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der Trust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31초

코칭리더십이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 프로티언 경력태도의 매개효과와 리더신뢰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Effect of Coaching Leadership on Employability: Mediating Effect of Protean Career Attitude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Leader Trust)

  • 방인식;신제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729-754
    • /
    • 2022
  • 본 연구는 코칭리더십이 조직 구성원의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고 프로티언 경력태도의 매개효과와 리더신뢰의 조절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국내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389명의 유효 설문을 토대로 AMOS 와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코칭리더십과 구성원의 고용가능성 간 직접효과는 유의하였다. 둘째, 코칭리더십은 구성원의 프로티언 경력태도를 강화하고, 이를 통해 고용가능성이 향상되는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코칭리더십과 프로티언 경력태도 간의 관계에서 리더신뢰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넷째, 코칭리더십이 프로티언 경력태도를 경유하여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효과가 리더신뢰에 의해 강화되는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그동안 연구가 부족했던 코칭리더십과 조직 구성원의 고용가능성 간 메커니즘을 실증함으로써 리더십 연구의 확장에 기여한다. 또한 연구결과에 대한 이론적·실무적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에 대한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서비스 산업에서 서번트 리더십의 이론적 분석 틀의 구축 가능성 (The Exploring of Servant Leadership's Theoretical Framework in the Service Industry)

  • 방용태
    • 서비스연구
    • /
    • 제10권2호
    • /
    • pp.77-89
    • /
    • 2020
  • 본 연구는 서비스산업에서 서번트 리더십의 이론적 분석 틀의 구축 가능성을 규명할 목적으로 Bandura의 사회적 학습 이론과 Blau의 사회적 교환 이론의 적용 가능성을 실증하였다. 사회적 학습 이론에 의하면, 개인은 신뢰할 만하고 매력적인 역할모범의 태도와 가치관, 행동을 모범으로 삼아 학습을 하며, 사회적 교환 이론에 따르면, 상호주의의 규범에 입각하여 개인이 타인에게 유익한 편익을 제공해주면 수혜자인 타인은 그 편익에 보답할 의무를 갖게 된다고 한다. 항공사 승무원 직종을 대상으로 서번트 리더십의 사회적 학습 차원과 사회적 교환 차원이 하위직급 리더(사무장)에 대한 부하의 신뢰와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회귀분석의 결과, 리더신뢰에 대해서는 서번트 리더십의 사회적 학습 차원이 사회적 교환 차원보다 큰 영향력을 발휘하는 반면, 부하의 직무몰입에 대한 영향력은 그 반대임이 밝혀졌다. 이런 분석 결과는 서번트 리더의 섬김의 언행을 학습하려는 것이 리더에 대한 부하의 신뢰를 한층 공고히 하는데 보다 주효하다고 해석할 수 있다. 반면, 사회적 교환을 위한 서번트 리더의 언행은 팀 구성원으로서 자기 몫을 다하려는 부하의 직무몰입에 보다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추론된다. 본 연구는 항공운송서비스라고 하는 특정 서비스산업을 조사대상으로 하였기에, 연구 결과의 보편성에 한계점을 노출하고 있다. 향후 서번트 리더십을 포함한 리더십 연구 및 조직 연구 전반에 걸쳐서, 본 논문에서 제시한 사회적 학습 이론 및 사회적 교환 이론을 적용하는 연구들이 추가적으로 진행된다면, 연구 분석의 새로운 틀의 출현을 가져올 이론적 성과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상사의 언행일치가 상사신뢰와 구성원의 발언행동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안전감의 조절효과- (Effect of the leader's behavioral integrity on the trust in leaders and voice behavior of the Members -moderating effect of phychological safety-)

