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rix leptolepsis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8초

임분형상고(林分形狀高)에 의한 임분재적(林分材積) 추정(推定)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Stand Volume by Stand Form Height)

  • 김석권;이흥균;이여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1권1호
    • /
    • pp.15-19
    • /
    • 1983
  • 임분재적(林分材積) 추정시(推定時) 간편(間便)하며, 정도(精度)를 유지(維持)한 추정방법(推定方法)의 유도(誘導)를 위(爲)하여 전국(全國)에서 잣나무 107개소(個所), 일본잎갈나무 82개소(個所)의 표준지(標準地)($40m{\times}40m$)를 선정(選定)하여 임목(林木)의 평균흉고직경(平均胸高直徑), 평균수고(平均樹高), ha당(當) 단면적(斷面績), 임분형상고(林分形狀高), 단면적수고(斷面績樹高), ha당(當) 본수(本數), ha당(當) 재적(材積), 임분(林分) 및 지형조사(地形調査)를 실시(實施)하였다. 이로써 임분평균흉고직경(林分平均胸高直徑)과 임분형상고(林分形狀高), 임분형상고(林分形狀高)와 임분재적(林分材積)과의 관계(關係)를 구명(究明)한 결과(結果), 전자(前者)의 관계(關係)에서는 잣나무 $H{\cdot}F=1.2569+0.2576D$, 일본잎갈나무 $H{\cdot}F=4.3045+0.1443D$이었고, 후자(後者)의 관계(關係)에서는 잣나무 log V = 1.3855+0.1168 H.F, 일본잎갈나무 log V = 0.9929+0.1542 H.F이었으며, 임분재적식(林分材積式) 적합도(適合度) 검정결과(檢定結果) 모두 유효(有效)하였으며, 추정오차율(推定誤差率)도 잣나무 18.29%, 일본 잎갈나무 19.22%로 양호(良好)하여 금후(今後) 임분평균흉고직경(林分平均胸高直徑)으로 임분재적(林分材積)의 추정(推定)이 가능(可能)한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 PDF

낙엽송의 용기묘 생산을 위한 적정 용기 탐색 (Exploration of Optimum Container for Production of Larix leptolepsis Container Seedlings)

  • 김종진;이경재;송기선;차영근;정영숙;이종화;윤택승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4호
    • /
    • pp.638-644
    • /
    • 2010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주요 조림수종인 낙엽송의 용기묘 생산에 필요한 적정 용기개발에 관한 자료를 구축하고자 실시되었다. 1년생 용기묘의 수고 생장은 250 mL 용기에서 19.3 cm로, 2년생은 500 mL 용기에서 56.9 cm로 가장 컸으며, 근원경 생장은 1, 2년생 모두 500 mL 용기에서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2년생 용기묘의 건물 생산량은 묘목 전체 및 각 기관별 모두 용기 용적이 클수록, 묘목 밀도는 낮을수록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WinRhizo 프로그램을 이용한 뿌리형태 특성 분석에서 용적이 큰 용기가 작은 용기보다 전체뿌리길이, 투영단면적, 표면적, 평균뿌리직경, 그리고 뿌리부피가 더 크고 넓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뿌리형태 특성분석 요소 중 뿌리부피가 용적차이에 따라 가장 큰 영향을 받았는데 500 mL에 비하여 320 mL는 79.5%, 250 mL는 46.8% 수준이었다.

植物의 發芽와 生長에 미치는 일본잎갈나무의 알레로패티 效果 (Allelopathic Potentials of Larix leptolepis (S. et Z.) Gorden on Germination and Seeding Growth of Selected Species)

  • Ko, Byung Kook;Bong-Seop Kil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8권1호
    • /
    • pp.15-19
    • /
    • 1985
  • A number of field surveys have been performed in larch (Larix leptolepsis) forest floor in which any seeding of this species never find ther. In laboratory work, aqueous extracts from leaves, roots and stems of larch were provided and used to bioassay. Among them,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selected species were the most inhibitory in leaves extracts. Though germiation percentage of a species showed high compared with control, its dry weight after a given period grown were clearly low. The results due to be considered by allelopathic effect. And syringic acid and p-hydroxybenzoic acid were identified by HPLC from larch leaves. It is assumed that these phenolic acids affect on other species as allelochemicals of larch.

