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ison on Dental Anxiety according to the Type of Oral Health Education

구강보건교육 진행 방식에 따른 초등학생의 치과공포지수 차이

  • 정미애 (강원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치위생학과) ;
  • 하정은 (백석대학교 보건학부 치위생학과) ;
  • 김민지 (동서대학교 보건의료계열 치위생학과)
  • Received : 2015.12.18
  • Accepted : 2016.03.09
  • Published : 2016.05.28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learner-centered teaching models to reduce the dental anxiety. 18 children with age of 10 at the case group and 22 children with age of 10 at the control group was completed. Children from case group were participated in learner-centered oral health education, while those from control group were participated in instructor-led oral health education. Dental Anxiety Scale (DAS) at each groups were measured before oral health education, after then, oral health education of two types at each groups were separately conducted during 1-hour, 2 times. Learner-centered oral health education adapted the systematic desensitization (Tell-Show-Do) was conducted for case groups. Instructor-led oral health education was performed by using the presentation file (PPT). The change of Dental Anxiety Scale (DAS) were compare between case and control groups to evaluate the effect of learner-centered teaching type. After oral health education, DAS of the case and control groups at the baseline were 9.61 and 11.14, respectively, and the average DAS decline of case and control groups after oral health education were 2.48 and 0.55, respectively. These findings show that a learner-centered teaching type is an effective oral health program to reduce of dental anxiety in childhood.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참여식 및 강의식 교육법의 구강보건교육이 치과공포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치과공포를 줄일 수 있는 구강보건교육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2014년 4월 D초등학교에 다니는 10세 아동으로, 의사소통이 가능하며 전신 질환이 없는 아동 총 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구강보건교육을 시행하기 전, 각 교육군 연구대상자들에게 치과공포지수를 측정하기 위하여 자가기입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그 후, 2주에 걸쳐 한 시간 가량의 구강보건교육을 총 2회 진행하였다. 참여식 교육군에는 소아치과에서 사용하는 행동조절방법인 체계적 탈감작법(Tell(말)-Show(시범)-Do(시행))을 적용하여 구강보건교육을 진행하였고, 강의식 교육군(대조군)에는 power point(PPT)를 이용한 교육방법으로 실시하였다. 2회 교육이 종료된 후, 각 군에서 교육 전 조사한 설문지와 동일한 설문지를 이용하여, 치과공포지수를 재측정하였다. 참여식 교육군에서는 교육 전 치과공포지수가 9.61점이었으나, 교육 후에 7.13점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강의식 교육군은 교육 전 11.14점에서 교육 후 10.59점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참여식 교육방법을 적용하는 구강보건교육이 소아 청소년의 치과공포지수를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D. B. Giddon, "The mouth and quality of life," NY I Dent, Vol.48, No.1, pp.3-10, 1979.
  2. 이덕혜, 구민지, 이선미, "일부지역 고등학생들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평가," 한국치위생과학회지, 제9권, 제1호, pp.109-113, 2009.
  3. 이선미, 김은주, 이덕혜, "일부 고등학생들의 구강 관련지식과 구강건강영향지수와의 관계," 한국치위생학회지, 제10권, 제5호, pp.877-885, 2010.
  4. 이정화, 전은숙, 이혜진, "현대 자동차 근로자들의 구강건강증진행위 및 인지도에 관한 조사," 한국위생과학회지, 제12권, 제2호, pp.47-54, 2006.
  5. 황혜림, 이수영, 조영식, "일부 대학생의 치과불안과 치과의료이용 형태," 한국치위생과학회지, 제10권, 제5호, pp.357-63, 2010.
  6. 이효영, 나미향, 이용환, "치과치료 공포감 관련요인 분석," 한국치위생학회지, 제12권, 제1호, pp.57-65, 2012. https://doi.org/10.13065/jksdh.2012.12.1.057
  7. 김지영, 홍숙선, 정성화, 최연희, 송근배, "일부 지역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치과공포 측정을 위한 CFSS-DS 수정 설문지의 타당성 여부와 관련요인 분석," 대한구강보건학회지, 제29권, 제2호, pp.131-140, 2005.
  8. 정명희, 정성희, "치과내원 환자의 이용행태 및 공포와 구강악안면 통증," 한국치위생과학회지, 제9권, 제3호, pp.361-367, 2009.
  9. 황혜림, 조영식, 배현숙, "일부 치과환자 및 대학생에서 개량치과불안척도(MDAS)에 따른 고도 치과불안의 관련 요인," 대한구강보건학회지, 제35권, 제2호, pp.145-154, 2011.
