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검색결과 395건 처리시간 0.027초

한국산 갈조식물 지충이의 지리적 형태변이 (Geographical Variations of Sargassum thunbergii Morphology in Korea)

  • 김상일;오윤식;원남일;박상률
    • 환경생물
    • /
    • 제32권4호
    • /
    • pp.353-362
    • /
    • 2014
  • 이번 연구는 한국산 지충이 [Sargassum thunbergii (Mertens ex Roth) Kuntze]의 지리적 형태변이를 확인하고, 형태변이에 따른 품종의 구분에 대하여 분류학적 재검토를 시도하였다. 동해, 서해와 남해안에 분포하는 지충이 개체군의 지리적 형태변이를 조사하기 위해서 개체가 가장 성숙한 시기인 봄철에 채집하였다. 지충이의 관찰대상 형질은 부착기, 줄기의 길이와 직경, 체장, 중심가지의 직경, 마디간격, 측지의 길이와 직경, 잎의 길이와 폭 및 두께, 기낭의 길이와 직경, 기낭 자루와 기낭 돌기의 길이, 생식기탁의 길이와 직경, 질감이었다. 서해안의 지충이는 엽체가 짧고 가늘며, 마디간격이 넓어서 성긴 느낌이고 질감이 부드러워 다른 두 해역의 지충이와는 다른 형태적 특징을 보였다. 동해안의 지충이는 체장이 서해안의 것과 비슷하지만 중심가지와 측지가 굵어서 질감이 거칠고, 측지가 없거나 매우 짧은 것도 있으며, 잎과 기낭이 다른 해역에 비해 컸다. 남해안의 지충이는 체장과 측지가 가장 길고 잎과 기낭이 짧은 것이 특징이었다. 동해안 북부에서 채집된 개체들은 f. latifolium과 형질이 유사하였다. 그러나 다른 해역에서는 네 품종의 원기재와 정확히 일치하지 않아 품종을 구분하는 식별형질은 한국산 지충이의 형태 변이에 적용할 수 없었다. 따라서 생육지에 따라 나타나는 지충이의 다양한 형태변이는 종 이하의 분류군으로 나누는 것보다는 생육지 환경조건에 따른 변이체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된다.

홍화 수집종의 주요 형태적 특성 (Majo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afflower(Carthamus tinctorius L.) Accessions)

  • 김재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13-218
    • /
    • 2000
  • 홍화의 새로운 품종육성을 위하여 국내외에서 수집된 홍화의 외관상 나타나는 형태적인 특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집된 홍화의 16계통중 단간(90∼110cm)인것이 6계통, 중간(111∼130cm)인 것은 5계통, 장간(131cm이상)인것은 5계통이었으며 장간은 국외 도입계통이었다. 2. 국내 수집 종 2계통은 주당 분지수가 11∼13개의 소분지형이었으며 도입종들은 50개이상의 다분 지형이었다. 3. 잎의 형태는 장타원형이 3계통, 피침형이 10계통, 넓은 선상형은 3계통으로 피침형이 가장 많았으며 잎의 가장자리 거치형태는 파도 물결 모양의 둔거치가 7계통으로 가장 많았고 4계통은 거치가 있었으며 깊게 찢어진 심열거치는 5계통이었다. 4.꽃의 색깔은 백색 1계통, 황색 13계통, 주황색 2계통이었으며 두장화의 형태는 원뿔형이 대부분이며(14계통)편형이 2계통이었고 화두 포엽의 끝은 가시형이 11계통이었고 무가시형은 5계통이었다. 5. 종자의 형태는 원뿔형이 11계통, 타원형은 5계통으로 국내 수집계통은 모두 원뿔형이었으며 도입계통은 타원형으로 대립이었다.

