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rner-centered education

검색결과 297건 처리시간 0.038초

사이버가정학습을 활용한 e-PBL 기반 정보통신교육 지도 방안 (A Teaching Method about e-PBL Based Information Communication Education using Cyber Home Study System)

  • 김현배;강정운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291-302
    • /
    • 2009
  • 자기주도적 학습을 통하여 학습효과를 극대화하고자 하는 교육현장에서는 컴퓨터 기능 습득을 중점으로 이루어지는 기존의 정보통신기술교육의 한계점을 인식하고 학습자 중심의 변화된 교육환경을 요구하고 있지만, 일선의 교육현장에서는 여전히 컴퓨터 기능 습득만을 컴퓨터교육내용의 전부로 인식하고 있다. 본 논문은 '울산 사이버가정학습'을 활용하여 학습자 중심의 'e-PBL환경'을 구축하고 효과적인 컴퓨터교과 지도방안을 설계한다. '울산 사이버가정학습'을 웹 환경으로 구축하고, 정보통신기술교육 교재 '우리 생활과 정보'의 각 단원을 재구성하여 학습자 중심의 효과적인 지도방안을 연구한다.

  • PDF

구성주의 수학 수업이 추론능력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2학년 곱셈을 중심으로 - (Effects of Mathematical Instructions Based on Constructivism on Learners' Reasoning Ability - With Focus on the Area of Multiplication for 2nd Graders -)

  • 정현실;김진호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31-61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능력이 다소 처지는 학생들도 구성주의를 바탕으로 한 학습자 중심 수업을 받았을 때 이들도 또한 스스로 지식을 구성할 수 있을 것이라는 구성주의자들의 가정을 확인을 하는데 있다.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연구자들은 구성주의를 바탕으로 한 학습자 중심 수업과 객관적 인식론을 바탕으로 한 교사 중심 수업이 학생들의 추론 능력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였다. 이를 알아보기 각 집단은 각 실험처치를 통해 곱셈을 학습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몇가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 번째, 구성주의를 바탕으로 한 학습자 중심 수업은 학습자들의 추론 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두 번째, 학습자 중심 수업은 학습자들의 연역적 추론 능력에 다소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세 번째, 다소 학습능력이 처지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학습자 중심 수업은 교사중심 수업보다 실험처치 중 학습하지 않은 수학적 지식의 개념 및 원리 이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 PDF

학습자 중심 교수가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학습동기와 성장신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learner-centered instruction on academic stres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learning motivation and growth beliefs)

  • 김종백;김준엽;이성원
    • 교육심리연구
    • /
    • 제32권1호
    • /
    • pp.183-205
    • /
    • 2018
  • 학습자 중심 교수는 자기 주도적 학습 환경을 지원한다. 더 나아가 자기 주도적 학습 경험은 학습자로 하여금 자신의 노력으로 인해 본인의 성장과 성취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지게 한다. 이런 학습자의 믿음과 신념은 성취 경쟁에서 오는 불안감이나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 교수, 학습동기, 성장신념, 학업스트레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증명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특히 본 연구는 경기교육종단연구 3~5차 년도(초6~중2) 데이터를 사용하여 관련 변인들의 변화에 따른 구조적 영향에 주목하고자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먼저 학습자 중심 교수는 학습자의 내재적, 외재적 동기를 모두 긍정적으로 예언하였으나, 내재적 동기를 더 잘 예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자 중심 교수는 동기를 매개로 하여 학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 모두 스트레스를 강화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장신념은 학습자 중심 교수와 동기를 매개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구체적으로 학습자 중심 교수는 학습자가 성장에 대한 긍정적 신념을 갖는데 영향을 미치며, 성장신념을 가진 학습자는 내재적 동기가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하여 외재적 동기는 성장 가능성을 믿는 학습자일수록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학습자 중심 교수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성장신념 변화를 매개로 하여 학업스트레스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다른 3요인(학습자 중심 교수, 학습동기, 학업스트레스)은 변화에 따른 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학습자 중심 교수는 학업스트레스를 완화할 수 있었으며, 이 관계가 기존에 연구되던 학습동기가 아닌 성장신념의 변화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임을 보여주었다. 이 결과는 학습자의 인식과 믿음이 내재적 동기 형성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학업스트레스 변화에 기여하는 주요요인임을 유추하게 하였다. 더 나아가 학습자가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는 방향으로 학습 환경을 개선하고 변화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주었다.

