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teolabrax japonicus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5초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 변동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s of Fishes in Eelgrass (Zostera marina) Bed in Kwangyang Bay)

  • 허성희;곽석남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02-220
    • /
    • 1997
  •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 변동을 조사하기 위해 1994년 1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소형 trawl을 이용하여 대도 주변 잘피밭에서 어류를 매월 채집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어류는 총 57종이 채집되었다. 실고기(Syngnathus schlegeli), 베도라치(Pholis nebulosa), 가시망둑(Pseudoblennius cottoides), 주둥치(Leiognathus nuchalis), 볼락(Sebastes inermis), 날개망둑(Favonigobius gymnauchen) 등이 많이 채집되었는데, 이들은 채집된 총 개체수의 69.9%를 차지하였다. 그 다음으로는 줄망둑(Acentrogobius pflaumi), 문절망둑(Acanthogobius flavimanus), 복섬(Takifugu niphobles), 그물코쥐치(Rudaris ercodes), 농어(Lateolabrax japonicus), 붕장어(Conger myriaster), 감성돔(Acanthogobius schlegeli), 꼼치(Liparis tanakai), 쥐치(Stephanotepis cirrhifer), 실비늘치(Aulichthys japonicus), 쥐노래미(Hexagrammos otakii), 청보리멸(Silago japonicus) 등의 순으로 채집되었다. 본 조사해역에서 채집된 어류는 대부분이 15cm 이하의 소형 어종이거나 대형 어종의 유어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잘피밭 어류 군집은 뚜렷한 계절 변동을 보였는데, 채집 어종수는 가을에, 채집 개체수 및 생체량은 봄에 높았으며, 겨울에는 어종수 및 개체수 모두 낮았다. 한편 종다양도지수는 가을철에 높았다. 어류 군집의 계절 변동은 수온, 잘피의 현존량 및 먹이생물의 양적 변동에 의하여 영향을 받고있었다. 밤과 낮동안의 채집량을 비교한 결과, 야간에 채집된 어종수 및 개체수가 주간에 비하여 많았다.

  • PDF

남해군 삼동면 연안 어류의 월별 종조성 변화 (Seasonal Variation in Fish Species Composition in the Coastal Water of Samdong-myeon, Namhae, Korea)

  • 김준섭;이용득;이승환;박준수;곽우석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55-64
    • /
    • 2018
  • 남해 삼동면 연안의 사질과 잘피밭의 어류군집을 비교하기 위해서 2011년 3월부터 2012년 2월까지 소형 beam trawl과 지인망을 이용하여 어류를 매월 채집하였다. 두 곳의 조사지점에서 공통으로 출현한 종은 총 19종이었다. 실고기, 풀해마, 가시망둑, 돌팍망둑, 감성돔, 베도라치, 문절망둑, 줄망둑, 날개망둑, 살망둑, 두줄망둑, 문치가자미, 복섬 등이 공통으로 출현하였고, 이 중 실고기, 풀해마, 가시망둑, 베도라치, 복섬은 잘피밭에서, 돌팍망둑, 감성돔, 문절망둑, 줄망둑, 날개망둑, 살망둑, 두줄망둑, 문치가자미는 사질연안에서 주로 출현하였다. 실비늘치와 해마, 볼락, 농어, 독가시치는 잘피밭에서만 출현하였고, 풀반지, 숭어, 쑤기미, 양태, 쥐노래미, 알롱횟대, 꼼치, 동갈양태, 댕기망둑은 사질에서만 출현하였다. 채집된 어류 대부분은 소형어나 유어로 남해 연안의 잘피밭과 사질연안이 이들 어류의 성육장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출현 종수는 2011년 8~9월에, 개체수는 2011년 8월이 가장 높았다. 생체량은 2011년 4월과 9월에 가장 높았다. 대체적으로 겨울철에는 출현 종수, 개체수 및 생체량이 모두 낮았다. 개체수 및 생체량은 사질연안에 비하여 모두 잘피밭에서 높았으며, 사질연안에서는 잘피밭을 선호하는 어류들이 다수 출현하였지만, 잘피밭에서는 사질연안을 선호하는 어종이 거의 출현하지 않았다.

