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yout Design

검색결과 1,725건 처리시간 0.032초

소규모 하구에서 토사유출 확산제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trolling Efflux Sediment Diffusion by Jetty Construction at Small Estuary)

  • 박상길;박현수;윤종수;이시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5B호
    • /
    • pp.483-491
    • /
    • 2009
  • 본 논문은 상류지역의 개발로 인해 발생하는 토사가 우수 시에 하천을 통하여 하구로 유입되면서 유입토사의 확산이 발생하여 하구의 우안에 서식하는 해안의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토사확산을 제어할 수 있는 도류제를 설치하고자 하였다. 토사확산의 영역을 수치계산과 현장실측으로 검증한 것이다. 도류제의 설치유무에 따라 확산영역의 변화와 토사의 농도를 검토하였다. 모델하구에 도류제를 설치할 경우는 유입파랑을 차단하므로 인해 홍수량의 유출이 원만하게 발생되어 수심이 깊은 곳 까지 유속이 발생되어 수심이 얕은 지역에 대해서 확산범위도 감소되었고 동시에 이 지역에 대해 토사확산 농도가 감소되었다. 이는 도류제 시공후의 현장관측에 의해서도 도류제 내부의 유입토사의 제어로 인해 우안 도류제의 외곽부분은 토사농도가 감소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심지층 처분을 일한 사용후핵연료 냉각기간 분석 (Analysis of the Spent Fuel Cooling Time for a Deep Geological Disposal)

  • 이종열;조동건;최희주;최종원;이양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65-72
    • /
    • 2008
  • 사용후핵 연료 심지층 처분의 목적은 그 독성이 인간 및 자연환경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장기간 동안 격리하고, 방사성물질의 누출을 지연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심지층 처분장 설계시 주요한 요건은 처분시스템의 건전성 유지를 위하여 폐기물로부터 발생된 열로 인하여 완충재의 온도가 $100\;^{\circ}C$를 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원자력 발전소에서 방출된 후의 사용후핵연료 냉각기간은 심지층 처분장 설계시 효율 및 경제성을 위한 중요한 고려인자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장 적절한 사용후핵연료 냉각기간 설정을 위하여 처분시스템 온도요건을 만족하는 심지층 처분장 배치에 필요한 처분터널-처분공 간격 및 그에 따른 면적, 열하중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준 처분개념을 바탕으로 사용후핵연료의 냉각기간 및 처분터널/처분공 간격을 다양하게 설정하여, 처분시스템에서의 열적 안정성을 해석하고 그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그리고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처분면적 측면에서 효율적인 사용후핵연료 냉각기간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사용후핵연료의 냉각기간이 짧을수록 처분장에서 설계온도 제한치 범위내 최고온도에 이르는 시간은 빨라지고, 사용후핵연료 냉각기간이 길수록 처분장에서 온도상승 및 하강속도는 완만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 고려대상으로 삼은 처분장 규모와 사용후핵연료를 심지층에 처분한다고 할 때 그 냉각기간을 40-50년으로 함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신라사천왕사건축(新羅四天王寺建築)의 설계기술(設計技術) 고찰(考察) (Study on the Planning Method of the Sacheonwangsa Temple Architecture in Silla)

  • 이정민;미조구치아키노리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3권3호
    • /
    • pp.80-109
    • /
    • 2020
  • 신라사천왕사는 670년 '조창(祖創)'된 이후 '개창(攺刱)'을 거쳐 679년에 낙성된 밀교사원이다. 본 연구는 근년의 발굴조사 성과와 사원건립과정 및 조영척도에 관한 고찰 결과를 바탕으로, 사천왕사건축의 설계기술 해명을 시도한 것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부지 조성에 있어서는, 낭산 남록 상에 1방(坊)의 크기를 상정, 그 남북 폭을 3등분한 후, 그 중 2구획분을 평탄부로 설정했을 가능성이 있다. (2) '조창'에 있어서는, 평탄면 남단을 경계로 하여 300척(尺)평방의 규모를 상정, 그 중심에 '선축기단'을 축조했던 것으로 추정되는데, 초기구상으로써 문두루(신인(神印))의 장치를 목적으로 한, 외원 2주(肘)(3척(尺)), 내원 1주(肘)(1.5척(尺))의 단(壇) 평면 의장을 자체 고안, 그것의 100배를 중심곽 규모 및 배치 계획에 있어서의 근거로 설정해 두었을 가능성이 있다.(3) '개창'에 있어서는, '선축기단'의 중심을 금당 중심으로 고수할 경우 발생되는 목탑·금당간거리 협소 문제를 인지, 초기구상으로부터 중심곽 규모 및 배치를 조정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4) 당탑 및 단석의 배치는, 확정된 중심곽 규모(280척(尺)×320척(尺))를 대상으로 한 분할에 기초해 결정되었는데, 동서방향에 있어서는 중심곽 동서 폭을 4등분하는 선상으로 정한 반면, 남북방향에 있어서는 중심곽 짜임새상의 특성에 입각, 동서회랑의 도리칸 분할과 조정을 통해 익랑 위치를 확정한 후, 이를 기준해 금당·단석을 배치했다고 추정된다. (5) 당탑 및 단석 등의 규모는 각 건물의 정면 기단 폭에 의해 제어되었던 것으로 인정된다. 특히 금당·목탑의 규모는 중심곽 동서 폭의 4등분으로부터 시작되는 단위분수적 분할의 반복을 통해 결정된 것으로 판단되는데, 이는 단의 평면의장을 전형으로 한 자기유사성에 연원을 둔 것으로 이해된다.