  • PDF

헛개나무 선발개체 차대의 생장 및 엽특성 (Leaf Characteristics and Growth Performance in Progenies of Hovenia dulcis var. koreana Nakai)

  • 김세현;정헌관;장용석;한진규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7-11
    • /
    • 2007
  • 우량품종 육성을 위해 선발된 헛개나무 차대묘 20가계의 생장특성과 엽특성을 조사한 결과, 전체 평균 묘고는 61.6cm, 평균 근원직경은 6.98mm였으며, 가계별로는 KW 2-5 가계가 평균 묘고 79.3cm로 가장 우수한 생장을 보인 반면 근원직경에서는 JN 2-2 가계가 평균 9.16mm로 가장 우수한 생장을 나타내었다. 묘고와 근원직경에서 가장 우수한 생장을 보인 KW 2-5와 JN 2-2 가계는 가장 낮은 생장을 보인 가계들과 비교하여 각각 57%와 53%의 우수한 생장을 보였다. 묘고와 근원직경의 초기생장 상위 10% 가계를 선발했을 때 KW 2-5와 JN 2-2 가계가 전체 가계 평균에 비해 125%의 선발 효과를 보였으며, 상위 20% 가계를 선발했을 때 KW 2-5, JN 2-2, KW 1-1, KW 1-15 가계에서 115%의 선발효과를 나타냈다. 한편, 엽장과 엽폭, 엽병길이와 엽병직경 및 엽형지수와 측맥수 등 6항목에 대하여 엽특성을 조사한 결과, 평균 변이계수는 $9.4{\sim}42.4%$로 나타나 변이 폭이 큰것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엽병길이와 엽병직경 특성의 변이계수가 각각 42.4%와 28.7%로 다른 특성들에 비해 큰 값을 나타냈다. 조사된 엽특성들은 모두 가계간 유의적 차이가 인정되었으며, 엽장과 엽형지수간 상관을 제외한 모든 특성들간의 상관에서는 정의상관 관계가 인정되었고 특히, 엽장과 엽폭특성간의 상관계수가 0.8049로 나타나 두 특성간에 매우 유의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Neofusicoccum ribis Associated with Leaf Blight on Rubber (Hevea brasiliensis) in Peninsular Malaysia

  • Nyaka Ngobisa, A.I.C.;Zainal Abidin, M.A.;Wong, M.Y.;Wan Noordin, M.W.D.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9권1호
    • /
    • pp.10-16
    • /
    • 2013
  • Hevea brasiliensis is a natural source of rubber and an important plantation tree species in Malaysia. Leaf blight disease caused by Fusicoccum substantially reduces the growth and performance of H. brasiliensi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use a combination of both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olecular data to clarify the taxonomic position of the fungus associated with leaf blight disease. Fusicoccum species were isolated from infected leaves collected from plantations at 3 widely separated locations - Selangor, Perak, and Johor states - in Peninsular Malaysia in 2010. All the isolates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their conidial patterns and DNA sequences generated from internal transcribed spacers (ITS1 and ITS2), the 5.8S rRNA, and an unknown locus (BotF15) containing microsatellite repeats. Based on taxonomic and sequence data, Neofusicoccum ribis was identified as the main cause of leaf blight disease in H. brasiliensis in commercial plantations in Malaysia. A pathogenicity trial on detached leaves further confirmed that N. ribis causes leaf blight disease. N. ribis is an important leaf pathogen, and its detection in Malaysia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future planting of H. brasiliensis.

'푸른들' 왕포아잔디(Poa pratensis L. 'Pureundul')의 형태 및 생육특성 (Morphological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Poa pratensis L. 'Pureundul')

  • 심상렬;정대영;안병준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91-99
    • /
    • 2007
  •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to define the morphological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Poa pratensis L. (Kentucky bluegrass) 'Pureundul' native to Korea. Poa pratensis 'Pureundul' was collected from the belt highway around Mt. Uam located in Naedeok-dong, Cheongju City, Chungcheongbuk-do Province on May 5, 1995.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ureundul' were compared with those of 205 individuals of native Poa pratensis collected throughout the nation from June 11, 2000 to June 21, 2003.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 The height of plant was 28.2cm but increased to 40.0cm at the flowering time. The height of first node from the base was 6.8cm and the length and width of leaf were 17.3cm and 2.9mm, respectively. The length of a spike was 7.9cm. Based on thes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Pureundul' was defined medium type Kentucky bluegrass. Visual quality(1~9), visual color and visual density were measured. The visual quality, color and density of 'Pureundul' were not superior to those of introduced species but above the average other native species. The damages from the diseases during summer resulted in poorer visual quality of color of 'Pureundul'. But the spread of the diseases was slower in 'Pureundul' than other native species, and accordingly 'Pureundul' didn't suffer from more quality deterioration from July to September during which the diseases broke out. Entering fall, 'Pureundul' showed high quality comparable to that of the introduced species. If 'Pureundul' is put to breeding by implementing pest control in summer and introducing disease tolerant genes, it will be used to make greens of greater quality than now.