진동만 잘피발과 인근 잘피가 없는 해역의 어류군집 비교 (Comparisons of Fish Assemblages Associated with Eelgrass Bed and Adjacent Unvegetad Habitat in Jindong Bay)

  • 곽석남;허성회;최창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19-128
    • /
    • 2006
  • 진동만 다구리 잘피밭과 인근 잘피가 없는 해역의 어류군집을 비교하기 위해서 2002년 1월부터 12월까지 소형 빔 트롤을 이용하여 어류를 매월 채집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우점하였던 쥐노래미, 감성돔, 농어, 베도라치, 흰베도라치, 주둥치, 문절망둑, 그리고 실양태가 우점하였다. 특히 감성돔과 농어는 잘피밭에서 문절망둑과 실양태는 잘피가 없는 해역에서 많이 출현하였다. 청보리멸, 산호해마, 복섬 및 돌팍망둑, 실고기, 흰꼬리볼락 및 볼락 등은 잘피밭에서만, 양태 및 날개망둑 등은 잘피가 없는 해역에서만 출현하였다. 본 조사해역에서 출현한 어류는 대부분이 소형 어종이거나 대형 어종의 유어들로 구성되어 있어서, 잘피밭이 작은 크기의 어종들에게 좋은 성육장의 역할을 하고 있었다. 어류군집은 뚜렷한 계절변동을 보였는데, 출현 종수는 2002년 5월에, 출현 개체수는 2002년 4월에서 7월 사이에 아주 높았다. 한편 생체량은 2002년 4월과 7월에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대체적으로 겨울철에는 출현 종수, 개체수 및 생체량이 모두 낮았다. 잘피밭과 잘피가 없는 인근해역의 어류 군집을 비교해보면, 출현 종수, 개체수 및 생체량이 모두 잘피밭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잘피밭은 잘피가 밀생되어 있어서 먹이 이용 가능성 및 포식자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는 서식처의 특성에 의한 것으로 주요 우점종의 체장분포에서도 두 서식처간의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한국의 간흡충에 관한 연구 XIII. Heterophyopsis continua에 의한 인체감염 2례 (Studies On Intestinal Trematodes in Korea XIII. Two Cases of Human Infection by Heterophyopsis continua and the Status of Metacercarial Infection in Brackish Water Fishes)

  • 서병설;이순형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2권1호
    • /
    • pp.51-60
    • /
    • 1984
  • 반염수산 어류를 중간숙주로하여 매개되는 Heterephyopsis continua에 의한 인체감염 2예가 1983년 praziquantel 치료로 성충을 얻음으로써 화인되었다. 또, 정화한 감염원을 알아보기 위하여 전라남도 해안지방에서 잡은 반염수어에 있어서의 피낭유충 감염상황을 조사하였다. 환자는 24세 및 50세된 남자로 남해안 지방이 고향이며 상복부통, 설사 등 일반적인 소화기 중상을 호소하거나 조충류의 편절이 배출됨을 호소하여 prasiquantel 10-15 mg/kg을 단루 투여하고 하제를 사용하여 치료하였다. 그 결과 조충은 물론 2예에서 각각 2마리 및 46마리의 H. continua 흡충이 설사편으로부터 수집되었다. 환자들은 몇가지 종류의 반염수어를 생식한 경력이 있었다. 어류 중문오주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검사한 27마리의 농어 (Lateolabrax japonicas)중 17마리 (63.0%), 34마리의 문절망둑(Acanthogobius yavimanus)중 10마리(29.4%)에서 H. continua의 피낭유충이 검출되었으나 42마리의 숭어(Mugil cephalus)는모두 음성으로 나타났다. 2. 농어 및 문절망둑에 있어서 마리당 평균감염 피낭유충수는 55.4 띤 18.7 개이었고 대부분의 피낭유충은 농어의 경우 몸체부 근육에서 발견되었다. 3. 피낭유충을 실험적으로 2마리의 횐쥐 및 1마리의 어린 개(견)에 감염시켜 성충을 얻고자 한 바 휜쥐에서는 얻을 수 없었고 개에서 2마리의 H. continua 성충을 얻을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환자들이 생식한 농어, 문절망둑 등 반염수산 어류가 이들에 있어서 H. continua의 감염원이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 PDF

새만금 해역 조수 웅덩이의 어류 (Tide-pool Fishes from Saemangeum Waters)

