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der Acceptance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7초

리더의 피드백은 종업원의 창의적 문제해결 행동을 촉진시키는가? 종업원의 피드백 수용정도와 직무 복잡성의 3차항 상호작용효과 (When and How does Leader Feedback Promote Employee Creative Problem-solving Behavior? A Three-way Interaction Model of Employee Feedback Acceptance and Task Complexity)

  • 최석봉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777-792
    • /
    • 2022
  • Purpose: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s of leader feedback on employee creative problem-solving behavior. It also explores the relevant conditions that maximize the above relationship from the psychological trait and task nature perspectives. Specifically we examine how employee feedback acceptance and task complexity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 feedback behavior on follower creative problem-solving behavior. Finally the three-way interaction among leader's feedback behavior, employee feedback acceptance and task complexity is analyzed for the best conditions to maximize the positive effect of leader's feedback on creative problem solving behavior. Methods: This paper used a cross-sectional design with questionnaires administered to 411 employees working in Korean manufacturing and service firms. It applie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test the hypothesized relationships including three-way interaction effect among leader's feedback behavior, follower feedback acceptance and task complexity on follower creative problem-solving behavior. Results: The empirical results of the paper indicated that the leader feedback behavior had enhanced employee creative problem-solving behavior. It was also found that follower feedback acceptance and task complexity positive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 feedback and follower problem solving behavior. In addition, the test of three-way interaction effects also revealed that the higher the levels of both employee feedback acceptance and task complexity, the greater the positive effect of leader feedback behavior on employee creative problem solving behavior. Conclusion: This paper contributes to the leadership and creativity literatures by identifying the role of leader's behavior enhancing employee creative problem-solving behavior and the specific conditions strengthening the positive effect of leader feedback behavior on employee creative problem-solving behavior.

변혁적인 리더십이 부하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과 부하의 상사 수용도 조절효과 (The Effect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Subordinate's Self-Efficacy and Subordinate's Acceptance Degree of Leader as Moderator)

  • 조윤근;황호영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68-95
    • /
    • 2007
  • This research is designed for studying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behavior of subordinate. We took a practical analysis with conception of leader acceptance to search function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self-efficacy. For practical proof of this research, we look hypothetical inspection with collected data after posing a question with medical Staff of 459. The practical analysis of this research is as below. First, We could know tha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ffect partially positive effect to self-efficacy of subordinate. That is, as a result for researching into the influence of subordinate to self-efficacy, setting each element which form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s hypotheses, charismatic behavior and intellectual stimulation of leader's have an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of subordinate. However, there is no relation between individualized consideration and self-efficacy of subordinate. Second, we analyzed effect of subordinate's acceptance of leader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acceptance degree of leader, we could know that all of them which is Two subordinate purpos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ve a controling effects as there must be existed differences on self-efficacy before and after interaction. It is also another suggestion of this research to provide a clue to next research which is related with the importance of acceptance and it, conception, because we find the fact there could be existed the difference according to acceptance degree of leader.

  • PDF

임파워링 리더십이 개인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개인의 리더수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Empowering Leadership on the Individual Effectiveness: Mediating Effects of Individual Leader Acceptance)

  • 이철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207-215
    • /
    • 2018
  • 현대 조직에서 환경변화가 빠르고 조직구성원들의 다양성이 높아지면서 개인에게 더 많은 권한과 자율성을 부여하는 임파워링 리더십에 대해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임파워링 리더십의 효과성이 발휘되는 과정을 조직 구성원들의 리더수용을 중심으로 검증해 보았다. 이를 위하여 기업체에 근무하는 재직자들을 대상으로 총 293부의 설문을 수집하여 임파워링 리더십과 개인효과성(개인혁신행동, 개인성과) 간의 관계에 있어 개인의 리더수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결과 첫째, 임파워링 리더십은 개인혁신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둘째, 임파워링 리더십은 개인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임파워링 리더십과 개인혁신행동 간의 관계에서 개인의 리더수용은 완전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넷째, 임파워링 리더십과 개인성과 간의 관계에서 개인의 리더수용은 완전매개를 하였다. 본 연구는 임파워링 리더십이 효과성을 발휘하기 위해선 조직 구성원들이 리더를 인정하고 자발적으로 받아들이는 리더수용이 중요하며 임파워링 리더십이 더욱 효과적이기 위해선 조직 구성원 개개인들의 성숙도와 가치관 등을 고려하여 리더가 임파워링 행동을 실시함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시하고 있다.