  • 한진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4호
    • /
    • pp.235-245
    • /
    • 2022
  • 본 연구는 조직 내에서 구성원들이 느끼는 상사의 언행일치가 구성원들의 발언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언행일치와 발언행동 간의 관계에서 상사신뢰가 매개효과가 있는지, 상사의 언행일치를 통한 상사신뢰와 구성원의 발언행동 간에 구성원의 심리적 안전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표본은 서비스 관련 업종으로 보험, 증권, 은행, 컨설팅, 신용카드사의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424부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상사의 언행일치가 상사신뢰와 구성원의 발언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둘째, 상사신뢰는 상사의 언행일치와 구성원의 발언행동 간의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구성원들의 심리적 안전감은 상사신뢰와 구성원의 발언행동 간에 조절효과가 있으며, 심리적 안전감이 평균에서 높을 때 언행일치가 상사신뢰를 매개로 발언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심리적 안전감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기업 CEO의 리더십특성이 조직구성원의 리더신뢰수준과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aracteristics of Public Enterprise CEOs' Leadership on the Leader Trus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Organizational Members)

  • 한태진;김홍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11호
    • /
    • pp.306-322
    • /
    • 2008
  • 본 연구는 공기업 CEO의 리더십특성이 조직구성원의 리더신뢰수준과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시장형과 준시장형 공기업 14개회사를 중심으로 1,124명의 표본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는데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리더의 개인적 배려가 신뢰수준에 영향을 미치고, (2)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이 조직 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어 가설이 채택되었다. 그리고 (3) 리더의 신뢰수준으로서의 계산적, 지식적, 동일화 요인이 조직 유효성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높이는 기제로 나타났으나, 신뢰수준에서 계산적 변수의 조직몰입은 기각되었다. 전체적으로 공기업 CEO 리더십 특성으로서의 변혁적, 거래적 리더십이 계산적, 지식적, 동일화 정도의 상호신뢰수준에 따른 조직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검증 결과 동일화 기반에서의 조직몰입은 기각되고 그 외 요인은 긍정적인 기제로 채택되어 공기업 CEO의 리더십 특성에 적합한 기제임을 입증시켜 주었다.

지방공무원의 성과지향적 가치지향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상관신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Impacts of Local Public Servant's Performance Oriented Values on Job Attitude -Focusing on Trust in the Leader-)

  • 박희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169-176
    • /
    • 2014
  • 이 연구는 지방공무원들의 성과관리 관련 가치지향이 성과관리제도의 수용성을 통하여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보고, 이러한 인과경로에 있어서 공무원들의 상관신뢰가 조절효과를 지니고 있는지에 관해 실증분석해 봄으로써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해 보는데 연구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지방공무원들을 대상으로 표본을 추출하여 설문조사를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지방공무원들의 성과지향적 가치지향은 성과관리제도의 수용성을 통하여 조직몰입, 직무만족 등의 직무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상관신뢰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개인주의와 업적주의 등에서는 상관신뢰가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경찰조직(警察組織)에서 상관(上官)의 리더십 유형(類型)이 부하(部下)의 상관(上官)에 대한 신뢰(信賴)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Subordinate's Trust in Leader in Korea Police Organization)

  • 이재연
    • 산업융합연구
    • /
    • 제3권2호
    • /
    • pp.3-28
    • /
    • 2005
  • In this study, an analysis has been conducted as to; (i) what factors(leadership style) affect organizational members trust in their superior, (ii) how does members trust in their superior affect the the variable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an police organization? In order to attai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a model was established and also the hypothesis was verified on the basis of preceding studies.

  • PDF

조직에서 상사에 대한 신뢰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s of Trust toward Supervisor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Organization)

  • 양훈모;조진탁
    • 산업융합연구
    • /
    • 제2권1호
    • /
    • pp.139-158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tecedents and outcomes of trust toward supervisor in organization. The model is developed by reviewing previous research providing various perspectives. Antecedents consisted of three trustworthy behaviors - ability, benevolence, integrity - and three transformational leader behaviors - performance management, motivation, team-orientation -, and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used outcome variables of trust. Data was collected from 206 employees in 6 organizations in broadcasting industry,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 Study finding is as following. First, trust in model was composed by 2 type - affect-based trust and cognition-based trust -, not divided in empirical analysis. Second, regression analysis for trust carry out independently, jointly with trustworthy behaviors and leadership behaviors. In antecedents of trust trustworthy behaviors, ability and benevolence has positive effects to trust, integrity has negative relationship with trust. It was high correlation between trustworthy behavior and leadership behavior. Especially, it has highly correlate(correlation efficient 0.69) between ability and team-orientation that influences trust strongly. Third, trust was not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individual variables such as age, period with supervisor. Only, it found significant gap in variables and found out different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mong organizations distinctly. Fourt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positive influenced by trust and found out strong relationship between trus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PDF

