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f spot

검색결과 393건 처리시간 0.346초

Effect of Temperature and Leaf Wetness Period on the Components of Resistance to Late Leaf Spot Disease in Groundnut

  • Pande, Suresh;Rajesh, T.Ratna;Kishore, G.Krishna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0권1호
    • /
    • pp.67-74
    • /
    • 2004
  • A complete understanding of the epidemiological factors required for optimum for disease development facilitates the design of effective and reliable screening techniques and also disease prediction models. An attempt was made to study the effects of different temperatures ($15-35^{\circ}C$) and leaf wetness periods (4-24 h) on the development of late leaf spot (LLS) in three groundnut genotypes differing in their susceptibility to LLS infection. Irrespective of the genotype, the disease progress evaluated based on different components of resistance was maximum between $15-20^{\circ}C$ and minimum between $20-25^{\circ}C$. At temperatures $\geq$$30^{\circ}C$, LLS development was insignificant. The overall severity of LLS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leaf wetness period from 4 h to 12 h a day. Further increase of wetness period to 16 h resulted in a rapid increase in the severity. Thereafter, the disease severity gradually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wetness period. The effect of temperature and wetness periods on the individual component of disease quantification was not uniform compared between genotypes with different levels of susceptibility/resistance to LLS infe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emperature and leaf wetness period are critical in late leaf spot screening programs since the expression of disease symptoms measured from disease initiation till defoliation, varied differently in the test genotypes with respect to change in these two parameters.

수도갈색엽고병(Fusarium nivale)의 동정 (Identification of Fusarium leaf spot(Fusarium nivale) newly reported In Korea)

  • 권신한;송희섭;손청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21-124
    • /
    • 1973
  • 새로운 수도품종통일에 발생하는 갈색엽고병 유사증상을 발견하여 그 병반에서 병원균을 분리하여 그 형태를 조사하였으며 분생포자, 병반상에 형성하는 자남, 자남포자의 기재를 타연구자를의 문헌과 비교한 결과, 이는 일본에서도 보고된 바 있는 갈색엽고병임이 확인되었으며 병원균이 Fusarium nivale로 동정되었다. 또한 포장조건하에서는 본병은 다질소구에서 그 발생이 현저히 많았음을 관찰하였고, 본균의 생육적온은 $24^{\circ}C$였다.

  • PDF

Cristulariella moricola에 의한 네군도단풍 둥근무늬낙엽병 (Zonate Leaf Spot of Acer negundo Caused by Cristulariella moricola in Korea)

  • 조성은;박지현;이상현;이향범;신현동
    • 식물병연구
    • /
    • 제18권1호
    • /
    • pp.45-48
    • /
    • 2012
  • 저온다습한 날씨가 지속된 후의 2011년 8월 초순에 경기도 동두천시 소요산에서 겹둥근무늬와 조기낙엽 증상을 나타내는 네군도단풍이 발견되었다. 병든 잎의 뒷면에서 원뿔 모양이며 흰색의 분생포자가 다수 관찰되었다. 현미경 검경을 통하여 형태적 특징을 검토한 결과, 이 증상의 원인균은 Cristulariella moricola로 동정되었다. 상대습도 100% 및 $18{\pm}2^{\circ}C$의 조건에서 인공접종을 통하여 이균의 병원성을 증명하였다. 한편, 분리 균주의 internal transcribed spacer 영역의 염기서열을 분석하고 NCBI에 등록된 균의 염기서열과 비교함으로써 이 균이 C. moricola임을 증명하였다. 네군도단풍에 C. moricola의 감염에 의해 발생한 둥근무늬낙엽병은 우리나라에서 최초의 기록이다.

재래종 대두의 갈문병 저항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Resistance to Septoria Brown Spot(Septoria glycines Hemmi) in Native Soybean Collection)

  • 권신한;오정행;김재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47-53
    • /
    • 1980
  • 대두 갈문병에 대한 저항성 인자원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집재래종대두의 저항성을 검정하고 낙엽률과 수량구성형질간의 관계를 구명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하였다. 1. 본시험에 공시한 수집재래종대두 1428계통의 약60% 이상이 심한 황변현상과 조기낙엽에 이르는 가장 높은 리병성 반응(리병지수 5)을 보였으며 약 9%인 136계통은 병반은 형성하나 병반 주위조직의 황변현상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들의 대부분은 녹색종피 계통이었다. 2. 대두 갈문병의 접종시기는 제2~3 복엽기가 효과적이었으며 신엽보다는 성엽에서 병의 진전속도가 빨 간다. 3. 대두 갈문병의 접종 4주 후에 조사한 초생단업의 낙엽률은 비접종구에 비해 약 82% 증가하였으며 황변현상이 나타나지 않는 연색종피 계통과 황변환상을 나타내는 품종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이들 연색종피 계통을 저항성으로 간징하기는 어려웠다. 4. 대두의 조기낙엽은 초장과 분지수에는 영향이 없었으나 절수, 협수 및 백립중에는 유의성 있는 부의 상관을 보임으로서 수량감소의 중요한 요인이 될것으로 보였다.