  • PDF

낙엽송(落葉松) 수피추출물(樹皮抽出物)의 특성(特性)과 접착제화(接着劑化)의 적합성(適合性) (Properties and Suitability of Bark Extractives from Larix leptolepsis as a Bonding Agent)

  • 오정도;안원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7권3호
    • /
    • pp.294-302
    • /
    • 1988
  • 본(本) 실험(實驗)은 낙엽송(落葉松)(Larix leptolepsis) 수피(樹皮)로부터 추출(抽出)한 수피추출물(樹皮抽出物)의 특성(特性)을 조사(調査)하고 그들 추출물(抽出物)의 접착제화(接着劑化)의 가능성(可能性)을 평가(評價)하기 위해 실행되었다. 수율(收率)과 반응도(反應度)의 측정(測定)을 통해 온도(溫度) 및 시간(時間)의 영향(影響)과 탄산화(炭酸化) 및 설폰화(化)의 효과(效果)를 조사하였다. 목재접착제(木材接着劑)로의 적용(適用) 가능성(可能性)을 구명하기 위해서는 33% 농도(濃度)에서 점도(粘度)와 겔화시간(化時間)을 측정(測定)하였다.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수율(收率)과 반응도(反應度)가 모두 높은 $80^{\circ}C$에서 120분(分)의 추출(抽出)이 적정온도(適正溫度) 및 시간(時問)이었다. 2. 탄산화(炭酸化)는 1% $Na_2CO_3$에서 설폰화(化)는 1% $Na_2SO_3$ : $NaHSO_3$와 0.25% $Na_2SO_3$에서 가장 큰 효과(效果)를 얻었으며 이들중 0.25% $Na_2SO_3$에 의한 설폰화(化)가 수율(收率)과 반응도(反應度)를 가장 크게 증가시켰다. 3. 온수추출액(溫水抽出液)의 수율(收率)은 17.2%이며 1% NaOH와 5% NaOH 추출액(抽出液)의 수율(收率)은 각각(各各) 38.6%와 44.6%이었다. 4. 온수추출액(溫水抽出液)의 반응도(反應度)는 68.8%로 가장 높았으며 1% NaOH와 5% NaOH 추출액(抽出液)의반응도(反應度)는 각각(各各) 49.3%와 25.8%이었다. 5. 각(各) 추출액(抽出液)은 33% 농도(濃度)에서 점도변화(粘度變化)가 매우 심했다. 특히 1% NaOH 추출액(抽出液)은 점도(粘度)가 매우 높았으며 5% NaOH 추출액(抽出液)은 오히려 점도(粘度)가 낮았다. 6. 추출액(抽出液)의 겔화시간(化時間)은 pH 7-10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으며 pH 4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파라포름알데히드의 이용(利用)은 37% 포름알데히드보다 겔화시간(化時間)을 더 연장시켜 주었다. 7. 온수추출(溫水抽出)의 설폰화(化)와 1% NaOH 추출(抽出)의 설폰화(化)를 제외(除外)한 다른 추출방법(抽出方法)은 높은 점도(粘度)(1% NaOH 추출(抽出))와 비경화성(比硬化性)(5% NaOH 추출(抽出), 5% NaOH 추출(抽出)의 설폰화(化)) 때문에 부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다. 8. 접착제로(接着劑)로의 이용(利用)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난 추출액(抽出液) 중 온수추출(溫水抽出)과 온수추출(溫水抽出)의 설폰화(化)는 반응도(反應度)가 뛰어난 반면 1% NaOH 추출(抽出)의 설폰화(化)는 비율면(比率面)에서 유리(有利)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농촌 경관에서 파편화가 조류 군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ragmentation on the Bird Community in Agricultural Landscapes)