플립드러닝과 하브루타 학습법에 기반한 학습자 중심의 코딩 수업 설계 및 적용 (Design and application of learner-centered coding class based on flip-learning and havruta learning method)

  • 이애리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69-78
    • /
    • 2018
  • When it comes to the value of modern education, teachers are required to perform the role of a helper to promot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the role of a manager to facilitate smooth learning, and the role of a guide who has expert knowledge in the learning content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what kind of learner-centered teaching methods there are, which require teachers to perform the roles of helper, manager, and guide, and conducted a pedagogical research on coding education to explore class models for self-directed learning. Subsequently, a class model was proposed by applying the flipped learning and havruta learning to a coding class. In this study, the learner-centered education methods of flipped learning and havruta method were applied to constructing a coding class as a university general education course. The feature of this class is that it enables dynamic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as well as active interaction between leaners in a classroom instruction. After applying the proposed method to the actual class and analyzing it, the students taught using suggested method were more positively assessed in learning interest than those taught using a traditional method. And that in academic achievement as well, suggested method was more effective.

리빙랩 기반 공학설계교육의 경험과 평가 : 학생들은 언제, 어떻게 배우는가? (A Case Study of a Living Lab based Engineering Design Class : When and How do Students Learn?)

  • 한경희;최문희
    • 공학교육연구
    • /
    • 제21권4호
    • /
    • pp.10-19
    • /
    • 2018
  • This study introduces an engineering design class which is experimental in a sense that it is planned and implemented with three key concepts such as learner-centered education, living lab and community based learning. With the class run in being connected with one regional community in Seoul, it focuses on its educational effects acquired through the living lab-based approach. And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student's experiences of when, what and how they learn in a learner-centered class. It shows that, rather than taking professor's one dimensional lectures in classroom, the students learn actively when they face with the problem in the field. Students have come to carry out engineering design from the perspective of stakeholders, not from the supplier or producer's perspective in the process of meeting with the problem in reality. Team based collaborative activities are crucial in the entire design process. More importantly, students' design products have been transformed into more useful and meaningful ones as stakeholders of the local community have participated into the students' works. However, we need to recognize that there are some important issues that need to be solved institutionally and systematically in order for such educations to spread. This study suggests several educational arrangements for those issues.

블록체인 기술에 의하여 강화된 학습자 중심의 대학 교양교육 체제 연구 (A Learner-Centered Approach for University Liberal Art Education Empowered Blockchain Technology)

  • 권선아;장지영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107-123
    • /
    • 2021
  • Recently, there have been a number of researchers in the field of education who are actively exploring the educational applications of Blockchain technology, even though it is still in its infancy. Some researchers have been investigating its application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to issue academic credentials' or maintain student records with distributed ledger, which is the basis of Blockchain technology. Whereas, others have been examining its application in redesigning learning systems that are being used in various contexts, including online learning and lifelong education. In that vein, this paper aims to discuss a liberal arts education system which will be supported by Blockchain-based 'smart contracts'. At present, active efforts are being made to innovate liberal arts education in Korea, centered around government-funded university innovation projects and there have been reports of great achievements. However, if the Blockchain technology is applied to innovating the liberal arts education, we will innovate not only the liberal arts education but also university education as a whole. In this paper, there are suggestions on how to build a learner-centered educational environment where a liberal arts education system is supported by Blockchain-based smart contracts. First of all, the current innovation in liberal arts education and its limitations are discussed, followed by ways in which Blockchain-based smart contracts can reframe the liberal arts education system. Last but not least, the paper addresses implications of the Blockchain technology applications in liberal arts education, along with their future prospects.

