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wn

검색결과 205건 처리시간 0.033초

Lawn Lake Dam 유역의 연속댐 붕괴 모의 (Series Dam Failure Simulation in Lawn Lake Dam Watershed)

  • 박세진;최현구;김판구;한건연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2년도 학술발표회
    • /
    • pp.607-607
    • /
    • 2012
  • 국내에서는 최근 지구온난화에 따른 전 지구적 이상홍수의 발생으로 댐 붕괴 우려가 증대되고 있고, 이에 따른 주민들의 불안감도 고조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최근 집중호우의 증가와 태풍의 영향으로 대규모 수공 구조물의 설계빈도를 초월하는 폭우를 동반하고 있다. 실례로 20세기 들어 전 세계적으로 약 200건 이상의 댐 붕괴 사고가 발생하여 댐 하류 지역에 막대한 인명 및 재산피해가 발생하였다. 국내의 경우 "연천댐", "장현, 동막저수지" 붕괴 등과 외국의 경우 이탈리아의 Vaiont 댐과 미국의 Teton 댐 등의 사례가 있다. 이처럼 댐은 설계홍수량 이하의 경우에는 비교적 안전하게 홍수를 예방할 수 있으나 이보다 큰 규모의 홍수가 발생할 경우 그 피해 또한 엄청나다. 따라서 댐 붕괴 등의 비상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하류 지역의 생명과 재산 손실을 최소화하고 댐의 물리적, 지형적, 구조적 특성에 따른 비상상황을 예상하고 이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비상대처계획(Emergency Action Plan, EAP)과 같은 대책을 수립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댐의 비상대처계획 수립시 중요한 사항 중 하나인 홍수류 해석을 실시하였다. 현재 국내에서 댐 붕괴 홍수류 해석은 주로 그 안전성과 정확성이 검증된 Fread(1984)의 1차원 모형인 DAMBRK 모형을 이용하여 댐 붕괴 홍수류 해석을 실시하고 있다. 이 DAMBRK 모형을 이용하여 실제 붕괴 사례인 1982년 미국 콜로라도에서 발생한 Lawn Lake 댐의 붕괴 홍수류 해석을 실시하였다. Lawn Lake 댐은 콜로라도 록키 마운틴 국립공원에 위치한 약 8m 높이의 필댐으로 댐 붕괴로 인하여 830,000 의 물이 유출되었으며, 3명이 사망하고 3,100만달러의 손해를 일으켰다. 다음과 같은 실제 붕괴 사례를 댐의 제원과 홍수량을 이용하여 DAMBRK 모의를 실시하였으며 모의한 결과와 실측치와의 비교를 해보았다. 본 연구에서 모의한 결과는 댐 최대 붕괴 유출량은 잘 나타내었지만, 지점별 최대 유량 및 홍수파 도달시간에 관련해서는 다소 차이를 보였다. 이는 조도계수의 변화에 따라 지점별 최대 유량과 홍수파 도달시간, 그리고 홍수위가 달라지는 것임을 확인하였고 실제로 Lawn Lake 댐이 붕괴되어 흘러들어가는 Roaring 강의 댐 붕괴 잔해나 하상 변화를 모르기 때문에 조도계수의 실측치는 모의값 보다 훨씬 클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를 통해 비상대처계획 수립시 홍수류 해석을 할 때 조도계수의 변화에 따라 모의 결과 및 범람범위가 달라질 수 있으니 조도계수의 채택에 있어 신중하고 정확한 판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잔디밭 잡초방제(雜草防除)를 위한 선택성(選擇性) 제초제(除草劑)의 개발(開發)에 관한 연구(硏究) (Development of Selective Heribicide for Control of Weeds in Turf)

