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rval survival

검색결과 182건 처리시간 0.03초

명태(Gadus chalcogrammus)의 수온별 부화 및 초기 성장 (Effect of Water Temperature on the Egg Hatch and Early Growth of Walleye Pollock (Gadus chalcogrammus))

  • 최진;한경식;이기욱;변순규;임현정;김희성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78-83
    • /
    • 2020
  • 수온은 양식 대상어의 종자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환경 요인이다. 본 연구는 최근 급격한 자원 감소를 보이고 있는 한해성 어종인 명태의 안정적인 종자생산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수온이 명태의 부화 및 초기 자어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수정란의 생존율은 5℃가 8℃와 11℃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부화율은 8℃에서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첫 부화, 50% 부화 및 완전 부화까지의 소요 시간은 11℃가 5℃와 8℃에 비하여 빠르게 나타났다. 12주간의 사육기간 동안 자어의 생존율은 5℃가 8℃와 11℃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나, 성장은 11℃가 5℃와 8℃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부유토사가 담수 어류 3종(붕어, 잉어, 송사리)의 초기 생활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Early Life Stage of Three Freshwater Fish (Carassius auratus, Cyprinus carpio, Oryzias latipes) Exposed to Suspended Solids)

  • 문성대;강신길;이창훈;성찬경;안광국;최태섭
    • 생태와환경
    • /
    • 제47권2호
    • /
    • pp.82-9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부유토사로 인한 탁도 증가가 어류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험실 모의실험을 수행하였다. 국내 강 또는 호소에서 출현 비율이 높은 붕어, 잉어, 송사리를 대상으로 수정란 부화율 평가를 수행한 결과 붕어, 잉어는 4,040 NTU 수준까지 수정란 부화에 미치는 영향이 없었지만, 송사리는 254 NTU 이상의 구간에서 부화율이 저해되는 영향을 보였다. 붕어, 잉어, 송사리 치어의 4일간 노출 결과 생존에 미치는 영향은 없었다. 반면 성장률 결과에서 잉어와 붕어는 7일, 14일, 21일 모두 143 NTU 구간부터 성장저해 영향을 보였다. 송사리는 14일 노출 시 254 NTU, 21일간 노출 시 501 NTU 구간부터 성장저해 영향을 보였다. 따라서 강 또는 호소에서 143 NTU 이상의 탁도가 발생할 경우 붕어, 잉어의 성장을 저해시킬 수 있고, 250 NTU 이상의 탁도는 송사리와 같이 민감 어종의 부화율이 저해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Studies on Cryopreservation of D-shaped and Umbo Larvae of Arkshel1(Scapharca broughtonii)

  • K.H. Kang;K. H. Kho;Z.T. Chen;Kim, Y.H.;Kim, J.M.
    • 한국발생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발생생물학회 2003년도 제3회 국제심포지움 및 학술대회
    • /
    • pp.72-72
    • /
    • 2003
  •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possibility of cryopreservation of the D-shaped and umbo larvae of arkshell (Scapharca broughtonii), in terms of the survival rates after freezing and thawing. D-shaped and umbo larvae of arkshells were obtained from a shellfish farming on Yosu city. The average shell lengths were $93.3 \pm 10.1 \mu$m and $201.7 \pm 13.5 \mu$, respectively. Five cryoprotectants (CPAs), dimethyl sulfoxide (DMSO), glycerol, ethylene glycol (EG), propylene glycol (PG), and methanol, were tested at the concentrations of 1.5, 2.0 and 2.5 M. After larvae suspended in CPAs, cryoprotectants were loaded in 0.5 ml straws at a larval density of 50-100 larvae per straw, and epuilibrated for 10 and 20 minute at room temperature ($23^{\circ}C$), repectively. Straws were cooled at a rate of $1^{\circ}C$/min from $0^{\circ}C$ to $-12^{\circ}C$, held for 5 min at $-12^{\circ}C$, and then cooled at $2^{\circ}C$/min to $-35^{\circ}C$ and equilibrated for 5 min followed by plunging in liquid nitrogen. After storage in liquid nitrogen for 1 day, straws were thawed in a $30^{\circ}C$ water. As soon as straws were observed to melt, larvae were diluted with an equal volume of ASW and then washed twice with a large volume of ASW at an interval of 2 min to unload the CPAs. The results showed that after equilibration for 10 and 20 minute at room temperature, no larvae survived using methanol as CPAs, and it was observed that larval shells all open slightly, and larval flesh broke down and slopped over the shells. The highest survival rates (D-shaped larvae: 77.6%, umbo larvae: 59.3%) were obtained with 2M DMSO, and 1.5M glycerol yielded survival rates of 53.8% for D-shaped larvae and 37.5% for umbo larvae. The surviving D-shaped larvae showed active rotary motion and perfect membrane integrity and cytoplasmic normality, and the vigorous movement of veliger cilia was observed inside the closed shells. The breakdown of tissue occurred in the abnormal larvae, and the isolated cell often run out of shells.