과학계 박물관 전시공간의 흡입력과 지속력 분석 - 국립과천과학관 전시영역의 연출매체 분석을 중심으로 - (Analysis on Attraction Power and Holding Power of Exhibition Areas at Science Museum - Focused on Analysis on Exhibition Method of Exhibition Spaces at Gwacheon National Science Museum -)

  • 임채진;추성원;박무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165-172
    • /
    • 2011
  • Visitors' behaviors within an exhibition space are a substantial means to grant spatial arrangement and validity of exhibits. Therefore, the study analyzed visitors' behaviors in the viewpoint of attraction power and holding power of exhibits on the basis of exhibition layout of real science museums. Through the analysis, the study grasped efficiency of analysis index and exhibition environment elements which might have an effect on planning the exhibition space of a large-scale museum and producing detailed ranges of exhibition. The main indicators used are: 1. Attraction power: it indicates the relative incidence of people who have stopped in front of an object/exhibit during the exhibition tour. It is calculated by dividing the number of people who stop by the total number of people who have visited the museum or gallery. 2. Holding power: it measures the average time spent in front of an information/communication element. It is calculated by dividing the average time of stay by the time "necessary" to read an element. As a result, It was expected that attraction power and holding power of exhibit would be increased when moving line of seeing was inductive. However, when the traffic movements of seeing was inductive, repetitive seeing of exhibit was almost never realized and visitors had a strong tendency which viewed on their way of moving without viewing on their way of stopping. On the other hand, it may mean that density of exhibit is low or size of exhibition space is small that most of exhibits within exhibition space have high attraction power and holding power. As Gwacheon National Science Museum, when a museum is composed of many large-scale exhibit halls, it should be formed by separating the main moving line of seeing from the optional moving line of seeing through visitors' natural choice of exhibit and proper inducement of moving line of seeing. In such structure, exhibition environment of the main moving line has an effect on attraction of exhibit and the use of optional moving line acts as a factor to increase attraction. In addition, it is thought that attribute of exhibit and proper arrangement of rest space within exhibition space will increase holding power of exhibit.

모의 담금질 기법을 이용한 지반 조건 추정 및 불확실성 평가에 관한 연구 (Prediction of Ground Condition and Evaluation of its Uncertainty by Simulated Annealing)

  • 류동우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5권4호
    • /
    • pp.275-287
    • /
    • 2005
  • 지하공간 및 터널의 계획과 설계 단계에서 지반 조건과 관련한 정보는 경제성과 안정성 강화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지반 조건은 RMR혹은 Q-system과 같은 공학적 암반 분류값을 이용하거나 지구물리 탐사의 결과 영상으로 표현할 수 있다. RMR이나 Q값은 설계를 위한 직접적 정보를 제공하나 그 대표 영역은 제한적이다. 반면 지구물리탐사 결과 영상은 전체 영역을 표현할 수 있는 반면 간접적인 정보만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반 정보들은 근본적으로 불확실성을 내포하고 있고, 서로 다른 공학적 단위로 표현되며 그 물리적 의미에서도 차이가 있다. 최근 크리깅이나 조건부 시뮬레이션과 같은 지구통계학적 방법들을 이용하여 전체 노선에 대한 RMR의 공간 분포를 추정해 왔었다. 본 연구에서는 주된 RMR 변량만을 이용하는 크리깅이나 조건부 시뮬레이션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모의 담금질 기법을 적용하였다. 지구물리탐사 결과 영상을 참조영상으로 하여 RMR의 공간 분포를 추정하고 이와 결합된 불확실성을 평가하였다. 모의 담금질 기법은 주어진 제약조건을 만족시키도록 설계된 최적화 기법의 일종이다 RMR공간 분포 추정과 불확실성 평가를 위한모의 담금질 기법의 적용 과정을 제안하였다. 지반공학적 적용을 위해 RMR의 통계 모델과 지구물리탐사 결과 영상과의 상관성을 이용한 목적함수들을 정의하였다.