'세원' 왕포아 잔디(Poa pratensis L. 'Sewon')의 형태 및 생육특성 (Morphological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Sewon Poa pratensis L.)

  • 심상렬;정대영;안병준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8권5호
    • /
    • pp.10-18
    • /
    • 2005
  •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to define the morphological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Poa pratensis L.(Kentucky bluegrass) 'Sewon' in native to Korea. Poa pratensis 'Sewon' was collected at the terrace land on the river in Guiman-ri, Cheongcheon-myeon, Goesan-gun, Chungcheongbuk-do on May 5, 1995. The collected Poa pratensis 'Sewon' was grown under non-mowing naturally growing conditi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oa pratensis 'Sewon' are as follows. : The height of plant was 21.6cm but was increased to 33cm at the flowering time. The height of first node from the base was 5.0cm and the length and width of leaf were 9.6cm and 4.1cm, respectively. The length of inflorecences was 37.8cm and the length of a spike was 7.3cm. Based on thes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Poa pratensis 'Sewon' was defined to dwarf~medium and coarse texture type Kennturky bluegrass. 1 to 9 scale of visual quality, visual color and visual density were measured. Poa pratensis 'Sewon' showed best turf qualities among native Kentucky bluegrasses. In spring and fall growing season, Poa pratensis 'Sewon' were measured to be excellent performances for turf qulities similar to foreign excellent quality cultivars such as Midnight, Nuglade and Brilliant Kentucky bluegrasses. But turf quality of Poa pratensis 'Sewon' decreased by plant disease according to temperature increase in summe compared to foreign excellent quality cultivars. So, Poa pratensis 'Sewon' should be improved of disease tolerent quality by incessant breeding work in order to compete foreign excellent quality cultivars.

이식된 포기거머리말($Zostera$ $caespitosa$)의 형태적 특성 및 생산성의 변화 (Changes i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roductivity of $Zostera$ $caespitosa$ Transplants)

  • 박정임;박재영;이근섭;손민호
    • 환경생물
    • /
    • 제30권1호
    • /
    • pp.47-53
    • /
    • 2012
  • 이식된 포기거머리말의 현장 적응성을 알아보기 위해 철사고정법으로 포기거머리말을 이식후 이식된 개체(이식구)와 인근 자연군락 포기거머리말 (대조구)의 밀도, 형태적 특성과 생산성의 변화를 약 2년간 조사하였다. 대조구에서는 봄 여름에 증가하고 가을 겨울에 감소하는 밀도변화를 보였으나, 이식구에서는 조사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초기 밀도감소가 나타나지 않았다. 엽초 길이, 잎 폭, 개체 길이와 엽초, 잎, 개체의 무게는 이식초기에는 대조구에 비해 이식구에서 감소하는 경향이 보였으나 약 5개월 후부터는 대조구와 이식구가 유사해졌다. 잎 생산성도 대조구와 이식구 모두 봄 여름에 증가하고 가을 겨울에 감소하는 뚜렷한 계절 경향을 보였으나, 이식초기 이식구의 개체 잎 생산은 생산성이 낮은 가을인데도 불구하고 증가하였다. 철사고정법으로 이식된 포기거머리말은 개체의 유실이 없었고, 형태적 특성으로 보아 약 5개월의 현장적응기간을 소요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Berberis amurensis complex의 형태 변이 분석 (Morphological Variation of Berberis amurensis Complex)