  • PDF

가축사료를 첨가한 먹이원의 급여가 부식성 식용곤충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Animal Feed on the Growth Performance of Edible Insects)

  • 송명하;이희삼;박관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63-568
    • /
    • 2018
  • 곤충은 식량 기능성 소재 농업자재 등 미래의 농업자원으로 유망하며, 지속적인 시장성장이 예상되고 있다. 또한 갈색거저리 유충, 쌍별귀뚜라미, 흰점박이꽃무지 및 장수풍뎅이의 유충이 일반식품원료로 인정됨에 따라 식용곤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이에 대량생산을 위한 사육기술의 표준화 및 먹이원 개발에 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흰점박이꽃무지와 장수풍뎅이 유충의 발육촉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애견사료 및 양돈사료와 같은 시판 중인 가축사료와 밀기울을 첨가한 발효톱밥을 이용하였다. 밀기울 첨가 처리구는 흰점박이꽃무지와 장수풍뎅이의 생존율과 증체율이 현저히 낮은 수준으로 곤충 먹이원의 소재로 사용되기에 부적합한 발육양상을 보였다. 애견사료 및 양돈사료를 첨가한 먹이원을 급여하였을 때 흰점박이꽃무지와 장수풍뎅이 모두에서 유충의 생존율 및 증체율이 높고 유충기간이 단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애견사료 5% 첨가 조건에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증체율은 초기 무게와 대비하여 179.2%로 가장 높았고, 장수풍뎅이 유충의 증체율은 애견사료 2.5% 첨가 조건에서 299.9%로 가장 높았다. 또한, 애견사료 2.5% 첨가 사료를 급여했을 때 흰점박이꽃무지와 장수풍뎅이의 유충기간은 약 67일과 116일로 기본 발효톱밥을 급여한 대조구에 비해 40일 이상 짧게 조사되었다. 따라서 가축사료는 부식성 식용곤충에 우수한 발육 효과를 나타내는 곤충 먹이원의 소재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출산기 모체에게 triiodothyronine (T3) 주사하여 얻은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 자어의 성장 및 활성 (Growth and Activities of Larvae Born from the Triiodothyronine-Injected Parturient Rockfish, Sebastes schlegeli)

  • 강덕영;장영진;허준욱;민병화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551-556
    • /
    • 2002
  • 출산기에 임박한 조피볼락 암컷에 20mg/kg체중의 농도로 3,5, 3'-triiodo-L-thyronine $(T_{3}$)를 주사한 뒤, 출산 자어로의 호르몬 전이여부, 자어 성장과 활력을 조사하였다. 출산자어의 갑상선 호르몬을 분석한 결과,출산직후에 $T_{3}$구가 대조구 보다 높은 $T_{3}$농도를 나타냈으나, L-thyroxine $(T_{4}$)의 농도는 대조구와 유의차가 없었다. 그러나 실험기간 동안 어체내 모든 실험구의 감상선호르몬 농도는 $T_{3}$$T_{4}$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고, 실험구별로는 $T_{3}$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자어의 성장률은 대조구에 비하여 T,구에서 높았으며, 출산후 경과일수에 따라 직선적인 전장성장 경향을 나타냈다. 실험종료시 생존율은$ T_{3}$구의 자어가 대조구에 비해 높았으며, 유영활성에서도 $T_{3}$구의 자어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출산직전 $T_{3}$ 모체주사는 외부영양원 섭취개시기의 자어성장 및 생리활성을 증진시키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로부터 출산전 모체주사를 통하여 외인성 $T_{3}$가 자어로 전이되며, 전이된 호르몬은 출산후의 자어의 초기 발달기 동안 생리적으로 긍정적인 작용을 할 것으로 추측된다.