구강보건교육 진행 방식에 따른 초등학생의 치과공포지수 차이 (Comparison on Dental Anxiety according to the Type of Oral Health Education)

  • 정미애;하정은;김민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96-103
    • /
    • 2016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참여식 및 강의식 교육법의 구강보건교육이 치과공포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치과공포를 줄일 수 있는 구강보건교육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2014년 4월 D초등학교에 다니는 10세 아동으로, 의사소통이 가능하며 전신 질환이 없는 아동 총 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구강보건교육을 시행하기 전, 각 교육군 연구대상자들에게 치과공포지수를 측정하기 위하여 자가기입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그 후, 2주에 걸쳐 한 시간 가량의 구강보건교육을 총 2회 진행하였다. 참여식 교육군에는 소아치과에서 사용하는 행동조절방법인 체계적 탈감작법(Tell(말)-Show(시범)-Do(시행))을 적용하여 구강보건교육을 진행하였고, 강의식 교육군(대조군)에는 power point(PPT)를 이용한 교육방법으로 실시하였다. 2회 교육이 종료된 후, 각 군에서 교육 전 조사한 설문지와 동일한 설문지를 이용하여, 치과공포지수를 재측정하였다. 참여식 교육군에서는 교육 전 치과공포지수가 9.61점이었으나, 교육 후에 7.13점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강의식 교육군은 교육 전 11.14점에서 교육 후 10.59점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참여식 교육방법을 적용하는 구강보건교육이 소아 청소년의 치과공포지수를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되었다.

구성주의에 바탕을 둔 학습자 중심 수업을 받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 초등학교 4학년 분수 영역을 중심으로 - (Effects of Math Lessons Based on Constructivism Ideas on Learners' Achievements - With Focus on The Area of Fractions for 4th Graders -)

  • 김태향;김진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3권2호
    • /
    • pp.67-84
    • /
    • 2010
  • 본 연구는 구성주의를 반영한 교수 학습 이론인 학습자 중심 수업의 효과를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대상은 "학력향상 중점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질통제집단 설계를 통한 준실험연구의 결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실험집단은 학습한 내용에 대한 성취도 뿐만 아니라 학습하지 않은 내용에 대한 학업성취도에서도 비교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 결과는 학습자 중심 수업은 학습 능력이 처지는 학생들에게도 효과적인 학습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고등학생이 지각한 수학 수업방식이 수학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유형탐색: REBUS-PLS를 적용하여 (Detecting types for the influence of math teaching methods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on math self-efficacy: Using REBUS-PLS)

  • 송효섭;정희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1권4호
    • /
    • pp.613-629
    • /
    • 2022
  • 본 연구는 「경기교육종단연구(GEPS)」의 2019년 고등학교 2학년 자료를 이용하여 학습자가 지각한 수학 수업방식(교수자중심, 학습자중심)이 수학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이질적 잠재집단을 탐색하였다. 탐지된 잠재집단의 특징을 프로파일링하기 위해 교수·학습 관련 변인들의 분포를 확인하고, 구조방정식모형을 설정하여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두 개의 잠재집단이 탐지되었으며, 그 특성에 따라 교수자형 집단과 학습자형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탐지된 교수자형과 학습자형 집단에서 교수자중심수업에 대한 지각과 학습자중심수업에 대한 지각, 그리고 수학교수능력에 대한 인식은 분포가 유사하였지만, 수학자기효능감과 수학흥미, 수학수업참여의 경우 교수자형 집단이 학습자형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또한 교수자형 집단은 학습자형에 비해 수학교수능력에 대한 인식이 수학자기효능감과 수학수업참여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나타났으며, 학습자형 집단은 교수자형에 비해 수학흥미가 수학자기효능감과 수학수업참여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경로모형기반의 단위 분할 탐색 REBUS-PLS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수학 수업방식이 학습자에게 미치는 영향력에 관한 새로운 연구방법을 제시하였다.

예술가가 진행한 감성교육에 참여한 의과대학생들의 반응 - 교과목 외 교육활동 프로그램 사례를 중심으로- (Extracurricular medical education using artists as instructors - A case report on extracurriculum program-)

  • 오승민;정태섭
    • 의학교육논단
    • /
    • 제10권1호
    • /
    • pp.43-51
    • /
    • 2008
  • Purpose: As introducing a case on extracurricular medical education using artists as instructors, we purposed to make significant implication on the technology-centered medical education. Methods: A case on extracurricular medical education using artists as instructors was introduced and the response of participants among medical students was presented and analyzed. Results: 25 medical students and 5 artists participated in this extracurricular medical education program. Each 5 artists' special area were an oil painting, an illustration, a documentary photo, a play, and an animation Participants' satisfaction of this program was high among medical students. They thought the time with an artist as a significant opportunity for understanding not only human-being but also himself or herself. Conclusions: The application of this learner-centered and extracurricular education program using artists as instructors needed further consideration in medical education. Medical students' meeting with artists can fill the lost art of medic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