로 활용 가능하다.

  • PDF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Academic Achievement in Non-face-to-face Teaching-Learning

  • Koo, Min Ju;Park, Jong Keu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0권2호
    • /
    • pp.162-173
    • /
    • 2022
  • In non-face-to-face teaching-learning, a survey was conducted on 55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chemistry education at university A on the variables (behavioral control, instructor-learner interaction, cognitive learning) affecting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There were relatively larg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m was found to be the factors that influenced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non-face-to-face teaching-learning. The average values of non-face-to-face teaching-learning for each variable were lower than the corresponding values of face-to-face teaching-learning, respectively. As a result of the perception survey on the detailed factors of each variable, negative responses were relatively high in factors such as 'concentration of behavior' in behavioral control, 'level-considered explanation' in instructor-learner interaction, and 'knowledge understanding' in cognitive learning.

온라인 학습에서 교류거리의 구조지각수준과 학습효과의 관계 (The Relations of Learning Effectiveness and the Level of Learner's Structure Perception of Transactional Distance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 김정경;이성일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85-94
    • /
    • 2008
  • 이 연구는 온라인을 기반으로 한 원격교육의 학습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학습자들이 지각하는 교류거리의 구조지각수준에 따른 성별, 학습만족도, 학습지속성, 학업성취도와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학습자의 일반적 특성인 성별에 따른 교류거리의 구조지각수준은 의의 있는 차이가 없었다(p>.05). 교류거리의 구조지각수준과 학습자가 지각하는 수업만족도와 학습지속성과는 통계적으로 의의 있는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학업성취도와는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p>.05). 교류거리의 구조하위영역 중 수업만족도에 대한 영향력이 큰 하위영역은 과정 상호작용이며, 학습지속성에 대한 영향력이 큰 하위영역은 내용구성으로 나타났다.

  • PDF

온라인 협력학습에서 무임승차 학습자의 특성 분석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Free-riding Learner in Online Collaborative Learning)

  • 이은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385-396
    • /
    • 2019
  • 본 연구는 온라인 협력학습에서 무임승차 행동을 보이는 학습자의 특성을 탐색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수도권의 3개 대학 29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수행한 협력학습 활동 자료를 상호작용의 빈도에 메시지의 유형을 구분하여 수집하였고, 상호작용의 수준을 함께 분석하였다. 학습자의 특성은 학습전략, 학습동기, 학업적 지연행동, 학습 성향 항목을 조사였다. 다음으로 협력학습 활동에서 전체 상호작용 빈도가 5회 미만인 대상을 무임승차학생으로 정의하였다. 그 결과 43명의 학생이 무임승차자로 분류되었다. 군집분석을 통해서 학습자 특성을 분류한 결과 5개의 집단으로 구분되었고, 무임승차학생들은 모두 4집단에 포함되었다. 따라서 무임승차학생들의 특징은 4집단의 특징으로 결과를 도출하였다. 4집단이 가지는 학습자 특성은 학습전략의 전 영역이 매우 낮으며, 수행접근목표지향은 높고, 수행회피지향성도 높아서 의도적으로 학습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4집단 학생들은 수행의 시기를 미루는 학업지연행동 수준이 높고, 학업불안이 높으며, 과제가치, 자기효능, 학습신념이 매우 낮아서 자신이 충분히 학업을 수행할 수 없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닝 특성이 학습자의 학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e-learning characteristics on e-learner's scholastic performance)