  • PDF

포도갈색무늬병 발병수준이 '켐벨얼리' 유기포도의 광합성률에 미치는 영향 (Photosynthetic Rates of 'Campbell Early' Organic Grape as Affected by Degree of Leaf Spot Disease Caused by Pseudocercospora vitis)

  • 류영현;배수곤;연일권;김광섭;박상조;박준홍;박종호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773-786
    • /
    • 2016
  • 포도 캠벨얼리품종은 우리나라 포도재배면적의 70%를 차지하고 있으며 다른 품종에 비해서 갈색무늬병에 대해서 감수성으로 병 발생이 심할 경우 과실당도의 저하를 가져와 품질하락과 생육불량 등의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켐벨얼리 포도품종에서의 갈색무늬병에 의한 생육피해 해석을 위해서 7년생의 유기재배 켐벨얼리 품종대상으로 2015년 8월에 갈색무늬병이 발병된 포도나무를 대상으로 광합성 효율 특성, 엽록소함량 및 감염잎의 화학성분 등을 비교분석하였다. 갈색무늬병 감염면적이 증가함에 따라서 $CO_2$ differential value (기준기와 분석기 $CO_2$ 농도차이), WUE value (광합성수분사용효율)와 A value ($CO_2$의 흡수율/호흡률) 등은 크게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stomatal conductance value (기공전도도)은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총 엽록소의 함량은 병징이 심할 경우 50% 이상 감소하여 엽록소 함량의 감소가 포도갈색무늬병 발병잎의 광합성 효율 저하에 큰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생각되며 병반면적률에 따른 화학성분을 조사한 결과 병반면적률이 증가할수록 잎의 질소, 인산, 칼륨 함량은 감소하였으며 반면에 총탄소, 칼슘 그리고 마그네슘의 함량은 병반면적률에 비례해서 증가하였다.

포도나무 갈색무늬병의 최근 발생 동향과 다발생에 의한 과실의 당도저하 (Occurrence Tendency and Decrease of Fruits Brix According to Increasing Grapevine Leaf Spot Disease Caused by Pseudocercospora vitis)

  • 박종한;한경숙;이중섭;서상태;장한익;김흥태
    • 식물병연구
    • /
    • 제10권4호
    • /
    • pp.341-344
    • /
    • 2004
  • Pseudocercospora vitis에 의한 포도나무 갈색 무늬병은 우리나라 포도 재배지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병의 하나로 잎에 부정형 또는 원형의 갈색 무늬를 형성하며 병반의 크기는 2${\sim}$20mm 정도이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재배하고 있는 캠벨얼리 포도는 특히 이 병에 감수성이며 방제 상황에 따라서는 95%까지 심하게 발생하여 피해를 주는 포도의 주요 병이다. 심하게 병에 걸린 나무는 조기낙엽과 동화산물의 이동에 영향을 미쳐 생육과 이듬해 꽃눈형성이 억제되기도 하며, 과실의 당도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갈색무늬병의 피해해석을 구명하기 위해 포도나무의 발병엽률을 누적하여 "누적 발병엽률"을 산출하고, 이를 3개 집단으로 구분한 뒤 각 집단에 속하는 나무에서 수확한 포도의 당도를 측정한 결과 '상대적 당도'로 환산한 결과를 분석하여 Y = 0.0009$X^2$ - 0.371X + 116.45 ($R^2$ = 0.98)의 고도로 유의한 회귀식을 유도하였고, 이 방정식에 대입하여 병 발생이 심했던 집단의 나무에서 수확한 포도와 상대적으로 발생이 적었던 집단과는 약 20%의 당도차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접종방법에 따른 딸기모무늬병원균의 발병도 검증 및 친환경 방제 효과 (Disease Severity of Angular Leaf Spot Disease by Different Inoculation Method and Eco-Friendly Control Efficacy in Strawberry.)

