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teral Load

검색결과 1,626건 처리시간 0.04초

점토지반에 근입된 모형송전철탑 연결형 기초의 수평거동분석 (The analysis of lateral behavior of connected foundation for transmission tower in clay)

  • 경두현;송원준;이준환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10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 /
    • pp.629-637
    • /
    • 2010
  • In this study, we analyzed lateral behavior of connected foundation for transmission tower in clay. For this study, we performed model lateral load test, measured load-displacement curve of connected foundation. For the tests, we manufactured connected foundation model that consider a change of rigidity, installed various measuring sensors for understanding of elements and general foundation behavior. From the test results, we measured load capacities using various methods, compared and analyzed these capacities.

  • PDF

강널말뚝의 횡방향 진동모델에 대한 매개변수 연구 (Parametric Study on Lateral Vibration Model of Steel Sheet Pile)

  • 이승현;김병일;김주철;김정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1047-1052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진동타입기에 의해 시공되는 강널말뚝의 횡방향진동모델에 대해 횡방향스프링상수를 달리하여 횡방향진동에 따른 에너지손실 및 하중감소계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강널말뚝의 자유길이에 따른 에너지손실과 하중감소계수는 계산에서 고려한 횡방향스프링상수의 크기에 관계없이 강널말뚝의 휨강성보다는 편심거리의 크기에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계산에서 고려한 횡방향 스프링상수값, 10000N/m 이상일 경우 말뚝의 자유길이에 따른 하중감소계수가 수렴함을 알 수 있었다.

An alternative evaluation of the LTB behavior of mono-symmetric beam-columns

  • Yilmaz, Tolga;Kirac, Nevzat;Anil, O zgur
    • Steel and Composite Structures
    • /
    • 제30권5호
    • /
    • pp.471-481
    • /
    • 2019
  • Beam-columns are structural members subjected to a combination of axial and bending forces. Lateral-torsional buckling is one of the main failure modes. Beam-columns that are bent about its strong axis may buckle out of the plane by deflecting laterally and twisting as the values of the applied loads reach a limiting state. Lateral-torsional buckling failure occurs suddenly in beam-column elements with a much greater in-plane bending stiffness than torsional or lateral bending stiffness. This study intends to establish a unique convenient closed-form equation that it can be used for calculating critical elastic lateral-torsional buckling load of beam-column in the presence of a known axial load. The presented equation includes first order bending distribution, the position of the loads acting transversely on the beam-column and mono-symmetry property of the section. Effects of axial loads, slenderness and load positions on lateral torsional buckling behavior of beam-columns are investigated. The proposed solutions are compared to finite element simulations where thin-walled shell elements including warping are used. Good agreement between the analytical and the numerical solutions is demonstrated. It is found out that the lateral-torsional buckling load of beam-columns with mono-symmetric sections can be determined by the presented equation and can be safely used in design procedures.

성토지반에 타입된 H형강 말뚝의 지지거동 (Bearing Capacity of Driven H-Piles in Embankment)

  • 박영호;정경자;김성환;유성근;이재혁;박종면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0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73-182
    • /
    • 2000
  • To find axial and lateral responses of impact-driven H piles in embankment(SM), the H piles are instrumented with electric strain gages, dynamic load test is performed during driving, and then the damage of strain gages is checked simultaneously. Axially and laterally static load tests are performed on the same piles after one to nine days as well. Then load-settlement behavior is measured. Furthermore, to find the set-up effect in H pile, No. 4, 16, 26, and R6 piles are restriked about 1, 2, and 14 days after driving. As results, ram height and pile capacity obtained from impact driving control method become 80cm and 210.3∼242.3ton, respectively. At 15 days after driving, allowable bearing capacity by CAPWAP analysis, which 2.5 of the factor of safety is applied for ultimate bearing capacity, increases 10.8%. Ultimate bearing capacity obtained from axially static load test is 306∼338ton. This capacity is 68.5∼75.7% at yield force of pile material and is 4∼4.5 times of design load. Allowable bearing capacity using 2 of the factor of safety is 153∼169ton. Initial stiffness response of the pile is 27.5ton/mm. As the lateral load increases, the horizontal load-settlement behaves linearly to which the lateral load reaches up to 17ton. This reason is filled with sand in the cavity formed between flange and web during pile driving. As the result of reading with electric strain gages, flange material of pile is yielded at 19ton in horizontal load. Thus allowable load of this pile material is 9.5ton when the factor of safety is 2.0. Allowable lateral displacement of this pile corresponding to this load is 23∼36mm in embankment.

