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rner-centered class

검색결과 98건 처리시간 0.031초

체계적인 학습자 중심의 교수법 모델 개발 및 구현 - H 대학을 중심으로 -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Systemic Learner-centered Teaching Method Model - Focusing on H University -)

  • 김선희;조영식;김보영;한용수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163-173
    • /
    • 2021
  • 본 연구는 대학교육에 있어서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운영할 수 있는 교수법을 개인이 아닌 대학 전체의 수업운영에 적용할 수 있는 수업모델을 개발 및 구현하고자 하였다. 수업모델개발은 선행연구 분석, 전문가 검토, 수업모델과 설계원리 도출, 시범운영, 1차 설문분석, 모델 및 설계 전략 수정, 그리고 2차 설문분석을 통해 최종 모델을 도출하였다. Shift_N+1수업은 6개의 모델이며 각 모델은 크게 3가지의 파트로 구분된다. 동영상을 활용한 사전학습, 핵심내용에 대한 질의응답 및 심화학습을 하는 대면 수업, 그리고 학생 개별 피드백 및 과정평가이다. 이를 매주 시행할 수 있도록 자체 전산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대학의 모든 수업에 학습자 중심의 교육과정을 적용할 수 있는 교수법 모델을 표준화하였다. Shift_N+1교수법은 교과목의 특성을 반영하여 학습자 중심의 학습효과를 최대화하고, 주차별 학생들의 성취도를 파악하여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중학생이 인식한 학습자 중심 수학수업이 수학자기효능감과 수업참여에 미치는 영향: 성취수준에 따른 다집단 분석 (Effects of learner-centered mathematical instruction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on math self-efficacy and class engagement: Multi-group analysis based on achievement level)

  • 송효섭;정희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0권4호
    • /
    • pp.493-508
    • /
    • 2021
  • 본 연구는 중학생이 인식한 학습자 중심 수학수업이 수학자기효능감과 수업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토의토론학습은 수업참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지만 수학자기효능감을 매개하여 간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주도학습과 협동학습은 수업참여에 직접적인 영향과 수학자기효능감을 매개하여 간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성취 상·하위집단 간 토의토론학습이 수학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자기주도학습이 수학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그리고 수학자기효능감이 수업참여에 미치는 효과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학습자 중심 수학수업을 위한 학습의 조력자로서 수학교사의 역할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하브루타를 적용한 경전강독 수업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Havruta Method in the Reading the Chinese Classics)

  • 이해듬;김용진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89-98
    • /
    • 2023
  • Objectives: This study applied Havruta, a learner-centered educational method, and verified its effectiveness, to break from the existing mechanical memorization methods of scripture reading classes, which are basic subjects of East Asian medicine at East Asian medicine universities. Method: To this end, D University's scripture reading course was redesigned according to Havruta's teaching model, and Havruta classe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instructional design. Results: As a result of the class, students' Chinese translation ability improved, and they were able to concentrate on class (M=4.24). Through class, they acquired knowledge in the field (M=4.21) and their ability to communicate with others improved (M=4.21). M=4.25), it can be inferred and interpreted that the learner is engaged.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amples of applying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required in the East Asian medicine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of East Asian medicine at East Asian medicine universities, and can be used as practical basic data that can be applied not only to scripture reading subjects but also to other subjects.

학습자 활동 중심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에 대한 태도, 학업성취도 및 개념 지속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Learner Activity-centered Science Class on Elementary Students' Attitude towards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and Concept Sustainability)