  • 박찬열;이우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2-33
    • /
    • 2002
  • 농촌 경관에서 파편화가 조류 군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경기도 양평군 강하면 성덕리와 항금리 두 지역에서 수종 구성과 산림환경구조, 농촌 경관의 구조, 조류상 및 조류 군집의 길드 구조를 분석하였다. 성덕리 지역은 항금리 지역보다 수종의 종 수와 흉고직경 6~10cm 임목의 헥타당 밀도는 높았으나, 흉고단면적은 낮았다. 2m 이하와 12mn 이상의 엽층에서 피도량은 성덕리 지역보다 항금리 지역에서 높았다. 한편 성덕리 농촌 경관은 12개의 조각을 가지고 있었으며 낙엽송과 아가시 나무의 점유 비율이 높았다. 항금리는 11개의 조각을 가지고 있었으며 리기다소나무, 밤나무, 낙엽송, 논의 점유 비율이 높았다. 두 지역에서 조류의 우점종은 동일하였으나 항금리 지역에서 36종으로 나타나 성덕리 20종보다 훨씬 많았다. 여름철새의 비율은 도로에 의해 파편화가 진행되지 않은 항금리에서 높았다. 수동, 관목층. 지면 영소길드와 물가, 관목, 지면 채이길드의 종 수 및 서식밀도는 항금리 지역에서 높았다. 도로에 의한 파편화가 진행되지 않은 항금리 농촌 경관에서 인간에 의한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고 중, 대경급 임목이 생육하여 수동 영소길드 종 수 및 서식밀도가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2m 이하 하층 피도량이 높고 논, 밭, 계류 조각이 28.4%를 차지하는 항금리 경관은 관목층과 지면 길드 및 물가 채이길드의 종 수 및 밀도를 높인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도로는 농촌경관에서 이질적인 조각을 점유할 뿐만 아니라, 인간의 교란을 쉽게 유도하여 농촌 경관의 생물 서식지의 다양성을 줄이고 가장자리 효과를 감소시켰다고 판단된다.

목재(木材)에 있어서 못의 정적인발저항(靜的引拔低抗)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Static Withdrawal Resistance on Nail in Wood)

  • 김수창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7권1호
    • /
    • pp.8-11
    • /
    • 1979
  • 못의 보지력(保持力)인 정적인발저항(靜的引拔抵抗)에 관(關)하여 Pinus Koraiensis Sieb. et. Zucc. 재(材)와 Larix leptolepis Gord.재(材)의 두 수종(樹種)에 대하여 못 박은 후(後) 시간별(時間別) 차이(差異), 재(材)의 함수율별(含水率別) 및 Radial, Tangential, Longitudinal, 등(等)의 재(材)의 방향별(方向別)에 대해 실험(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못을 박은 후(后) 인발저항(引拔抵抗)은 Larix leptolepis Gord. 재(材)에서는 Tangential이 최대(最大)였다.(Fig 3.) Pinus koraiensis Sieb. et. Zucc. 재(材)는 Tangential이나 Radial의 인발저항(引拔抵抗)은 차이(差異)가 없다.(Fig 2) 2) Longitudinal의 인발저항(引拔抵抗)은 두 수종(樹種) 모두 최소(最小)이다. (Fig 2, 3.) 3) 일정(一定)한 시간후(時間后)에는 Radial 및 Tangential는 두 수종(樹種)이 모두 감소(減少)한다. 4) 재(材)의 함수율(含水率)이 증가함에 따라 두 수종(樹種)이 인발저항(引拔抵抗)은 직선적(直線的)으로 감소(減少)한다. (Fig 4, 5) 5. Larix leptoleis Gord. 재(材)의 인발저항(引拔抵抗)의 감소상태(減少狀態)은 섬유포화점(纖維飽和点) 부근(附近)에서 변곡점으로 나타났다. (Fig 5)

  • PDF

북방수염하늘소 유충의 이목 침엽수 종류에 따른 성장과 발육 및 생식 (Growth, Development, and Reproduction of Monochamus saltuarius (Coleoptera: Cerambycidae) on Conifers Fed to Larvae)

  • 황인천;김주현;박종빈;신상철;정영진;조세열;박용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85-394
    • /
    • 2008
  • 북방수염하늘소의 유충은 먹이로 공급된 잣나무, 소나무, 젓나무, 일본잎갈나무, 백송, 그리고 리기다소나무 각각을 식이하여 성장할 수 있다. 이목의 종류는 유충의 크기와 생존력에 큰 영향을 준다. 처리구 모두 유충의 성장곡선은 사육 3개월 동안 계속 증가하며, 이 후에는 약간 감소한다. 유충과성충의 크기는 백송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소나무, 잣나무, 젓나무에서 비슷한 크기로 자랐다. 가장 작은 것은 일본잎갈나무와 리기다소나무를 급여한 것이었다. 유충은 적당한 양의 수분이 공급되어야 성장할 수 있다. 유충에서 생식 활동이 가능한 성충으로 우화할 시기까지 생존율은 잣나무식이구 53.6%, 소나무 51.8%, 젓나무 34.7%, 백송 17.8%, 일본잎갈나무 16.7%, 그리고 리기다소나무 12.3%로 나타났다. 각 처리구에서 우화한 성충은 산란을 하였으며, 알은 부화하여 정상적인 유충으로 성장하였다. 실내 사육(2007년 6월부터)되어 월동시킨 노숙유충의 일부는 용화하지 않고 2008년 10월말 현재까지 유충상태로 남아있다. 야외에서 자연 감염된 잣나무와 일본잎갈나무 각각에서 우화한 성충의 두폭은 암 수 모두 잣나무 개체군이 크게 나타났다. 탈출공의 크기도 잣나무에서 크게 나타났다. 탈출공의 크기는 자연에서의 것보다 먹이 경쟁을 최소화하고 적당량의 수분을 공급한 실내 잣나무 접종목에서 크게 형성되었다.