  • 한성수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86-199
    • /
    • 1987
  • 본 연구에서는 잔디밭 잡초방제를 합리적이고 체계적으로 행하기 위한 선택성(選擇性) 제초제(除草劑)의 개발과 약제제초방법(藥劑除草方法)을 추구할 목적으로 신규(新規)제초제와 기존(旣存) 제초제의 단제(單劑), 혼합(混合) 또는 조합(組合)하여 21종의 제초제에 대하여 한지형(寒地型) 잔디 2 종과 난지형(暖地型) 잔디 1종 그리고 잔디밭 우점초종(優占草種) 18 종을 대상으로 잔디 이식후 4 일 후 및 25 일 후 잡초발아전 처리를 행하였고 또한 잡초 발생 후 경엽처리를 실시하였으며, 계절에 따라 발생하는 잡초를 방제하기 위해 봄, 가을 및 잔디 휴면기(休眠期)에 제초제룰 처리하였고 아울러 포장적응성 실험을 행하여 잔디에 대한 생육 혹은 약해와 제초효과를 검토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잔디 이식 후 4 일 후 및 25 일 후 처리에서 한국잔디와 2 종의 벤트그래스에 안정성이 인정되는 약제 및 약량은 napropamide 200 - 400 g /10 a prod., napropamide + triclopyr 100 + 200 g, 150 + 150g 및 200 + 100g, triclopyr 300 - 500 g, benefin 1500 - 2500 g 이었다. Simazine, lenacil, bentazon은 벤트그래스에는 다소(多少)의 생육 감소가 있었으나 한국잔디에는 안전하였다. 2. Simazine, benefin, napropamid + simazine의 토양겸(土壤兼) 경엽처리(莖葉處理)에 의한 제초효과는 바랭이, 방동사니, 명아주, 쇠비름, 중대가리풀 등 공시 초종 모두에 대해서 우수하였다. Lenacil은 명아주에 대해서 전혀 효과가 없었고, napropamide는 광엽에 대해서, triclopyr는 방동사니와 쇠비름에 대해서, bentazon은 바랭이에 대해서 약간의 잔초(殘草)가 있었고 각 약제 모두 가타 공시초종에 대한 방제효과는 우수하였다. Napropamide 또는 triclopyr에 simazine을 조합처리(組合處理)했을 때 제초효과는 상승되었다. 3. 경엽처리제(莖葉處理劑) 중 mecoprop, bentazon, benefin + dicamba, benefin + mecoprop는 벤트그래스에 대하여 안정성이 있었다. 한국잔디에 대한 생육억제는 simazine + atrazine을 제외한 공시경엽처리제 모두 인정할 수 없었다. 4. 경엽처리제(莖葉處理劑) 중 피에 대한 효과는 mecoprop과 triclopyr를 제외한 공시약제 모두 85~100%의 높은 방제율이었다. 바랭이에 대해서는 공시약제 모두 60 - 85% 범위의 방제율을 나타내고, 방동산이에 대해서는 bentazon만 100%의 방제율을 보였다. 매듭풀에 대해서는 benefin + mecoprop가 저조(低調)한 효과를 나타냈을 뿐 기타 약제 모두 90-100%의 우수한 효과를 나타냈다. 5. 봄철 토양겸(土壤兼) 경엽처리(莖葉處理)를 한 잔디의 생육은 simazine, lenacil, napropamide + simazine 처리에서 벤트그래스가 감소되었고 기타 처리에서는 공시잔디 3 종 모두 좋은 생육율을 나타냈다. 제초효과는 lenacil과 bentazon이 피에 대해서, bensulide가 망초에 대해서, napropamide와 bentazon이 매듭풀에 대해서 각각 저조(低調)하였을 뿐 기타 처리에서는 85~100%의 우수한 방제율을 나타냈다. 6. 가을철 토양겸 경엽처리에서의 잔디생육은 봄에 처리한 결과와 유사하였다. 제초효과는 triclopyr가 피에 대해서, bentazon 과 pendimethalin이 새포아풀에 대해서 다소 떨어진 결과였다. 광엽(廣葉)의 제초효과는 냉 이가 napropamide, benefin, bensulide에 대해서 매우 내성(耐性)을 보였고 별꽃에 대해서 napropamide, bentazon, napropamide + triclopyr, benefin의 효과가 낮았다. 벼룩나물과 점 나도나물은 공시약제 모두에 80 - 100%가 방제되었다. 7. 한국잔디 휴면기(休眠期) 처리(處理)에서 paraquat나 glyphosate의 잔디에 대한 약해는 없었다. 一年生인 새포아풀의 방제효과는 우수하였으나 다년생(多年生)은 토끼풀>억새>메꽃${\geq}$쑥의 순으로 다소(多少)의 억제효과가 있었다. 8. 공시약제 19 종 모두 한국잔디 포장에서의 약해는 없었다. 잡초 발아전 토양겸 경엽처리제 10 종 모두 다년생에 대해서는 효과가 거의 없거나 미약(微弱)하였으나 1년생 잡초에는 우수한 방제효과를 나타냈다. 잡초 발생 후 2 - 3 엽기 처리에서 공시약제 모두 광엽잡초에 대하여 우수한 살초효과를 나타냈고 기타 다년생 및 일년생 화본과와 방동사니에 대한 살초효과는 미약(微弱)하거나 거의 없었다.

  • PDF

한국잔디(Zoysia japonica Steud.)의 예취시기별 영양가와 in vitro 소화율의 변동 (Changes of the Nutritive Value and in vitro Digestibility as the Cutting Stages of Korean Lawn, Zoysia Japonica Steud.)

  • 김형기;맹원재;장남기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4-38
    • /
    • 1989
  •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elucidate on standing crops , dry matter yields , the nutritive value and in vitro digestihility according to mowing frequency and period during the growing season in the 3cm moving plot in Korean Lawn , Zoysia japonica Sheud . The increasing tendency in the standing crops was showed yield from May to Septemher . In the dry matter yield , there was a tendency of rapid increase from May to August ( maximum level ). Afterwards there appeared a tendency of decrease slight ( Table 3). The nutritive value and in vitro digestihility ; The crude protein and crude fat in the 3cm moving plot showed a tendency of slight decrease as a moving period and frequency . On the other hand , Neutral detergeat fiber , Acid detergent fiber and cellulose showed a tendency of slight increase as mowing period and frequency . in vitro digestibility appeared a rapid decreasing rate as a mowing period and frequency was delayed (table 2.4).