  • 김형욱;정소진;이효녕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2권2호
    • /
    • pp.106-119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 활동 중심 과학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하여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 학업성취도 및 개념 지속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화산과 지진'에 관련한 초등학교 4학년 교과 내용을 12차시에 걸쳐 재구성을 진행하였으며, 두 집단으로 학급을 나눈 다음 비교집단에는 일반적인 과학수업을 적용하였고, 실험집단에는 글쓰기, 만들기, 표현하기 등 학습자중심활동이 포함된 프로그램을 수업에 적용하였다. 적용 전과 후 두 집단에 과학에 대한 태도, 학업 성취도, 개념 지속성을 알아보기 위한 마인드맵의 자료를 수집하고 마인드맵 채점기준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후 검사 결과 과학에 대한 태도의 하위영역인 인식, 능력, 가치, 흥미지속성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는데, 특히 흥미지속성에서 가장 차이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학업성취도와 관련해서는 사후 성취도 검사 결과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평균 점수가 높았으며, 사전 성취도 검사 결과와 비교할 때에도 실험집단은 평균 점수의 향상이 확인되었다. 또한 사후 성취도 검사 결과 두 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후 성취도 검사 이후 실시한 개념 지속성 검사에서는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마인드맵 분석의 평가 기준인 중심원, 가지, 표현 영역에서 모두 평균 점수가 높았으며, 가지 영역을 제외한 두 영역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두 집단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학습자 활동 중심 과학수업은 과학에 대한 태도, 학업성취도 및 학생들의 개념 지속성에 효과가 있었다. 학습자 활동 중심 과학수업을 실제 교육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활용한다면 교실수업을 개선시키는 데에 효과가 있으리라 기대된다.

플립러닝을 적용한 대학의 가정생활문화 수업 사례와 효과 (A case study of flipped learning applied to a college-level course on the culture of family living and its effect)

  • 백민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77-88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사범대 가정교육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가정생활문화 수업에서 학습자중심의 교수학습방법인 플립러닝(flipped learning)을 적용한 역진행 수업(Inverted Class)을 진행하고 그 효과를 살펴보았다. 플립러닝 수업은 3단계(Pre class/In class/After class)로 설계하였으며, 수업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가정교육과 4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플립러닝 수업 만족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매주 수업 종료 후 학생들이 작성한 WorkSheet와 성찰일지를 살펴보았다. 학생들은 일방적 강의에서 탈피하여 질문과 토론 등 어울림 수업을 할 수 있어서 좋았으며, 선행학습 또는 개별적으로 학습할 때 병행학습이 가능하여 학습효과가 높아 플립러닝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Visual Thinking을 활용한 수업은 흥미로웠으며, 학습내용을 이해하고 정리(요약)하는데 유용하여 다른 전공분야 학습에 적용시킬 의지도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플립러닝을 적용한 수업을 가정생활문화 수업에 활용해 보는 것은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방법으로 긍정적인 학습 효과를 가진 것으로 나타나,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미래인재양성을 위한 효과적인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방법으로 앞으로의 중등교육에도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동기식 온라인창업교육의 학습자만족 모델 개발 (A Study on Developing the Model of Learner Satisfaction in Synchronous Online Entrepreneurship Education)

  • 변영조;이상한;김재영
    • 지식경영연구
    • /
    • 제21권2호
    • /
    • pp.119-135
    • /
    • 2020
  • Owing to pandemic (COVID-19), the traditional face-to-face education method has been changed to the non-face-to-face real-time online education methods. Using a real time-based video conference system, synchronous education can be adopted by face-to-face class easily. Specially, it is very important to minimize the difference in learning effects between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in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this study, in order to deriv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satisfaction of learners in synchronous online education, authors collected data from learners taking a synchronous entrepreneurship course. Through previous research, learned the reality of education and the composition of lessons. Spatiotemporal effectiveness, mentor ability, and educational environment influence learning satisfaction. PLS-SEM results revealed that it was confirmed that only spatiotemporal effects affect learner satisfaction. However, the education environment (fluent operation and convenience of function use of real-time based online conference system) effect teaching presence, class structure, and spatiotemporal effects. Through this research, we hope to provide theoretical and practical support for developing effective teacher activities, proper lesson structure, convenient function of the conference system, and learner-centered online learning environment when developing synchronous online classes.