담임교사의 변혁적 리더십과 학생의 정서적 안정감 관계에서 담임교사신뢰의 매개효과 (The Mediation Effect of Trust in Homeroom Teacher in the Relationship of his Transformation Leadership and the Students' Emotional Stability)

  • 이주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426-440
    • /
    • 2020
  • 본 연구는 조직론적 관점에서 담임교사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실 구성원인 학생의 정서적 안정감 관계에서 담임교사신뢰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서 서울지역 중등학생 290명의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여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담임교사의 변혁적 리더십은 리더 신뢰에 정적(+) 영향을 주고 있었다. 또한, 담임교사의 리더 신뢰는 학습자의 정서적 안정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의 변혁적 리더십은 학습자의 정서적 안정에 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담임교사의 변혁적 리더십과 학습자의 정서적 안정감의 관계에서 교사신뢰는 부분 매개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학교 조직의 말초 단위로서 교실 운영을 위해 담임교사가 지향해야 하는 리더십은 어떤 것이며, 그러한 리더십이 조직원인 학생에게 어떠한 정서적, 심리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객관적으로 확인하였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윤리적 리더십의 힘!": 고용 불안정성이 조직 성과에 미치는 영향, 조직 신뢰의 매개 효과 및 윤리적 리더십의 조절 효과 ("The Power of Ethical Leader": The Influence of Job Insecurity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Trust and Moderating Effect of Ethical Leadership)

  • 김병직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3권1호
    • /
    • pp.197-212
    • /
    • 2022
  • Purpose - The current paper not only investigates the intermediating process of the association between job insecurity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but also tries to find a factor which mitigates the negative influence of job insecurity. Design/methodology/approach - By conduc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nalysis with survey data from 351 employees,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trust, as well as the moderating influence of ethical leadership in the job insecurity-organizational trust link. This paper built hypotheses that job insecurity decreases the level of employee's organizational trust, then the level of the employee's organizational trust would influence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addition, ethical leadership would function as a buffering factor between the association between job insecurity and organizational trust. Findings - This paper found that job insecurity had a negative influence on employee's organizational trust, and the employee's organizational trus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ethical leadership mitigated the negative impact of job insecurity on organizational trust.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By empirically delving into the importance of ethic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trust to increase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is paper may provide top management and leaders in an organization with important insights that they should adequately monitor and manage the level of ethic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trust.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헌신과 팀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연구 - 진정성의 조절효과 - (A Convergence Study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Devotion and Team Performance - Moderating Effects of Authenticity -)

  • 박봉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7호
    • /
    • pp.117-124
    • /
    • 2015
  • 최근 리더십 연구에서 변혁적 리더의 진정성 여부가 이슈가 되고 있다. 변혁적 리더가 보이는 진정성 여부가 부하들의 태도와 성과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변혁적 리더십이 신뢰와 조직헌신을 통해 팀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구성원이 지각하는 진정성의 조절효과를 융합적으로 검증하는데 있다. 부산지역의 특1급 호텔 팀원 232명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혁적 리더십 지각은 신뢰와 조직헌신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리더에 대한 신뢰는 팀성과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나, 조직헌신은 팀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리더의 진정성은 변혁적 리더십과 신뢰 간에 유의한 조절효과를 미치나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헌신 간에 유의한 조절효과를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변혁적 리더의 진정성이 팀원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요인으로 검증함으로써 향후 리더십 연구에서 진정성이 조절효과로서의 중요성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