  • PDF

다층지반에 근입된 현장타설말뚝의 수평 지지거동분석 (Lateral Resistance Behavior Analysis of Drilled Shafts in Multi-layered Soil)

  • 장서용;정재훈;김종렬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61-70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말뚝의 하중-수평변위 거동에 대한 해석 방법 중에서 지반공학적인 측면에서 널리 쓰이고 있는 하중전이함수법에 대해 고찰하였다. 다층지반에 관입되어 사질토에 근입된 대구경 현장타설말뚝의 실물 수평재하시험을 실시하여 계측결과를 분석하였고, 계측데이타의 분석을 통해 현장에 적용가능한 하중-변위을 제안하였다 현장재하시험결과와 유한차분해석 프로그램인 "LPILE"에 의한 기존에 제안된 하중전이함수식의 조합에 의한 해석결과를 대상으로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계측데이타의 분석에 의해 하중-변위곡선을 여러 함수식으로 표현해본 결과, 지수형모델인 $y=ae^{bx}$ (여기서 y : 변위(mm), x : 하중(ton))가 가장 간단하고 적용성이 뛰어난 것으로 분석되었고 a값은대체로 1.3에, b값 은0.02에 근접한 경향을 보인다. 현장실측결과와 'LPILE'에 의한 하중전이함수식의 조합에 의한 해석결과를 비교, 분석한 결과 수평하중이 작을때에는 계산된 변위와 실측 변위가 거의 유사한 값을 보이다가 수평하중이 커짐에 따라 계산된 변위가 실측 변위보다 크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하중전이함수의 조합인 Matlock-Reese의 방법과 Matlock-API 방법에 의한 결과를 비교해 보면 Matlock-Reese 의 방법이 수평변위가 상대적으로 크게 산정되었다.

Lateral stiffness of corner-supported steel modular frame with splice connection

  • Yi-Fan Lyu;Guo-Qiang Li;Ke Cao;Si-Yuan Zhai;De-Yang Kong;Xuan-Yi Xue;Heng Li
    • Steel and Composite Structures
    • /
    • 제48권3호
    • /
    • pp.321-333
    • /
    • 2023
  • This paper proposes a comprehensive investigation on lateral stiffness of corner-supported steel modular frame using splice connection. A full-scale modular frame with two stacked steel modules under lateral load is tested. Ductile pattern in the transfer of lateral load is found in the final failure mode. Two types of lateral stiffness, including tangent stiffness and secant stiffness, are defined from the load-displacement due to the observed nonlinearity.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types of stiffness is found around 20%. The comparisons between the experimental lateral stiffness and the predictions of classical methods are also conducted. The D-value method using hypothesis of independent case is a conservative option for predicting lateral stiffness, which is more recommended than method of contraflexural bending moment. Analyses on two classical short-rod models, including fix-rod model and pin-rod model, are further conducted. Results indicate that fix-rod model is more recommended than pin-rod model to simplify splice connection for simulation on lateral stiffness of modular frame in elastic design stage.