  • PDF

A Seedborne Fungus Bipolaris spicifera Detected from Imported Grass Seeds

  • Chun, Se-Chul;Loo, Han-Mo;Lee, Sang-Hun;Jung, Il-Mi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9권3호
    • /
    • pp.133-137
    • /
    • 2003
  • Seedborne fungus Bipolaris spicifera, which has not been previously reported in Korea, was detected from import-ed grass seeds in the country. The most frequently detected fungi from the seeds were Fusarium species, Ulocladium atrum, B. spicifera, Alternaria, and Cuvularia lunata among 17 different seed samples of the family Gramineae. Detection frequencies of B. spicifera were 11,8,5% in Bermuda grass, tall fescue, and mixed lawn grass imported from USA, respectively, and 9% in mixed lawn grass imported from Italy. This suggests that important seedborne pathogen could be spread between countries through seed sources. The pathogen was seed-transmitted causing damping-off of Bermuda grass seedlings and showed strong pathogenicity to vice, corn, Bermuda grass, sorghum, and tall fescue. However, it did not infect wheat and blue grass.

잔디밭의 효과적인 잡초 방제와 토양 환경 조사 (Advanced Weed Control and Soil Environmental Survey in Lawn)

  • 문영희;김용휘;김영석;양희석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77-186
    • /
    • 1996
  • The effects of salt are studied on control of weeds and growth of Korean turfgrass(Zoysia japon-ica Steud.). And the mobility of salt were determined in a lawn field. At post-emergence stage, the growth of the 13 weeds such as Trifolium repens, Erigeron canadensis, Artemisia prieceps, Equi-setum arvense, etc were controlled by treatment of salt and salt water, Pea-annua and Equisetum arvense were tolerant to salt compared with the other 11 weeds. At pre-emergence stage, the salt controlled the germination of the weeds in soil. 300~500 kg /10a salt and 20~30 % salt waterwere enough for the control of weeds, However, salt water injuried the lawngrass except the dormancy stage. The mobility of salt in soil was increased by rainfall. After 160mm of rainfall, the salinity in the soil treated with salt 500kg /l0a was below 0.3 ms/cm in surface soil and about 0.1 ms /cm in soil 30 cm depth. Key words: Soil environmental survey, Korean turfgrass, Salt, Salt water.

  • PDF

잔디밭 잡초의 분류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lassification Chracteristic of Lawn Weeds)

  • 이명선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59-64
    • /
    • 198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lassification and the growing charicteristics of weed species in a newly formed lawngrass land.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Weed population in a newly formed lawn field consisted of 30% of Gramineae, 15% of Compositae, and 12% of Leguminosae family. 2)Percentage of weed emergence between April and May was 39.4%. The same amount of weed emergence was observed at the period of September and October, where as the percentage was 21.2% at the period of March and April. 3)The population ratio of flowering date of weed species was in order of 48.5% July and August, 30.3% in May and July, 12.1% in March and April, and 9.1% in September and October. 4)Weed classification by life cycle showed 39.4% of biennials, 33.3% of annuals, and 27.3% of perennials. 5)Weed species were grouped according to the plant height. The ratios of each group were 33.3% of 20~40cm group, 27.3% of 40~60cm group, 24.2% of shorter than 20cm group, and 15.2% of taller than 60cm group.

  • PDF

New record of five ciliate species from temporary ponds on a grass lawn

  • Jung, Jae-Ho;Yeo, Jeong Hyeon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9권1호
    • /
    • pp.68-76
    • /
    • 2020
  • We identified 22 ciliate species, including five unrecorded ciliate species, from temporary ponds on a grass lawn. The five unrecorded species are as follows: class Nassophorea - Pseudomicrothorax agilis Mermod, 1914, Nassula exigua Kahl, 1931, class Colpodea - Cyrtolophosis mucicola Stokes, 1885, Maryna ovata (Gelei, 1950) Foissner, 1993, and class Spirotrichea - Meseres corlissi Petz & Foissner, 1992. Most of these 22 ciliate species disappeared from a raw culture within a few days (probably encystment), and a few cells were available from some species that resulted in incomplete identifications (e.g., genus-level). About the unrecorded five ciliate species, they are small in size (<60 ㎛ in vivo), and two of them live in a hyaline dwelling-tube, which is easily deserted by a cell with a stress. Their taxonomic classification is summarized as three classes, five orders, five families, and five genera. Here, we provide brief descriptions, micrographs of their morphology, and some remar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