  • 현창우;김영동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93-109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B. amurensis complex를 구성하는 세 분류군, 매발톱나무(B. amurensis Rupr. var. amurensis), 섬매발톱나무[B. amurensis var. quelpaertensis (Nakai) Nakai] 및 왕매발톱나무(B. amurensis var. latifolia Nakai)를 대상으로 형태 변이 분석을 수행하여 이들에 대한 기존의 분류학적 견해를 논의하였다. 분류군 간에 차이를 나타낼 것으로 조사된 22개 형질에 대한 변이 양상 조사 및 주성분분석을 수행한 결과 섬매발톱나무는 엽신의 길이와 폭, 엽정의 각도, 거치 간격, 절간 길이, 화서당 꽃의 수 등 여러 형질에서 나머지 두 분류군과 차이를 보였고, 왕매발톱나무는 엽정의 각도, 엽신의 폭과 길이 비에서 다른 두 분류군과 달랐다. 주성분분석 결과 엽신의 길이와 폭 및 엽정의 각도 등 잎의 형질이 분류군의 차이를 잘 반영하는 유용한 형질로 재확인되었으며, 절간의 길이와 화서를 구성하는 꽃의 수는 이들 종내 분류군들을 구분하는 새로운 식별형질로 밝혀졌다. 이들 세 분류군의 지리적 분포와 변이 양상 및 주성분분석 결과를 종합해 고려할 때 섬매발톱나무와 왕매발톱나무를 각각 변종으로 인정하는 것이 가장 타당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Ultrastructure of the Epiphytic Sooty Mold Capnodium on Walnut Leaves

  • Kim, Ki Woo
    • 한국균학회소식: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균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14-14
    • /
    • 2015
  • Cellular aspects of sooty mold on walnut leaves were investigated by using light and electron microscopy. A black coating developed on the adaxial leaf surface of a walnut tree. No infestations were found on the abaxial leaf surface with peltate glandular trichomes. Light microscopy showed that fungal complexes from the leaf surface were composed of brown conidia and hyphae. Conidia, with longitudinal and transverse septa, were variable in length ranging from 10 to $30{\mu}m$, and commonly found in clusters, forming microsclerotia. Neither epidermal penetration nor hyphal entrance to host tissues was observed. Based on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fungal complexes were assumed to be Capnodium species. An electron-dense melanized layer was present on the cell wall of multi-celled conidia. Concentric bodies in the fungal cytoplasm had an electron-translucent core surrounded by an electron-dense margin with a fibrillar sheath. Chloroplasts without starch granules in the palisade mesophyll cells of sooty leaves had electron-dense stromata and swollen plastoglobuli.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piphytic growth of fungal complexes can be attributed to the melanized layer and concentric bodies against a water-deficient environment on the leaf surface. Ultra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sooty leaves indicate typical features of dark-adapted and non-photosynthetic shade leaves.

  • PDF

Morphological characterization of Korean and Turkish watermelon germplasm

  • Huh, Yun Chan;Choi, Hak Soon;Solmaz, Ilknur;Sari, Nebahat;Kim, Su
    • 농업과학연구
    • /
    • 제41권4호
    • /
    • pp.309-314
    • /
    • 2014
  • A total of 67 watermelon accessions which include 37 accessions from Korean and 27 accessions from Turkish germplasm and 3 accessions of other related species from USA were investigated fo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UPOV descriptor list for 56 characters (6 seedlings, 4 plants, 11 leaves, 5 flowers, 23 fruits and 7 seeds) was used in characterization. In addition, eight quantitative characters, hypocotyl length, cotyledon width, cotyledon length, fruit weight, fruit length, fruit width, thickness of outer layer of pericarp and soluble solid content were also measured. The 56 qualitatively scored characters were analyzed by principle coordinate analysis (PCoA) while the eight quantitative ones were subjected to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PCA). Morphological characterization result demonstrated that the accessions displayed high morphological diversity(how much percent?). A high level of phenotypic diversity was observed from the results of morphological characterization. However, plant growth habit and leaf blade flecking showed constant characters for all of the accessions. The Korean and Turkish watermelon genotypes are diverse groups and can be separated by both multivariate analysis of morphological characters although the grouping was more apparent in PCoS res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