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w-protected plants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32초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Zoning in Biosphere Reserves: Focusing on the Laws Related Protected Areas

  • Lee, Young-Jin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95-105
    • /
    • 2021
  • Background and objective: A biosphere reserve is a complex concept that combines the preservation of biodiversity and the sustainable development with the region, outstanding ecosystems with worth conserving in worldwid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way of zoning that can perform the functions of conservation, development, and logistics support of biosphere reserves. Methods: To meet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designation criteria, restrictions, and permissions of the protected area specified in the law for domestic protected areas were reviewed to classify the functions of a biosphere reserve. Results: Through this classification, 10 domestic protected areas with high ecological protection value, such as the natural beauty of the ecosystem, biodiversity, and habitats for wild animals and plants were derived as the core areas of the biosphere reserves. Also, a total of 21 protected zones that can function as a buffer to protect the core of the natural ecosystem from indiscriminate development such as resource protection, recovery, pollution prevention, and improvement were derived as appropriate sites for a buffer. In the review process, issues such as different behavioral restrictions and ranges of permission due to the application of different laws were identified, if two or more protected areas exist within one of the protected areas, there is a protected area that does not meet the criteria for designating use zone, or where behavior restrictions do not meet the zoning criteria of biosphere reserve, under the laws of domestic protected areas. Conclusion: Although this study was not able to carefully review most of the laws on domestic protected areas that are linked to other laws, it was able to categorize appropriate domestic protected areas that can act as the core and buffer zones of biosphere reserves.

검마산(경북 영양) 관속식물의 분포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Geommasan (Yeongyang, Gyeongbuk))

  • 유병찬;정형진;박명순;이선희;최하나;정수영;정규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81-291
    • /
    • 2007
  • 본 연구는 경북 영양군 검마산(해발 1,0l7m, 북위 $36^{\circ}\;42^{'}\;30.0^{"}{\sim}36^{\circ}\;45^{'}\; 30.1^{"}$, 동경 $129^{\circ}\;12^{'}\;30.0^{"}{\sim}129^{\circ}\;18^{'}\; 00.0^{"}E$)의 관속식물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004년 4월부터 2006년 10월까지 11회에 걸쳐 채집된 관속식물은 총 91과 318속 424종 3아종 73변종 13품종의 총 513종류로 정리되었으며, 이들을 유용성에 따라 구분하면 식용 243종류, 약용 307종류, 공업용 122종류, 관상용 85종류, 용도가 밝혀지지 않은 식물 77종류이었다. 특기할만한 식물로는 한국특산식물이 9종류, 환경부지정 법적 보호식물 4종류, 귀화식물이 21종류로서 귀화율은 4.1%, 도시화지수는 7.5%로 나타났다.

일월산(경북)의 관속식물상 (Flora of vascular plants in Irwolsan of Gyeongbuk)

  • 정형진;남기흠;박재호;정규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31-147
    • /
    • 2005
  • 본 연구는 경북 영양군 일월산(해발 1218.5m, 북위 $36^{\circ}\;45'\;00'\~36^{\circ}\;50'\;10'$, 동경 $129^{\circ}\;02'\;50'\~129^{\circ}\;09'\;00'$)의 관속식물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002년 5월부터 2003년 5월까지 16회에 걸쳐 채집된 관속식물은 총 105과 381속 618종 6아종 104변종 12품종의 총 740종류로 정리되었으며, 이들을 유용성에 따라 구분하면 식용 315종류, 약용 428종류, 공업용 100종류, 관상용 84종류, 용도가 밝혀지지 않은 식물 201종류이었다. 특기할만한 식물로는 한국특산식 물이 22종류, 환경 부지정 법적보호종이 6종류, 귀화식물이 27종류로서 귀화율은 $3.6\%$, 도시화지수는 $9.7\%$로 나타났다.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한 천연기념물 식물 유형 개발 (Classification of Protected Flora through Delphi Method)

  • 손지원;신진호;이재진;김도희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9권4호
    • /
    • pp.218-227
    • /
    • 2016
  • 천연기념물은 자연적 가치와 문화적 가치가 복합된 자연유산으로 매우 다양한 가치를 내포하고 있는 문화재이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문화재보호법" 상 천연기념물의 지정기준 및 천연기념물의 의미도 점차 변화되고 있다. 점차 식물의 희소성 및 학술적 가치 외에도 역사적, 민속적, 경관적 가치도 중요해지고 있으며, 이에 따른 천연기념물의 지정 및 관리 유형 개선이 필요한 시점이다. 하지만 현행 유형은 식물의 행태적 특성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식물의 다양한 가치를 포괄하는데 한계가 있고 "문화재보호법"의 문화재 정의 및 지정기준과의 연계성도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문화재로서 식물의 복합적인 가치를 담을 수 있도록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해 천연기념물 식물의 신규 유형을 제안하고 향후 다양한 천연기념물 발굴에 이를 활용하고자 하였다.