수평재하시험 역해석을 통한 수평지반반력계수 산정 (Estimation of Coefficient of Horizontal Subgrade Reaction by the Inverse Analysis on the Lateral Load Test Results)

  • 류수용;곽노경;박민철;정상국;이송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3권8호
    • /
    • pp.15-24
    • /
    • 2012
  • 수평하중을 받는 말뚝의 해석에서 수평지반반력계수($k_h$)의 결정이 중요하나 시간과 비용 등의 문제로 기존의 제안식을 이용하여 수평지반반력계수를 산정하고 있어 말뚝기초의 거동을 상이하게 평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평재하시험결과를 이용한 Chang 방법 및 수치해석 역해석 방법으로 수평지반반력계수를 산정하여 기존 제안식과의 상관성을 비교 분석하여 적정성 및 신뢰성을 규명하였다. 수평재하시험에 의한 수평지반반력계수 분석결과는 Chang 방법으로 산정된 값이 역해석에 의한 방법에 비해 과소평가 되었다. 그리고 도로교 표준시방서 방법으로 산정 시 지반의 변형계수는 Eo${\fallingdotseq}$1,400~1,600N 적용하는 경우 수평재하시험에 의한 수평지반반력계수와 유사한 범위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응력상태를 고려한 사질토지반에 관입된 말뚝의 극한수평지지력 분석 및 평가 (Estimation of Pile Ultimate Lateral Load Capacity in Sand Considering Lateral Stress Effect)

  • 이준환;백규호;김대홍;황성욱;김민기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4호
    • /
    • pp.161-167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수평하중을 받는 말뚝을 대상으로 응력상태에 따른 극한수평지지력의 변화추이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다양한 응력상태를 고려할 수 있는 극한수평지지력의 평가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의 수평지지력 평가방법에 있어 제한되었던 응력효과의 고려가 가능하게 되었으며, 지반조건 및 시공조건 등에 따른 지반응력 변화를 보다 효과적으로 반영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위해 모래질 지반을 대상으로 모형토조에서 수행된 말뚝의 수평재하시험결과가 사용되었으며, 토조실험에는 다양한 범위의 응력상태가 고려되었다. 분석결과, 말뚝의 극한수평지지력은 수직응력 및 수평응력 모두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수평응력에 따라 더욱 민감하게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극한수평지지지력이 발휘되는 변위량의 수준은 지반조건에 따라 달랐으며, 상대밀도가 50%범위에서는 상대변위량 14%내외, 86%내외에서는 18-25%정도의 상대변위량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극한수평지지력 평가를 위한 수평토압보정계수가 제안되었으며, 제안된 평가법에 의한 예측치는 다양한 응력조건에 대해 실측치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띠철근 강도가 고강도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휨거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 문호권;양근혁;이영호;정헌수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0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87-392
    • /
    • 2000
  • This paper presents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behavior of high strength concrete columns confined by rectangular ties under combined axial load lateral load. This test was carried on the twelve reinforced concrete columns with $200\times200\times200$mm size subjected to combined axial load and lateral load. Effects of key variables such as the axial load level, the tie yield strength, the longitudinal reinforcement ratio are studied in this research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efficiency of high strength lateral ties increase under high axial load level over 0.4f(아래첨자) A(아래 첨자). Also we found that well confined concrete column shows second peak monent after spalling of cover concrete under high axial load level.

  • PDF

강관합성 현장타설말뚝 머리의 수평하중-변위 거동 분석 (Analysis of Pile Head Lateral Load-Deflection Behavior of Steel-Concrete Composite Drilled Shafts)

  • 이용안;정문경;박재현;이주형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7권12호
    • /
    • pp.97-10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강관합성 현장타설말뚝의 수평재하시험을 수행하고, 공내재하시험과 표준관입시험 결과에 의한 지반반력계수를 평가하여, 말뚝 머리의 수평거동에 대한 다양한 해석법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표준관입시험의 N값에 의한 지반반력계수를 이용하는 방법은 말뚝의 허용 변위량 내에서 수평거동을 평가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공내재하시험에 의한 지반반력계수를 이용하는 방법은 말뚝의 초기 수평거동을 비교적 잘 모사할 수 있었으며, 프레셔미터 곡선을 직접 말뚝머리의 p-y 곡선으로 이용하는 방법에서, 말뚝 재료에 대한 보정계수를 도입하여 말뚝머리의 수평거동을 타당하게 평가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