  • 최윤;임환철;라혜강;양재삼;최강원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42-147
    • /
    • 2005
  • 새만금 방조제 축조에 따른 조간대 어류 군집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조수웅덩이가 잘 발달된 전북 군산시 내초도와 전북 부안군 해창의 조수웅덩이를 대상으로 2002년부터 2004년까지 매월 어류를 채집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채집된 어류를 기존의 자료와 비교 검토한 결과, 부안군 해창의 조수웅덩이에서 종의 수는 다소 감소하였으나, 두줄망둑 Tridentiger trigonocephalus가 우점종으로 나타난 점은 종전에 비해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전북 군산시 내초도의 조간대에서는 종 수의 감소 외에도 우점종이 두줄망둑 T. trigonocephalus에서 풀망둑 Synechogobius hasta로 바뀌었고, 특히 모래 바닥을 서식처로 하는 날개망둑 Favonigobius gymnauchen의 감소현상이 뚜렷하였다. 한편 부안군 해창의 조간대에는 감성돔의 유어들이 본 조사 기간에도 다량 출현하고 있었지만, 내초도 조간대의 경우 1994년과 2000년에 조수웅덩이에서 다량으로 채집되었던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와 농어 Lateolabrax japonicus의 유어들이 채집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내초도 조간대는 이들 어류의 성육장으로서의 기능이 갈수록 소실되어 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전반적인 결과는 부안 해창에 비해 군산 내초도의 조간대가 펄에 의한 퇴적이 더욱 심하여 조간대 어류의 서식 환경이 크게 변하고 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여수 연안에서 자망에 어획된 어류의 종조성 및 양적변동 (Fluctuations i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collected by gill net fisheries in coastal water of Yeosu, Korea)

  • 오성재;한경호;고수진;이성훈;신임수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0권4호
    • /
    • pp.633-642
    • /
    • 2014
  • Monthly variation i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the fishes were investigated based on specimens collected by gill net in coastal water of Yeosu from October, 2009 and February, May, August, 2010. The collected fishes were 1,529 individuals (183,840g) of the total, identified into 6 orders, 16 families and 24 species. The most dominant order fish was Perciformes comprised 9 species, 7 families, and followed Pleuronectiformes comprised 5 species, 3 families, Scorpaeniformes comprised 5 species, 2 families. These 3 orders constituted 81.1% of the total collected fish. During the study, most dominant species was Hexagrammos otakii accounted for 189 individuals (12.4%) of the total, followed by Lateolabrax japonicus 165 individuals (10.8%), Hexagrammos agrammus 154 individuals (10.0%). The fish was collected by a gill net in coastal water of Yeosu from October, 2009 and February, May, August, 2010, the diversity index of the fishes was 2.09~2.66, which was the highest in August, 2010 and the lowest in February, 2010. The evenness index of them was 0.84~0.89, which was the highest in August, 2010 and the lowest in February, 2010 and the richness index of them was 2.02~3.14, which was the highest in October, 2009 and the lowest in February, 2010. The analyzed species diversity index by the each stations was 2.47~2.66 and the evenness index was 0.84~0.90 and the richness index 2.99~3.37. The similarity of community structure per season was very high which was the least in spring and fall. In addition, the community structure was very similar in state 3 and 2 out of each stations.

남해안 어류양식장에서 분리 된 Enterococcus Faecalis와 E. faecium의 항균제 감수성 비교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Pattern of Enterococcus faecalis and E. faecium from Fish Farms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 오은경;손광태;유홍식;김지회;이태식;이희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435-439
    • /
    • 2008
  • The antimicrobial resistance of 160 strains of Enterococcus faecalis and 173 strains of E. faecium to 12 antimicrobial agents was investigated. The test strains were isolated from 126 wild seawater and farmed fish, including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black rock fish (Sebastes schlegeli), red sea bream (Pagrus major), and sea bass (Lateolabrax japonicus), in 2005 and 2006. Overall, 91.9% of the E. faecalis isolates and 88.4% of the E. faecium isolates showed antimicrobial resistance to at least one antimicrobial agent. The pattern of antimicrobial resistance of the isolates differed little according to the species of fish. The percentage of E. faecalis and E. faecium with specific antimicrobial resistance differed according to the sample source. For the isolates from farmed fish samples, 66.7% of E. faecalis were tetracycline resistant and 54.5% of E. faecium were erythromycin resistant. By contrast, in the wild fish seawater samples, 92.0% of E. faecalis were rifampin resistant and 88.5% of E. faecium were tetracycline resistant.