제초제 Alachlor과 살충제 Endosulfan이 무당개구리 (Bombina orientalis) 배아의 생존 및 기형유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lachlor and Endosulfan on the Survival and Malformation of Bombina orientalis Embryos)

  • 강한승;계명찬;이재성;윤용달;김문규
    • 환경생물
    • /
    • 제22권2호
    • /
    • pp.300-307
    • /
    • 2004
  • The chloroacetanilide herbicide alachlor (2-chloro-2', 6'-diethyl-N-(methoxymethyl)-acetanilide) and organochlorine insecticide endosulfan (6, 7, 8, 9, 10, 10-hexachloro-l, 5, 5a, 6, 9, 9a-hexahydro-6, 9-methano-2, 3, 4-benzodioxathiepin-3-oxide)are the highly toxic agricultural chemicals. Bombina orientalis is one of the most common amphibians in the world and comprises a large proportion of their total number. B. orientalis spawns in the farming regions at Spring when the massive application of agricultural chemicals occurs. These chemicals in farmland may threaten the reproduction of this frog. Therefore, we examined the embryotoxic and survival effects of alachlor and endosulfan at various concentrations in B. orientalis embryos. The survival rates of embryos at 312h post fertilization treated with alachlor and endosulfan were decreased with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Also, developmental malformations appeared by alachlor and endosulfan in B. orientalis embryos. The malformations showed in order of frequency with bent trunk, tail dysplasia, bent tail, thick-set body and ventral blister in alachlor treated embryos. The exposure of endosulfan produced 7 types of severe external malformations with tail dysplasia, pectoral blister, bent trunk, bent tail, cephalic dysplasia, ventral blister, and thick-set body. Following exposure to alachlor and endosulfan the types of malformations were diverse, suggesting these chemicals target multiple events in embryonic and larval development in this specie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alachlor and endosulfan were detrimental for survival and development of B. orientalis embryos.

The effects of hypo-salinity on embryos and larvae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Min, Eun-Young;Lee, Ok-Hyun;Kang, Ju-Chan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57-267
    • /
    • 2007
  • The hypo-salinity effects on fertilized eggs, embryos and larvae were investigated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obtained from hatcheries in Cheju-Island, Yeosu and Chungnam. Those were treated to eight concentration; 0, 3.4, 6.7, 10.1, 13.4, 20.2, 27.4 and 33.6 ‰. It was not discrepancy in the survival rate and hatching success rate of fertilized embryos obtained from different regions. Also, in the larvae, the regional difference was not appeared. The survival rate and hatching ability of embryos significantly diminished in the lower groups than 13.4 ‰ compared to 33.6 ‰. After fertilization, namely embryos are tolerant of a wide range of salinity (13.4 - 33.6 ‰). Reduced salinity induced an increase of the malformed embryo and larvae including various deformities; irregular embryos membrane (or yolk sac depression), fin erosion and swim bladder inflation in the flounder embryo. The hatching success of embryos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lower salinity than 13.4 ‰. Notably, the reduction of larval survival rate significantly was observed in ≤10.1 ‰ treated groups with the same manner of survival rates of the embryos. Additionally, olive flounder was found to be adequate model for measuring external impulses because there are no the regional differences.

동결건조한 Isochrysis aff, galbana를 이용한 굴 유생사육에 관한 연구 (Dietary Evaluation of the Freeze-Dried Alga Isochrysis aff. galbana for Larval Surrival of the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 임현정;박미신;조지영;홍용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654-658
    • /
    • 1999
  • 패류 인공종묘생산시 양질의 먹이를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하여 장기간 보관이 가능한 건조먹이를 생산하여, 굴 유생을 대상으로 이용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건조먹이의 생화학성분과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 생화학성분 조성은 생먹이 및 농축먹이와 차이가 없었다. 지방산 조성은 건조먹이가 생먹이보다 PUFA DHA 및 EPA의 비율이 높았으며 (p<0.05) 특히 EPA는 생먹이보다 7.35배 높았다. 농축먹이에 건조먹이를 비율별로 혼합하여 굴 유생을 15일간 사육한 후 유생의 생존율과 지질 함량을 분석한 결과, 건조먹이를 $30\%$까지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생먹이만을 공급한 것보다 굴 유생의 생존율이 향상되었으며, 그중 건조먹이를 $10\%$ 혼합하여 사육하면 생먹이만으로 사육한 것보다 생존율이 2.1배 향상되었다(p<0.05) 15일째 굴 유생의 지질 함량은 건조먹이를 $10\%$ 혼합하여 사육한 경우 생먹이만을 공급한 것보다 약 1.6배 높았다. 따라서 패류의 종묘를 생산하지 않는 시기에 먹이생물을 배양하여 건조먹이 형태로 보관하여 두었다가, 농축먹이와 혼합하여 사용한다면, 보다 간편하게 먹이를 공급할 수도 있으며 아울러 유생의 생존율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실내 인공사료육에 의한 뽕나무하늘소(Apriona germari Hope) 유충의 발육 (Larval Development of Mulberry Longicorn Beetle, Apriona germari Hope, on the Artificial Diet)