카리스마적 리더행동이 집단성과와 집단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부하들의 리더에 대한 자발적 수용의 매개효과 검증 (The Effects of Charismatic Leader Behavior on Group Performance and Group Innovation Behavior: An Investigation of a Mediating Effect of Followers' Voluntary Acceptance of their Leader)

  • 이상훈;김경수;조용현
    • 산업융합연구
    • /
    • 제19권3호
    • /
    • pp.13-2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집단전체수준에서의 카리스마적 리더십이론을 제시하고 검증하기 위한 일환으로 카리스마적 리더행동, 부하들의 리더에 대한 자발적 수용, 집단성과, 그리고 집단혁신행동이 집단전체수준에서 성립할 것이란 예측을 하였다. 가설검증결과 집단전체수준에서 카리스마적 리더행동이 부하들의 리더에 대한 자발적 수용과 정(+)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1이 검증되었다. 또한 부하의 리더에 대한 자발적 수용이 집단성과와 집단혁신행동에도 집단수준에 기초하여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2가 검증되었다. 이와 더불어 부하들의 리더에 대한 자발적 수용이 카리스마적 리더행동과 집단성과와 집단혁신행동 간의 관계를 집단수준에 기초하여 매개할 것이란 가설 3을 검증하기 위하여 매개회귀분석과 Sobel Test를 실시한 결과 가설 3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집단수준에서 카리스마적 리더십이론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시사점이 있으며 집단성과를 위한 리더십 개발이라는 점에서 실무적인 시사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한 논의도 이루어졌다.

이슈리더십과 성과 간의 관계에서 상사지원의 조절효과 검증 -팀원의 이슈리더십을 중심으로- (A Test of Moderating Effect of Superior Support Between Issue Leadership and Performance: With an Emphasis on Team Member's Issue Leadership)

  • 신성현;백기복;최지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463-476
    • /
    • 2015
  • 전통적인 리더십 이론들은 공식적 권한을 가진 직책자를 리더로 전제해 왔다. 그러나 최근의 경영환경은 비직책자인 팀원도 리더십을 발휘해야하는 상황에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팀원의 리더십과 그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했다. 또한 팀원의 이슈리더십 행동의 강도를 조절하는 요인으로서 상사지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비직책자인 팀원의 이슈리더십은 오디언스의 리더수용과 팀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팀원의 이슈리더십과 리더수용 간의 상사지원의 조절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이슈리더십과 팀 성과 간의 상사지원 조절효과는 부(-)적인 관계임을 새로 발견 했다. 본 연구는 팀원의 리더십과 그 효과성을 실증하고, 일반적인 기대와는 달리 상사의 지원이 오히려 팀원의 리더십 발휘를 저해하는 요인임을 발견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리더의 스타일에 표현된 패션 폴리틱스 현상이 대중문화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opular Culture in the Fashion Politics Phenomenon of Leader)

  • 김미경
    • 패션비즈니스
    • /
    • 제16권5호
    • /
    • pp.88-105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popular culture in fashion politics phenomenon of leader. As study methods the literature study concerning fashion phenomenon and nature of popular culture were used for theoretical background and visual data from magazine, news paper, and internet were used for exploratory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ashion politics phenomenon of leader in fashion merchandising through the marketing strategy is characterized as commercial profit. These characteristics enable the fashion industry and popular culture affect the formation to provide opportunity. Second, the fashion politics phenomenon of leader projected through mass media are the fashion icons and strong role models that are copied by consumers, conformity the popular, set a powerful fashion trend. The conformity by the mechanism of the interaction of the public will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popular culture. Third, Semotics symbolism expressed in the fashion politics phenomenon of the leader, the intended message is communicated to the public by creating a positive image. Positive image of the leader of the public support and acceptance is the power to create.