플립러닝 기반 공학수업 개선 방안 연구 - 국내 C대학 공학수업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Improvement of Flipped Learning-based Engineering Course - Focused on Engineering Course Cases at C university -)

  • 이성혜;김은희
    • 공학교육연구
    • /
    • 제22권2호
    • /
    • pp.3-15
    • /
    • 2019
  • This study analyzed the evaluations of instructors and experts on flipped learning-based engineering in order to suggest improvement strategie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8 engineering courses which participated in the flipped learning course development project of C university from 2017-2018.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instructors and experts pointed out that the pre-learning was not performed and checked effectively. In this regard, the instructors suggested the students' burden of pre-learning, the lack of understanding about flipped learning, and the experts suggested the lack of instructional strategies to facilitate pre-learning. In addition, the instructors and the experts pointed out that the courses were still instructor-centered. The instructors evaluated that they operated the instructor-led course by themselves. In addition, the experts suggested that there was not enough instructional strategies to activate the learner-centered activities. The number of the students and the lecture room environment that were not appropriate for the learner- centered class were the evaluation opinions of both the instructors and the experts. In addition, the professor suggested the lack of understanding and preparation of the flipped learning of the instructors and the learner as the main opinion, and the experts pointed out that the online learning system and classroom was not linked for pre-learning, classroom learning, and the post-learning.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for improvement of flip learning based engineering course were suggested.

앱을 이용한 프로젝트관리 학습 커뮤니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oject Management Learning Community using Application)

  • 조도은;김시정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1126-1131
    • /
    • 2011
  • 최근 교육의 패러다임이 학습자 중심으로 변화되면서 새로운 수업모델의 하나로 프로젝트 기반 수업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대학에서는 이러한 변화를 수용하여 창의적으로 변화를 창출 할 수 있는 차세대 인재를 육성하는데 교육의 목표를 두고, 그에 따른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에서 실시되는 설계 교과목의 주된 교과 내용인 프로젝트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최소화된 교수자의 개입과 주도적인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모델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모델은 프로젝트 기반 수업의 지원체제, 팀 편성방법, 학습자의 다양한 상호작용 방법, 교수자의 팀워크 모니터링 방식 등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최근 사용이 급증하고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프로젝트관리 어플리케이션으로 설계 및 구현하였다.

Effects of Presentation Classes in English Language Curriculum: Focusing on Phonetics/Phonology and Syntax

  • Mi Sook Park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2권1호
    • /
    • pp.20-25
    • /
    • 2024
  • The qualitative effect of class is influenced by the instructor's class design and operation method, but it comes from motivating students to actively participate in class and utilizing potential qualities that lead to student-centered learning. Students' activities and the quality development of class participation can be utilized in presentation-based classes. This could be confirmed through the presentation classes in English language curriculum applied to English major students in Korea. In other words, with presentations conducted in language-theoretic classes such as phonetics/phonology, and syntax, it turned out that immersion in learning, concentration on class, and motivation for learning can be improved, developing systematic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ooperative mutual communication ability. Instructors need to lead the direction and design of the classes, but the actual educational effect depends on how students accept the academic tasks, how well they understand the learning contents, and how well they can systematically transmit them to others. In this respe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at learner-centered presentation classes contribute to making learners develop their competencies in class design, data utilization, imparting knowledge, and communication, which would bring about the improvement of learning quality and educational effects.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거꾸로 수업 활용 가능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 한국과 싱가포르 교과서 비교 연구 - (Elementary Teachers' Conceptions about Applicability of Science Textbooks for Flipped Learning - Comparative Study of Korean and Singaporean Textbooks -)

  • 이수아;신영준;전영석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6권2호
    • /
    • pp.163-179
    • /
    • 2017
  •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in Korea and Singapore are applicable to flipped learning. By comparative study we sought to identifying appropriate features of science textbooks for learner-centered teaching. We analyzed text pages on the unit of 'Working of electricity' in Korean elementary science textbook for sixth grade and three chapters of 'Electric circuits, Using electricity, Conductors of electricity' in Singaporean elementary textbook, 'Science : My pals are here!'. We designed evaluating frameworks for science textbooks based on the four pillars of flipped learning. and applied it to 10 elementary teachers evaluate two textbooks. They evaluated textbooks with Likert Scale items and wrote detailed statements and exemplars about their choices. We analyzed the teachers' evaluative descriptions inductively and chose commonly mentioned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analysis, we got to the conclusion about specific features of two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in terms of flexible environment, learning culture, intentional contents, and teachers' expertises. Implications for improving science textbooks towards flipped learning and learner-centered teaching through comparative study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