HPLC를 이용한 어류 중의 Amoxicillin과 Ampicillin 항생제 동시 분석법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Amoxicillin and Ampicillin in Fish Meat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조미라;김풍호;이태식;오은경;유홍식;이희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454-459
    • /
    • 2006
  • A simultaneous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ssay method for amoxicillin and ampicillin in fish products was developed, evaluated, and validated by monitoring these antibiotics in fish samples obtained from aquaculture and distribution. The recovery rate of this method was higher than those of conventional methods and was 95.3-106.6% for amoxicillin and 81.4-92.4% for ampicillin. Our pretreatment procedure sufficiently removed or reduced materials affecting HPLC analysis, such as low-molecular-weight substances. The performance limit of this method was evaluated as 0.01 ppm of amoxicillin and ampicillin in fish muscle. Finally, 171 fish samples, including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common sea bass (Lateolabrax japonicus), and black rock fish (Sebastes schlegeli) collected from fish farms in the coastal area between April and September 2005 were analyzed to evaluate the overall efficiency of the method and to monitor the actual of amoxicillin and ampicillin usage in fish farm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developed method was suitable for analyzing amoxicillin and ampicillin in fish muscle, and determined that those antibiotics were being used for fish farming but were not detected in fish samples during the shipping and distribution stages.

남해안 어류양식장에서 분리된 Escherichia coli에 대한 항균제 감수성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Escherichia coli Isolated from Fish Farms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 손광태;오은경;박큰바위;권지영;이희정;이태식;김지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22-328
    • /
    • 2009
  • Three-hundred and sixteen Escherichia coli strains from seawater, and a variety of farmed fishes, including oliver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black rock fish (Sebastes schlegeli), red sea bream (Pagrus major) and sea bass (Lateolabrax japonicus) between May to October in 2004, were tested by agar dilution method to determine their susceptibility patterns to 17 antimicrobial agents. Overall, 92.1% of Escherichia coli isolates from samples showed antimicrobial resistance to at least one antimicrobial agent and the multiple resistance was seen in 173 isolates (54.7%). The resistance of E. coli isolates to tetracycline (74.1%) was highest, followed by cephalothin (69.9%), doxycycline (66.5%), streptomycin (47.2%), ampicillin (46.2%), cefazolin (31.6%), enrofloxacin (31.0%). norfloxacin (28.2%). The most frequent resistance pattern was TE-D-CF-CIP-ENO-NOR-AM-S-C-SXT-AmC-CZ (14.7%), followed by CF (6.2%), TE (5.1%), TE-CF (4.5%) in 177 isolates from fishes and TE-D-CF (7.2%) followed by TE-D-CF-S (5.8%), CF and TE-D-S (3.6%) in 139 isolates from seawater.

남해안 양식어류의 fluoroquinolone계 항균제 잔류량 (Residual Concentrations of Fluoroquinolones in Farmed Fish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 김풍호;이희정;조미라;이태식;하진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66-71
    • /
    • 2006
  • Fluoroquinoles have a wide range of antimicrobial properties and are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bacterial diseases in fish. The use of fluoroquinoles continues to grow steadily. Fluoroquinolone antibiotics are probably the most important class used among synthetic antibiotics in human and veterinary medicines because of their broad activity spectrum and good oral absorp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residue of antibiotics in four species of farmed fishes, including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black rock fish (Sebastes schlegeli), red sea bream (Pagrus major), and sea bass (Lateolabrax japonicus), collected from fish farms located in the southern coastal area of Korea. The residues of fluoroquinolones were determined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with a fluorescence detector. Residuals of five fluoroquinolones in muscle tissue of farmed fish were analyzed. We found that enrofloxacin was the most common agent in fish muscle, and that ciprofloxacin was the next most common. The range of detected concentrations of fluoroquinolones in olive flounder muscle was 0-0.859 mg/kg in 32.6% of all samples. Enrofloxacin was commonly detected in sea bass muscle at a range of 0-0.143 mg/kg in 38.9% of all samples. Fluoroquinolones were detected in 6.9% of black rock fish muscle and in 16.6% of sea bream, although the detected concentration was below 0.01 mg/kg. The maximum detection value of enrofloxacin and ofloxacin in olive flounder at the time of shipping was 0.102 mg/kg and 0.09 mg/kg, respectively; no other antimicrobials were detected. We detected no antimicrobial substances in red sea bre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