  10. 윤현서, 박지현, "치과내원환자의 주관적 구강건강인식과 치과공포의 관련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6호, pp.371-379,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6.371
  11. C. Haggjin, U. Berggren, M. Hakeberg, and M. Ahlqwist, "Dental Anxiety among middle-aged and elderly wowen in Sweden. A study of oral state, utllisation of dental services and concomltant factors," Gerodontology, Vol.13, No.1, pp.25-34, 1996. https://doi.org/10.1111/j.1741-2358.1996.tb00147.x
  12. N. L. Corah, "Development of a dental anxiety scale," J Dent Res, Vol.48, No.4, p.596, 1969. https://doi.org/10.1177/00220345690480041801
  13. R. A. Kleinknecht, R. M. Thorndike, F. D. McGlynn, and J. Harkaw, "Factor analysis of the dental fear survey with cross-validation," J Am Dent Assoc, Vol.108, No.1, pp.59-61, 1984. https://doi.org/10.14219/jada.archive.1984.0193
  14. 전보혜, "국내 치과공포 관련 요인에 대한 설명적 문헌고찰(2004-2012)," 한국치위생학회지, 제14권, 제2호, pp.251-259, 2014. https://doi.org/10.13065/jksdh.2014.14.02.251
  15. R. E. McDonald and D. R. Avery, Dentistry for the child and adolescent, The CV. Mosby Co, pp.27-38, 1978.
  16. 유성이, 아동의 치과병원 공포 감소를 위한 인지 행동적 접근법의 효과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3.
  17. 위유민 이창섭 이상호, "소아환자의 치과의사 복장에 대한 선호도 연구," 대한소아치과학회지, 제29권, 제2호, pp.168-179, 2002.
  18. G. Klingberg, U. Berggren, and S. Carlsson, "Child dental fear: cause-related factors and clinical effects," European Journal of Oral Sciences, Vol.103, No.6, pp.405-412, 1995. https://doi.org/10.1111/j.1600-0722.1995.tb01865.x
  19. O. Vassend, "Anxiety, pain and discomfort associated with dental treatment," Behav Res Ther, Vol.31, No.7, pp.659-666, 1993 https://doi.org/10.1016/0005-7967(93)90119-F
  20. M. J. Sullivan and N. R. Nelsh, "Catastrophizing, anxiety and pain during dental hygiene treatment,"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Vol.26, No.5, pp.344-349, 1998. https://doi.org/10.1111/j.1600-0528.1998.tb01971.x
  21. G. Kvale, E. Berg, and M. Raadal, "The ability of Corah's Dental Anxiety Scale and Spielberger's State Anxiety Inventory to distinguish between fearful and regular Norwegian dental patients," Acta Odontol Scand, Vol.56, No.2, pp.105-109, 1998. https://doi.org/10.1080/00016359850136076
  22. H. Buchanan and N. Niven, "Validation of a Facial Image Scale to assess child dental anxiety," Int J Paediatr Dent, Vol.12, No.1, pp.47-52, 2002. https://doi.org/10.1046/j.0960-7439.2001.00322.x
  23. 최성숙, 김지영, 송근배, 이성국, "개인치과의원 내원청소년들의 치과치료공포감에 대한 관련요인 분석," 대한구강보건학회지, 제28권, 제4호, pp.495-504, 2004.
  24. 이혜진, 전은숙, 이병호, "치과내원환자의 치과 치료시 공포감에 관한 연구," 한국치위생과학회지, 제7권, 제3호, pp.193-196, 2007.
  25. J. M. Armfield, "A preliminary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 of dental fear to other specific fears, general fearfulness, disgust sensitivity and harm sensitivity,"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Vol.36, No.2, pp.128-136, 2008. https://doi.org/10.1111/j.1600-0528.2007.00379.x
  26. N. Enkling, G. Marwinski, and P. Johren, "Dental anxiety in a representative sample of residents of a large German city," Clin Oral Investiq, Vol.10, No.1, pp.84-91, 2006. https://doi.org/10.1007/s00784-006-0035-6
  27. W. Sohn and A. I. Ismail, "Regular dental visits and dental anxiety in an adult dentate population," J Am Dent Assoc, Vol.136, No.1, pp.58-66, 2005. https://doi.org/10.14219/jada.archive.2005.0027
  28. R. Moore, I. Brodsgaard, and N. Rosenberg, "The contribution of embarrassment to phobic dental anxiety: a qualitative research study," BMC Psychiatry, Vol.4, No.10, pp.1-10, 2004. https://doi.org/10.1186/1471-244X-4-1
  29. 최준선, 김광기, "구강건강증진 관점에서의 치과 의료서비스와 치과공포의 연관성,"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23권, 제4호, pp.47-65, 2006.
  30. 최준선, 김종수, "13-18세 청소년을 대상으로 dental fear survey 척도를 이용한 치과공포도 및 그 관련요인 분석," 대한소아치과학회지, 제35권, 제1호, pp.118-126, 2008.
  31. 홍선화, 오정숙, "일부 고등학생의 치과치료 공포감에 대한 관련요인분석," 한국치위생학회지, 제12권, 제4호, pp.741-749, 2012. https://doi.org/10.13065/jksdh.2012.12.4.741
  32. 심연수, 김아현, 안소연, "경기도 일부 지역 청소년들의 치과공포 및 불안에 대한 연구," 대한소아치과학회지, 제38권, 제4호, pp.362-367, 2011. https://doi.org/10.5933/JKAPD.2011.38.4.3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