보호수 지정 및 관리를 위한 남해안 지역 산림문화자산 실태조사 (A Survey on the Forest Cultural Assets in the Southern Coastal Areas for the Designation and Maintenance of Law-protected Trees)

  • 강기래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8-36
    • /
    • 2012
  • 산림은 우리 생활 가까이에서 의복과 문화, 생존의 기반을 제공해 주고 있는 기본적인 자산이다. 이러한 자산은 문화와 생활로서 지역 주민들의 삶 속에 녹아들어 있으며, 후세로 이어져 나갈 것이다. 본 연구는 산림문화자산에 대한 조사가 부족한 지역인 남해안지역의 노거수 및 군락지와 숲에 대한 현지조사를 실시하여, 보호수로서의 지정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현장 조사는 남해안에 접해 있는 경남지방 전남지방의 11개 시, 군에 위치한 노거수 및 군락지와 숲 등 80개소를 조사하였다. 노거수 및 군락지와 숲의 건강성과 관리상태를 비교적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판단기준을 전문가 표적토론(brainstorming)을 통하여 설정하였다. 현장 조사 결과, 현재 보호수로 미지정된 노거수 및 군락지와 숲 중에서 산림청 예규 제 574호의 기준에 의한 법정보호수 지정 기준을 통과하고, 관리상태도 좋은 노거수 및 군락지와 숲을 선정하였다. 군락지는 남해 난음리 비자나무 숲이 선정가능성이 높으며, 노거수는 하동 평사리 부부소나무를 포함한 13개소의 나무들이 지정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노거수의 수종은 느티나무 3주, 팽나무 3주, 소나무 2주, 모밀잣밤나무, 왕버들, 후박나무 각 1그루씩이었다. 이러한 노거수와 군락지는 보호수로 지정하여서 국가의 체계적인 관리를 필요로 하며, 우리의 산림문화자산으로서 그 가치를 이어가야할 것으로 판단한다.

박지산(강원 평창) 관속식물의 분포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Bakjisan (Pyeongchang-gun, Gangwon))

  • 정규영;박명순;남보미;홍기남;장진;남기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79-98
    • /
    • 2010
  • 본 연구는 강원 평창군 박지산(해발 1,394 m, 북위 $36^{\circ}35'068"{\sim}36^{\circ}34'713"N$, 동경 $128^{\circ}36'245"{\sim}128^{\circ}36'252"$)의 관속식물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008년 4월 부터 2008년 10월까지 총 7회에 걸쳐 채집된 관속식물은 총 95과 304속 439종 4아종 53변종 6품종의 502종류로 정리되었으며, 이들을 유용성에 따라 구분하면 식용 248종류, 약용 263종류, 공업용 98종류, 관상용 138종류, 용도가 밝혀지지 않은 식물 98종이었다. 특기할 만한 식물로는 한국특산식물이 13종류, 환경부지정 법적 보호식물 II급이 2종류,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이 III등급 22종류, IV등급 13종류, V등급 6종류, 희귀식물 중 멸종위기종이 2분류군, 위기종이 4분류군, 취약종이 7분류군, 귀화식물이 18종류로 나타났다.

갈라산(경북 안동시.의성군) 관속식물의 분포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Gallasan (Andong-si.Uiseong-gun, Gyeongbuk))

  • 정규영;박명순;남보미;홍기남;장진;정형진;유기억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99-114
    • /
    • 2010
  • 본 연구는 경북 안동시 갈라산(해발 596.2 m, 북위 $36^{\circ}29'396"{\sim}36^{\circ}29'356"$, 동경 $128^{\circ}43'841"{\sim}128^{\circ}45'799"$)의 관속식물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006년 4월부터 2009년 8월까지 총 13회에 걸쳐 채집된 관속식물은 총 92과 273속 365종 2아종 47변종 10품종의 총 424종류로 정리되었으며, 이들을 유용성에 따라 구분하면 식용 239종류, 약용 291종류, 공업용 109종류, 관상용 135종류, 용도가 밝혀지지 않은 식물 24종이었다. 특기할 만한 식물로는 한국특산식물이 9종류, 환경부지정 법적 보호식물 II급이 2종류,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이 III등급 7종류, IV등급 1종류, V등급 2종류, 희귀식물 중 멸종위기종이 1분류군, 위기종이 3분류군, 취약종이 2분류군, 귀화식물이 23종류로 나타났다.