  • 이헌철;구본희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201-209
    • /
    • 2009
  •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교육공학 관점과 정보기술 관점의 통합적 연구모형을 통해 이러닝 특성과 이러닝 학업성과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닝 시스템 품질, 이러닝 콘텐츠 특성, 상호작용 등을 독립변수로, 이러닝 학업성과를 종속변수로, 학습동기를 매개변수로 설정, 이들 변수간의 관계를 검증해 보았다. 연구를 위해 212명의 사이버 대학 재학생들이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이러닝 특성 중 기술적 품질 컨텐츠 품질 학사지원 등이 학업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이러닝 특성과 학업성과간의 관계에 대한 학습동기의 매개효과 분석 결과, 학습 동기는 양자간의 관계에서 부분적인 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근거 향후 이러닝 이용자들의 학업성과 향상을 위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면 이러닝 학습자들의 다양한 수준과 목적을 고려한 강좌 및 강의내용이 적절히 제공되고, 학습자와 이러닝 시스템 간 상호작용을 원활히 할 수 있는 기능이 적극 제공된다면 이러닝의 실질적 유효성을 훨씬 더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려된다.

학습자 특성을 고려한 스캐폴딩 지원이 PBL 수업 환경에서 교과 흥미와 상호작용 수준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caffolding Support Considering Learner Characteristics on Subject Interest and Interaction Level in PBL Environment)

  • 이은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471-482
    • /
    • 2019
  • 본 연구는 PBL 수업 환경에서 학습자 특성을 고려하여 스캐폴딩을 지원하였을 때 교과 흥미와 상호작용의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서 사범학부 및 일반교직을 전공하는 학생 86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해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구성하였다. 교과 흥미와 상호작용의 사전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1차 PBL 과제를 수행하였다. 이후에 처치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2차 PBL 과제를 수행하며, 실험집단에게는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인지적, 메타인지적, 동기적 스캐폴딩을 제공하였다. 비교집단은 무작위로 인지적, 메타인지적, 동기적 스캐폴딩을 제공하였다. 2차 PBL 과제가 종료된 후에 교과흥미와 상호작용의 사후 수준을 측정하였고, 사전 수준을 공변량으로 선정하여 ANCOVA,를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의 교과흥미와 상호작용 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검증되었다.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온라인 토론학습에서 모달리티가 학습자의 상호작용경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odality and Smart Device on Learner's Interaction Experience in Online Learning)

  • 박세영;신동희;김태양;신재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507-51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태블릿 PC를 활용한 스마트러닝 환경에서 기기의 유형 및 모달리티(modality)가 학습자의 주관적인 상호작용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연구를 통해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모달리티는 사회적 실재감 및 학습자의 상호작용경험(상호작용경험 평가, 다른 학습자에 대한 태도)에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 기기 유형의 경우 사회적 실재감 및 학습자의 상호작용경험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은 없었으나, 모달리티가 사회적 실재감 및 학습자의 상호작용경험에 영향을 미칠 때 조절변인으로서 상호작용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다양한 기기를 활용한 스마트러닝 환경에서 사회적 실재감 및 학습자 간 상호작용을 증진시킬 수 있는 학습 환경의 설계 원리를 제시한다는 측면에서 시사점을 가진다.

반사실적 데이터 증강에 기반한 인과추천모델: CausRec사례 (A Causal Recommendation Model based on the Counterfactual Data Augmentation: Case of CausRec)

  • 송희석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30권4호
    • /
    • pp.29-38
    • /
    • 2023
  • A single-learner model which integrates the user's positive and negative perceptions is proposed by augmenting counterfactual data to the interaction data between users and items, which are mainly used in collaborative filtering in this study. The proposed CausRec showed superior performance compared to the existing NCF model in terms of F1 value and AUC in experiments using three published datasets: MovieLens 100K, Amazon Gift Card, and Amazon Magazine. Compared to the existing NCF model, the F1 and AUC values of CausRec showed 1.2% and 2.6% performance improvement in MovieLens 100K data, and 2.2% and 10% improvement in Amazon Gift Card data, respectively. In particular, in experiments using Amazon Magazine data, F1 and AUC values were improved by 11.7% and 21.9%, respectively, showing a significant performance improvement effect. The performance of CausRec is improved because both positive and negative perceptions of the item were reflected in the recommendation at the same time. It is judged that the proposed method was able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collaborative filtering because it can simultaneously alleviate the sparsity and imbalance problems of the interaction 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