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Resistance to Septoria Brown Spot(Septoria glycines Hemmi) in Native Soybean Collection

재래종 대두의 갈문병 저항성에 관한 연구

  • Kwon, S.H. (Radiation Breeding Lab.,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
  • Oh, J.H. (Radiation Breeding Lab.,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
  • Kim, J.R. (Radiation Breeding Lab.,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 권신한 (한국원자력 연구소 방사선육종연구실) ;
  • 오정행 (한국원자력 연구소 방사선육종연구실) ;
  • 김재리 (한국원자력 연구소 방사선육종연구실)
  • Published : 1980.03.01

Abstract

Of 1, 428 entries examined to locate gene sources resistant to Septoria brown spot from the Korean native soybean collection, most lines were evaluated as highly susceptible, showing numerous leaf spots with surrounding yellowing tissue, while 136 lines of the entries showed the leaf spots without the yellowing. However, leaf defoliation was so much higher in inoculated soybean plants than those of uninoculated, regardless of leaf yellowing that resistance to Septoria brown spot could not be characterized by the lesion type. Various yield composing characters were negatively correlated to the leaf defoliation, suggesting that early defoliation incited by Septoria brown spot might result in significant yield reduction in soybean.

대두 갈문병에 대한 저항성 인자원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집재래종대두의 저항성을 검정하고 낙엽률과 수량구성형질간의 관계를 구명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하였다. 1. 본시험에 공시한 수집재래종대두 1428계통의 약60% 이상이 심한 황변현상과 조기낙엽에 이르는 가장 높은 리병성 반응(리병지수 5)을 보였으며 약 9%인 136계통은 병반은 형성하나 병반 주위조직의 황변현상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들의 대부분은 녹색종피 계통이었다. 2. 대두 갈문병의 접종시기는 제2~3 복엽기가 효과적이었으며 신엽보다는 성엽에서 병의 진전속도가 빨 간다. 3. 대두 갈문병의 접종 4주 후에 조사한 초생단업의 낙엽률은 비접종구에 비해 약 82% 증가하였으며 황변현상이 나타나지 않는 연색종피 계통과 황변환상을 나타내는 품종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이들 연색종피 계통을 저항성으로 간징하기는 어려웠다. 4. 대두의 조기낙엽은 초장과 분지수에는 영향이 없었으나 절수, 협수 및 백립중에는 유의성 있는 부의 상관을 보임으로서 수량감소의 중요한 요인이 될것으로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