공덕산(경북 문경) 관속식물의 분포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Gongdeoksan (Mungyeong, Gyeongbuk))

  • 정규영;박명순;정수영;이선희;최하나;남보미;이유미;최혁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70-280
    • /
    • 2008
  • 본 연구는 경북 문경시 공덕산(해발 913m, 북위 $36^{\circ}$ $46^{\prime}$ $37.5^{\prime\prime}$${\sim}$$36^{\circ}$ $43^{\prime}$ $61.0^{\prime\prime}$, 동경 $128^{\circ}$ $15^{\prime}$ $00.3^{\prime\prime}$$\sim$$128^{\circ}$ $17^{\prime}$ $57.9^{\prime\prime}$)의 관속식물 분포와 유용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007년 5월부터 2007년 9월까지 총 5회에 걸쳐 채집된 관속식물은 총 86과 279속 374종 4아종 44변종 7품종의 총 429종류로 정리되었으며, 이들을 유용성에 따라 구분하면 식용 233종류, 약용 297종류, 공업용 113종류, 관상용 111종류, 용도가 밝혀지지 않은 식물 43종이었다. 특기할 만한 식물로는 한국특산식물이 5종류, 환경부지정 법적 보호식물이 1종류,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이 III등급 5종류, IV등급 1종류, V등급 1종류, 귀화식물이 15종류로서 귀화율은 3.5%, 도시화지수는 5.5%로 나타났다.

가거도(전라남도)의 관속식물상 (The Vascular Plants in Is. Gageo (Jeollanam-do))

  • 김중현;남기흠;김진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37-450
    • /
    • 201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lora of Is. Gageo (Jeollanam-do). The vascular plants were collected 13 times (from June 2008 to September 2011), and 465 taxa in total were identified, including 112 families, 301 genera, 402 species, 3 subspecies, 49 varieties, 9 forms and 2 hybrids. 171 taxa were first records for the region. Among them were seven taxa of Korean endemic plants and the Ministry of Environment-designated plants, which should be protected by the wildlife protection law, were identified as three taxa. There were 54 taxa of the flora with the levels III, IV, V in the floristic indicator plants which was designated by Ministry of Environment. The naturalized plants were identified as 29 taxa, and their naturalization ratio and urban index were found to be 6.2% and 9.0% respectively. There existed many kinds of plants resources having conservational value like $Loxogramme$ $salicifolia$, $Sarcandra$ $glabra$, $Osmanthus$ $insularis$, $Saussurea$ $polylepis$, $Carex$ $ligulata$ var. $austrokoreensis$, $Hosta$ $jonesii$, $Cyrtosia$ $septentrionalis$, etc., in this area. As therefore clear that appropriate plans to conserve the natural habitat of Is. Gageo must be made immediately.

문수산(경기도)의 관속식물상 (The Vascular Plants in Mt. Munsu(Gyeonggi-do))

  • 김중현;남기흠;윤창영;이병윤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59-481
    • /
    • 201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vascular flora of Mt. Munsu. The vascular plants collected in 13 times(from Mar. to Oct. 2009) were identified as 511 taxa in total, including 113 families, 332 genera, 445 species, 5 subspecies, 46 varieties, 5 forms. Among them, 6 taxa of the Korea Forest Service-designated rare & endangered plants and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identified as 2 taxa. Based on the list of approved for delivering overseas of plants, 6 taxa were recorded in the investigated area. The Ministry of Environment-designated plants, which should be protected by the wildlife protection law, were identified as 2 taxa and 39 taxa of specially designated plants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he naturalized plants were identified as 53 taxa, and their naturalization ratio and urban index were found to be 10,3%, and 18.5% respectively. There existed many kinds of plants resources having conservational value like Ranunculus trichophyllus var. kadzusensis, Jeffersonia dubia etc, in this area, but there remains a fear of nature destruction's acceleration due to indiscriminate human development and access of a lot of visitors, so it is judged that there should be a management plan, such as a limit on the number of visitors or rest-year-system for restoration of n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