평지 전통마을 갈림길의 중심각과 곡률반경에 관한 연구 (Mode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adius of Curvature and Central Angle -the Case of Divided-roads in Flat Traditional Villages-)

  • 김윤하;안계복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0-16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relationships between a central angle and a radius of curvature of divided roads in flat terrain of traditional villages, suggesting layout criteria for traditional villages: Nak-an, Sung-Eup, Ha-Whe. This study is sought to find the optimum model through the various SAS regression analyses. a regression analysis of this data was adopted to induce the relationship formula between a central angle of curve and a radius of curvatur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Most of the divided roads in traditional villages have a complex curve rather than a simple curve. 2) A central angle of curve has ranged from 11$^{\circ}$to 127$^{\circ}$, with a mean degree of 63.9. 3) In the lower level of central angle(11-40$^{\circ}$), the branch roads have distributed with a high frequency, but with a low frequency in the higher level of central angle(90-140$^{\circ}$). 4) A radius of curvature in the divided roads has ranged from 0.9m to 59.6, but half of the roads have concentrated on 1-6m of the curvature. 5) Compared to the result of hilly villages in previous study(Ahn, 1999), value of central angels in flat villages is lower than that of hilly villages, while a mean value of the curvature is higher than that of hilly villages. 6) A Non-linear regression analysis, resulting from the SAS application, was useful method to induce a relationship formula between a central angle and a radius of curvature in the branch roads. Our study's formula is as follow: R=100.3*EXP(-0.06*$\delta$)+3.91. 7) Our study model has less error than that of the Kishizuka's method, being applicable to a broader range of the branch roads. 8) A minimum radius of curvature in our study has showed 3.9m, suggesting to reconsider applications of the Kishizuka's(5.8m) in the footpass design, In the study for this presupposition model the efficiency and utility of it can be estimated to grow large according to how much and how far it includes both extremes of data. This study is for the application to a design in future through the numerical formula of divided roads of various traditional villages. The studies from now on will be about the quasi-hilly quasi-hilly village and hilly village supplementing these factors more.

  • PDF

저면적.저전력 1Kb EEPROM 설계 (Design of Low-Area and Low-Power 1-kbit EEPROM)

  • 여억녕;양혜령;김려연;장지혜;하판봉;김영희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913-920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수동형 900MHz RFID 태그 칩용 로직 공정 기반 저면적.저전력 1Kb EEPROM를 설계하였다. 1Kb 셀 배열 (cell array)은 1 워드 (word)의 EEPROM 팬텀 셀 (phantom cell)을 2차원 배열 형태인 (16행 ${\times}$ 16열) ${\times}$ 4블록으로 구성하였으며, 4개의 메모리 블록이 CG (Control Gate)와 TG (Tunnel Gate) 구동회로를 공유하므로 저면적 IP 설계를 하였다. TG 구동회로를 공유하기 위해 소자간의 전압을 신뢰성이 보장되는 5.5V 이내로 유지하면서 동작 모드별 TG 바이어스 전압을 스위칭해 주는 TG 스위치 회로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4 메모리 블록 중 하나의 블록만 활성화하는 partial activation 방식을 사용하므로 읽기 모드에서 전력소모를 줄였다. 그리고 하나의 열 (column)당 연결되는 셀의 수를 줄이므로 읽기 모드에서 BL (Bit-Line)의 스위칭 시간을 빠르게 하여 액세스 시간 (access time)을 줄였다. Tower $0.18{\mu}m$ CMOS 공정을 이용하여 (32행 ${\times}$ 16열) ${\times}$ 2블록과 (16행 ${\times}$ 16열) ${\times}$ 4블록의 2가지 배열 형태의 1Kb EEPROM IP를 설계하였으며, (16행 ${\times}$ 16열) ${\times}$ 4블록의 IP가 (32행 ${\times}$ 16열) ${\times}$ 2블록의 IP에 비해 레이아웃 면적은 11.9% 줄였으며, 읽기 모드 시 전력소모는 51% 줄였다.

부산시민공원의 벤치 및 파고라 이용자 행태 특성 및 선호도 연구 (A Study on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Users and Preferences of the Bench and Pergolas in Busan Citizens' Parks)

