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lassification of Protected Flora through Delphi Method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한 천연기념물 식물 유형 개발

  • Son, Ji Won (Natural Heritag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Shin, Jin Ho (Natural Heritag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Lee, Jae Jin (Natural Heritag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Kim, Do Hee (Natural Heritag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손지원 (국립문화재연구소 자연문화재연구실) ;
  • 신진호 (국립문화재연구소 자연문화재연구실) ;
  • 이재진 (국립문화재연구소 자연문화재연구실) ;
  • 김도희 (국립문화재연구소 자연문화재연구실)
  • Received : 2016.09.30
  • Accepted : 2016.10.26
  • Published : 2016.12.30

Abstract

Protected Flora are natural heritage that involve a wide variety of valuable natural values and cultural values. Over time, "Cultural Properties Preservation Law" has been changing the definition and the criteria of Protected Flora. In addition to the academic value and the rarity of the plant, historical, ethnic and landscape values have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For that reason the declaration and management processes of the Protected Flora need to be improved. However, the current statute has focused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plants which have a limit to encompass various values of the plant. It also does not correspond to the definition of Protected Flora and its declaration criteria stated on the "Cultural Properties Preservation Law." For this reason,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new types of Protected Flora so that various Protected Flora can be discovered in the future.

천연기념물은 자연적 가치와 문화적 가치가 복합된 자연유산으로 매우 다양한 가치를 내포하고 있는 문화재이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문화재보호법" 상 천연기념물의 지정기준 및 천연기념물의 의미도 점차 변화되고 있다. 점차 식물의 희소성 및 학술적 가치 외에도 역사적, 민속적, 경관적 가치도 중요해지고 있으며, 이에 따른 천연기념물의 지정 및 관리 유형 개선이 필요한 시점이다. 하지만 현행 유형은 식물의 행태적 특성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식물의 다양한 가치를 포괄하는데 한계가 있고 "문화재보호법"의 문화재 정의 및 지정기준과의 연계성도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문화재로서 식물의 복합적인 가치를 담을 수 있도록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해 천연기념물 식물의 신규 유형을 제안하고 향후 다양한 천연기념물 발굴에 이를 활용하고자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농업과학원, 2003, 한국 농업농촌 전통지식자원 분류안, 농촌진흥청
  2. 권태일, 2008, 관광지 리모델링 사업의 영향요인 우선순위 도출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문화재관리국, 1998a, 천연기념물백서, 문화재청
  4. 문화재관리국, 1998b, 문화재대관 천연기념물편 1.2, 문화재관리국
  5. 문화재청, 2003, 천연기념물백서
  6. 문화재청, 2001, 천연기념물.명승 보존관리
  7. 박상진, 2011, 문화와 역사로 만나는 우리나무의 세계 1.2권, 김영사
  8. 생명의숲국민운동본부, 2007, 조선의 임수(역주), 지오북
  9. 신연희 외, 2013, 충청북도 남부지역의 민속식물, 한국자원식물학회지, 26(1)
  10. 오문향, 2013, 델파이 기법과 AHP를 활용한 국가 간 관광산업 경쟁력 평가지표 개발,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이선, 2009, 한국의 자연유산 천연기념물의 역사와 그를 둘러싼 이야기들, 수류산방
  12. 이승민, 2008, 한국적 여가교육을 위한 지식체계 및 실행활성화 요인 탐색,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이은복 외, 2011, 천연기념물 수림지의 효율적인 관리방안 마련 연구, 문화재청
  14. 이종성, 2006, 델파이 방법, 교육과학사
  15. 정례란.최경.박광우.문현식 외, 2012, 충남내륙지역 민속식물의 약용자원 이용특성, 한국자원식물학회 발표자료
  16. 조선총독부, 1919, 조선 거수 노수 명목지
  17. 행정안전부, 2010, 2010 전국 향토자원 조사 및 분석 결과, 행정안전부
  18. Kamei.Nakagoshi, 2000, Mikio KAMEI, Nobukazu NAKAGOSHI, The Effectiveness of Plant Pretection Under Japan's Natural Monuments System, Landscape Research Japan, 65(5)
  19. Lawshe,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
  20. Nora M., 2013, Study on the allication of croterion VII, IUCN
  21. 민속아카이브 홈페이지 http://archive.nfm.go.kr/index_NEW2.j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