  • 윤형주;박인균;마영일;설광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17-322
    • /
    • 1997
  • 실내 인공사료육에 의한 뽕나무하늘소(Apriona germari Hope) 유충의 발육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야외 뽕밭에서 채집된 뽕나무하늘소 부화유충을 14L:10D 광조건의 $25^{\circ}C$ 항온기에서 애누에용 인공사료와 뽕나무 가지 분말을 동량비로 석은 인공사료에 의하여 실내사육한 결과, 유충의 1령에서 12령까지의 두폭 범위는 0.12~0.69 cm 내에 있었고 각 영기의 성장비는 1령과 2령간이 가장 컸다. 체중의 증가에 있어서 1령에 비해 8령의 경우는 약 176배, 12령의 경우와는 약 354배의 성장도 차이를 보였다. 각 영별 경과일구는 영이 진전될수록 경과일수가 길어졌으며 1령에서서 9령까지의 경과일수는 186.03일, 12령까지의 경과일수는 304.58일이었다. 인공사료육에 의한 1세대 유충 생존율은 3령기에 걸쳐 약 45%로 매우 낮았으나 그 이후 안정되어 8령까지의 유충 생존율은 40.8%이었다. 용화율은 32.4% 이었으며, 용화 시기는 7령에서부터 11령에 걸쳐 나타났지만, 8령과 9령째가 대부분이었다.

  • PDF

이화명충에 대한 수도통일품종의 저항성 (The Nature of the Variety Tongil (Suweon 213-1) in Resistance to the Striped Rice Border, Chilo suppressalis W.)

  • 최승윤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14-214
    • /
    • 197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d the nature of the variety Tongil(Suweon 213-1) in resistance to the striped rice borer, Chilo suppressalis Walker, comparing with those of Rexoro(susceptible check) and TKM-6(resistant check) selected at IRRI. 1. The striped rice borer moths much more preferred the variety Tongil for oviposition than the varieties Rexoro and TKM-6. The variety Tongil and more egg masses and number of eggs than the varieties Rexoro and TKM-6, while TKM-6 having more egg masses and more number of eggs than Rexoro. This reaction was consistent throughout the test regardless of the number of tillers per hill. 2. In laboratory, preference of larvae for feeding was studied with 5cm of stem pieces of the varieties. The results showed, in contrast to the case of ovipositional preference, that the striped rice borer larvae least preferred the stems of Tongil among the test varieties, while larvae much more preferred the stems of Rexoro than those of TKM-6. 3. The larval weights at 20 days later infested on the 40 day-old plants were the lowest on Tongil among the test varieties. On the variety Rexoro the larvae had heavier body weights(43.0mg), higher pupation(64.9%) and higher adult emergence(83.3%) than those on Tongil(larval weights 30.3mg, pupation 60%, adult emergence 60.7%) and TKM-6(larval weights 35.7mg, pupation 56.3%, adult emergence 51.9%). The pupal weights, however, were not consistent among the test varieties and/or sexes in comparison with the larval weights, pupation and adult emergence above mentioned. 4. Field experiments indicated that the incidence of dead hearts at 70 days after transplanting was relatively higher on the variety Tongil(11.1%) than those on Rexoro(8.9%) and TKM-6(8.4%), and the incidence of white heads at harvest was, in contrast to the dead hearts, lower on Tongil(9.8%) than those on Rexoro(27.4%) and TKM-6(13.9%). At harvest lower larval survival observed on Tongil (49 larvae/40 hills) than those on the susceptible variety Rexoro(104 larvae/40 hills) and on the resistant variety TKM-6(70 larvae/40 hills). The average larval weights collected from three test varieties at harvest were 80.5mg from Tongil, 83.7mg from TKM-6 and 99.6mg from Rexoro. 5. Increased nitrogen fertilizer application to the variety Tongil, the striped rice borer damage was increased. Also, preference of larvae for feeding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nitrogen fertilizer application. 6. Any specific association between the plant characters and striped rice borer resistance could not be found. The variety Tongil even having large number of tillers, short plant height, large stem, broad leaf, etc, had still high preference of moths for oviposition, low preference of larvae for feeding, low damage, and relatively high antibiosis. 7. Resistance of the variety Tongil to the striped rice borers seemed to be associated with the low feeding preference and the relatively high antibiosis, not associated directly with the ovipositional preferen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