여성농업인 리더의 사고행동 패턴과 직무지향 특성에 관한 일 고찰 (A Study on Rural Women Leader's Action in Pattern and Doing in Style Based on Self Motivation Control)

  • 김경미;이진영;최윤지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13권1호
    • /
    • pp.209-225
    • /
    • 2006
  • According to shift of the political focus from agricultural productivity to social development, it has been increased importance of local leader in rural society. Especially rural women leader's role has been increased not only in agricultural business but also in social activity of locality. Although a lot of leadership study related to rural community development, it has been very scarcely study about leader's action in pattern or doing in style based on psychological scale. Therefore this a kind of pilot study on that. For this data, it was gathered from 24 female farmer leaders of a federation group in 2005. In this study, to define the action in pattern or doing in style of leader, it was adopted to Ozasz Yoshihisa's scale which is consisted of 40 items into 8 types. From analysis of female farmer leader's action in pattern or doing in style, most of them were belong to volunteer type, generalist type, farmer type. This menas most of them were head toward maintenance of the present status, keeping one's balance, adaptation oneself to new environment, or acceptance the logic of events, not trying to innovate. But it was not clear that any variable has a relation in the action in pattern or the doing in style, for definition of variables, it should be more detailed study.

  • PDF

조직 내 구성원간 스마트워크 수용태도 차이에 대한 탐색적 연구 (Exploring Differences of Acceptance Attitude of Smart Work among Members of Organizations)

  • 박기호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0권4호
    • /
    • pp.249-261
    • /
    • 2013
  • Through smart work using by smart technologies, many organizations wish to change traditional working styles. Lots of organizations, however, wish to do work with smartness through adoption of smart work technologies, those are not sure whether smart work will be successful or not till now. Viewpoints of members concerning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from smart work who operate the organizations may be different. Therefore, hopefully, this research tried to investigate whether differences among members of organizations by empirical and exploratory approach. Totally, 118 questionnaires had been collected and performed test of mean difference between groups. As a result, some items such as working place, working methods, flexible time and tension of smartwork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and non-leader and leader groups. And, furthermore, from this research I believe that we can have a few insights for successful smart working environment in organizations. For successful smart work, organizations have to try to overcome or minimize differences among members of organization.

지방공무원의 성과지향적 가치지향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상관신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Impacts of Local Public Servant's Performance Oriented Values on Job Attitude -Focusing on Trust in the Leader-)

  • 박희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169-176
    • /
    • 2014
  • 이 연구는 지방공무원들의 성과관리 관련 가치지향이 성과관리제도의 수용성을 통하여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보고, 이러한 인과경로에 있어서 공무원들의 상관신뢰가 조절효과를 지니고 있는지에 관해 실증분석해 봄으로써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해 보는데 연구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지방공무원들을 대상으로 표본을 추출하여 설문조사를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지방공무원들의 성과지향적 가치지향은 성과관리제도의 수용성을 통하여 조직몰입, 직무만족 등의 직무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상관신뢰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개인주의와 업적주의 등에서는 상관신뢰가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조직 내 개인의 리더십 유형별 경향성에 따른 스마트워크 수용의도 차이 (Difference in Acceptance Level of Smart Work among Tendencies of Personal Leadership Styles)

  • 박기호;김연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1호
    • /
    • pp.197-207
    • /
    • 2013
  • 많은 조직들이 스마트워크 개념의 도입을 통하여 업무를 워크 스마트하게 하려는 의지는 있지만 어떻게, 무엇부터 시작해야 할지, 또한 이것이 성공적인 결과를 가져올지에 대해서는 확신을 가지지 못하는 실정이다. 특히 조직의 구성원인 개인의 리더십 유형에 따라 스마트워크 수용의도에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경우와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근무방식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는 스마트워크 시대에 조직 내 리더와 조직 구성원들의 리더십 성향별로 스마트워크를 수용하는 태도에 차이 여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해 응답된 설문지는 총118개 였으며, 분석방법은 집단간 평균차이 검정을 실시하였다. 실증연구결과 리더십 성향별로 근무장소, 근무방식, 스마트워크 적극추진여부 등의 특정 항목에 대해서는 수용의도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리더집단과 비리더 집단간에도 기기사용방식, 근무지, 유연근무제 등을 받아들이는 태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스마트워크를 도입하고자 하나 조직 내 저항 혹은 리더와 비리더 집단간의 인식차이를 극복하고자 하는 최고경영자나 조직에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