  • 왕단;윤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658-670
    • /
    • 2018
  • 본 논문은 부산시민공원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공원내 벤치 및 파고라를 포함한 휴게시설의 종류 및 유형을 파악하고, 공원 방문객의 벤치 및 파고라의 이용 행태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벤치 및 파고라의 이용에서 나타나는 문화적 특성과 선호도에 대해 분석함으로서, 휴게시설 디자인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문헌고찰을 통해 벤치 및 파고라의 종류 및 유형, 평가요소 등을 살펴본 후, 현장조사를 통해 공원전체의 벤치와 파고라, 캐노피 등의 휴게시설물의 유형, 위치, 개수를 파악하였다. 또한, 벤치이용자의 행태를 월별과 오전, 오후로 행태분석맵을 작성하여, 분석하였으며, 설문조사를 통해, 공원 벤치 및 파고라에 대한 선호도 및 만족도를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0가지 벤치 유형 중에서 시민들의 선호도 점수 비율이 가장 높은 벤치 유형은 돗자리와 햇볕 차단 캐노피+돗자리인 것으로 나타났다. 돗자리와 관련하여, 가장 높은 점수를 얻은 요소는 환경성이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기능성과 지역성으로 나타났다. 또한 햇빛을 가리는 파고라나 캐노피가 있는 공간에서 돗자리를 펴고 식사 등 다양한 활동을 하는 한국적 이용 행태가 매우 일반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도심공원에 무작위적으로 벤치나 파고라 등을 배치하는 것이 아니라, 문화적 특성에 따른 행태 및 선호를 고려하여 벤치 및 파고라 배치 및 디자인이 이루어져야 함을 보여 준다.

Fully Differential CMOS 연산 증폭기 설계 (The design of Fully Differential CMOS Operational Amplifier)

  • 안인수;송석호;최태섭;임태수;사공석진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37권6호
    • /
    • pp.85-96
    • /
    • 2000
  • Fully Differential 연산 증폭기 회로는 SCF(Switched Capacitor Filter), D/A 컴버터, A/D 컨버터, 통신 회로 등의 VLSI 설계시 외부 부하 구동에 필수적이다. 기존의 CMOS 연산 증폭기 회로는 CMOS 기술에 따른 여러 가지 단점을 갖는데 우선 큰 부하 용량에 대한 구동 능력이 양호하지 못하고, 집적도의 증가에 따른 전원 전압의 감소로 인해 입출력 전압의 동작 특성이 저하되어 전체 회로의 동특성 법위가 감소된다. 이러한 단잠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출력부의 출력 스윙을 늘릴 수 있는 차동 출력 구조를 사용한 회로가 Fully Differential 연산 증폭기 회로이며, 단일 출력 구조의 연산 증폭기 보다 스윙 폭이 향상된다. Fully Differential 연산 증폭기의 구성에서 전류 미러가 그 성능을 결정하며, 따라서 큰 출력 스윙과 안정된 회로 동작을 위해서는 출력 저항이 크고, 기준 전류와의 정합이 잘 되는 전류 미러의 설계가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큰 출력 저항과 기준 전류와의 정합 특성이 우수한 새로운 전류 미러를 제시하였다. 출력 스윙을 키우고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새로운 전류 미러를 사용하여 2단 증폭 형태의 Fully Differential 연산 증폭기를 설계하였으며, 설계한 증폭기는 레이아웃으로 구현하여 시뮬레이션 프로그램(SPICE3f)을 통하여 성능을 검증하였다.

  • PDF

과학계 박물관 전시공간의 흡입력과 지속력 분석(II) - 전시영역별 연출매체의 분포특성 분석을 중심으로 - (Analysis on Attraction Power and Holding Power of Exhibition Areas at Science Museum(II) - Focused on Analysis on Exhibition Method of Exhibition Spaces -)

  • 임채진;추성원;박무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174-182
    • /
    • 2011
  • This study analyzed visitors' behaviors in the viewpoint of Attraction Power and Holding Power of exhibits on the basis of exhibition layout of real science museums. Through the analysis, the study grasped efficiency of analysis index and exhibition environment elements which might have an effect on planning the exhibition space of a large-scale museum and producing detailed ranges of exhibition. The main indicators used are: 1. Attraction Power: it indicates the relative incidence of people who have stopped in front of an object/exhibit during the exhibition tour. It is calculated by dividing the number of people who stop by the total number of people who have visited the museum or gallery. 2. Holding Power: it measures the average time spent in front of an information/communication element. It is calculated by dividing the average time of stay by the time "necessary" to read an elemen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xhibition areas of National Science Museum (Daejeon) and National Museum of Emerging Science and Innovation(Tokyo), the Holding Power was found to be relatively lower than the Attracting Power. This means that 3.5 out of 10 visitors stop in front of the exhibit in 6 exhibition areas, and among these, only 1/10 is used when compared to the user required time of the exhibits. In other words, like the method of deriving an analysis index, the stage of viewing can be categorized as Attracting Power and Holding Power, and because the stage from Attracting Power to the stage of Holding Power are strongly linked, it shows that it is not easy to display a meaningful result. Except, the general distribution of Attracting Power was shown to be high from the entrance area of the exhibition hall based on the standard of viewing sequence. Also, the Holding Power became sequentially lower according to the sequence of exhibition viewing and displayed a meaningful interrelationship with the distribution ratio of island exhibits. In the case of island exhibition method, it is less influenced by the movement flow of visitors when compared to the wall type method of exhibition and can be understood as an exhibition method that provides spatial chances enabling stopping and view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