  • 김다란;강근혜;조현지;윤혜숙;명인식;곽연식
    • 농약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5-40
    • /
    • 2016
  • 딸기 세균성모무늬병은 딸기를 기주로 하여 발생하며 큰 피해를 발생시킨다. 병원균의 전반은 관수의 형태, 감염된 모주의 이용 그리고 작업자에 의해 이루어지며 현재까지 명확한 화학적방제법이 개발되어 있지 않다. 2010년, 국내의 모무늬병원균에 대한 최초 보고에 따르면 병징으로서 잎 뒷면에 수침상의 각진 병반이 형성되며 습도가 높고 적합한 환경에서 세균침출액을 형성하게 되고 또한 진전된 경우 잎에서 적갈색의 병반이 형성된다고 보고하였다. 현재까지 이루어진 연구에 따르면 딸기 세균성모무늬병에 대하여 두 가지 품종이 저항성을 지니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으며 감염된 포장에서는 수확량의 10%를 감소를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모무늬병원균에 대한 국내에서의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져 있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딸기 모무늬병에 대하여 원인병원균이 Xanthomonas fragariae 병원균에 의하여 발생됨을 보고하는 바이며 병원성검증실험 진행한 결과 국내의 딸기재배 품종인 매향과 설향 중 매향이 감수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또한 NaDCC처리시 98%이상의 방제가가 확인되었으므로 친환경방제제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며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국내에 발생되어있는 딸기 세균성모무늬병에 대하여 기초적 자료로서 보고하는 바이다.

비파나무 및 홍가시나무 점무늬병의 살균제 방제효과 (Efficacy of Fungicides for the Control of Leaf Spots on Eriobotrya japonica and Photinia glabra)

  • 서상태;신창훈;지권혁;박소영
    • 식물병연구
    • /
    • 제17권3호
    • /
    • pp.410-412
    • /
    • 2011
  • 2000년대 후반부터 고흥지역의 비파나무(Eriobotrya japonica)와 제주지역의 홍가시나무(Photinia glabra)에 Entomosporium mespili에 의한 극심한 점무늬병이 발생하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방제효과가 높은 살균제를 선발하기 위하여 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효과를 검정한 3개의 농약 중 비파나무 점무늬병에는 propiconazole 처리가 방제가 64.1%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홍가시나무 점무늬병에는 chlorothalonil 처리가 방제가 87.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Thiopanate-methyl 처리는 방제가가 비교적 낮게 나타났고, propiconazole은 홍가시나무에 약해를 나타내었다.

Differential Responses of Soybean Cultivars to Cercospora sojina Isolates, the Causal Agent of Frogeye Leaf Spot in Korea

  • Kim, Ji-Seong;Lee, Young-Su;Kim, Sung-Kee;Kim, Ki-Deok;Kim, Jin-Wo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7권2호
    • /
    • pp.183-186
    • /
    • 2011
  • During the summer of 2005, specimens of soybean cultivars (Daepung, Daewon, Hwanggeum and Taegwang) showing frogeye leaf spot (FLS) were obtained from various areas in Korea. Eight isolates identified as Cercospora sojina were inoculated on the adaxial leaf surfaces of 63 Korean soybean cultivars; the disease responses to each isolate were evaluated 14 days and 21 days after inoculation. Based on the disease responses (resistant or susceptible) of the cultivars by the isolates, a set of cultivars (Anpeong, Bogwang, Cheongdu No. 1, Cheongja No. 3, Dachae, Daemang, Jangwon, Namhae, Sowon, Taegwang) were selected and inoculated with seven isolates for further testing pathogenic variance. Interestingly, 6 out of 7 tested C. sojina isolates revealed differential ability in infecting different soybean cultivars. This result may indicate the possibility of new race occurrence or pathogenic variation; this also presents evidence for prevalent FLS occurrence during humid and hot weather in Korea.

배나무잎 이상반점증상에 관한 연구 6. 간이 검정방법 개발 (Studies on the Pear Abnormal Leaf Spot Disease 6. Development of a Simple Detection Method)

  • 남기웅;김충회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63-367
    • /
    • 1996
  • 배나무잎 이상반점증상의 이병여부를 조기에 판별할 수 있는 가장 간편한 검정방법을 개발코자 시험하였다. 접목시기는 늦어질수록 병징발현율이 감소하였다. 접목방법은 2중절접, 2중삭아절접 순으로 양호하였으나 숙련된 기술이 필요한 이중절접방법보다 간편한 2중삭아절접 방법이 대량검정에 적합하였다. 이상반점증상의 전염에 필요한 최소 접촉시간은 1일 이상이었고 칼루스가 형성되어 접목부위가 활착된 21일 이후에서 발병이 가장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