새로운 기법(技法)을 적용(適用)한 자연도(自然度) 평가(評價) (Assessment of Naturalness by Application of new Technique)

  • 이영근;이돈구;이병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4호
    • /
    • pp.488-494
    • /
    • 2001
  • 본 연구는 독일과 오스트리아 산림 Biotope 조사방법에 기초하여 한국에 맞는 산림 Biotope조사 방법을 개발하여 경기도 광주 태화산에 적용하였다. 조사는 교목층의 종조성과 연령에 따라 임분형을 구분하고 임분별로 자연도, 다양도를 5등급으로, 희귀도 여부를 평가하였다. 마지막으로 위의 세 요소를 더하여 종합평가를 하였다. 자연도는 해발 300m 이상의 신갈나무임분과 계곡임분이 4등급으로 구분되었고, 상수림나무임분과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혼합임분은 3등급으로 구분되었다. 사면하부의 조림지는 연령에 따라 1, 2등급으로 구분되었다. 다양도는 자연도와 비슷하였다. 그러나 일본잎깔나무 조림지의 경우 자연도는 1등급이었지만 다양도는 3등급이었다. 계곡부군락, 습지군락, 임연군락이 희귀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종합평가도는 자연도와 비슷하였다. 이 방법은 녹지자연도에 비해 발전된 방법이며 계속 발전시킨다면 한국의 산림내 생물다양성보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침엽수 혼합목분에서 배양조건을 달리한 Fomitopsis palustris 의 균체외효소 활성 변화 (Effect of Various Culture Conditions on the Activity of Extracellular Enzymes from Fomitopsis palustris, Brown Rot Fungi)

  • 이영민;최두열;김현정;윤정준;김영숙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4권1호
    • /
    • pp.53-59
    • /
    • 2008
  • 목질 바이오매스(wood biomass)를 효율적으로 분해하는 최적 배양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국내 침엽수 4수종(소나무, 낙엽송, 잣나무, 리기다소나무)의 목질바이오매스를 혼합하여 목분의 적정입도, 배양기간, 기질첨가농도별 균주의 균체외효소 활성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혼합목분을 기질로 했을때 Fomitopsis palustris가 분비하는 균체외효소 활성은 효소 종류에 따라 기질농도, 목분입도, 및 배양기간등의 배양조건에 따라 다른 효소활성 값을 나타냈다. 침엽수 혼합목분을 기질로 했을 때 대부분의 cellulase 분비를 유도하는 최적 조건은 목분 입도, 80~100 mesh, 기질 농도는 7.5%가 적정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최적의 목분입도 및 투입농도 조건에서 배양기간은 4~8주로 적절한 것으로 구명되었다.

  • PDF

우리나라 삼림의 변화와 전망 (Changes and Prospects of Forests in Korea)

  • 이효혜미;조강현;김준호
    • 생태와환경
    • /
    • 제47권4호
    • /
    • pp.337-341
    • /
    • 2014
  • 한국에서 산림생태계의 구조적 변화를 예측하기 위하여, 산림 면적과 임목축적량의 변화와 조림지에서 임상식생구조를 문헌조사에 의하여 파악하였다. 한국의 삼림은 1950년대에 심하게 훼손되었지만, 1970~1980년대에 활발히 조림하여 임목축적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삼림면적은 5,500 ha 년$^{-1}$씩 감소하고 있다. 임목축적량 변화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에 의하면 임목축적량을 기준으로 성숙림으로 기대되는 해는 약 2150년으로 예측된다. 현재 일본잎갈나무, 잣나무 및 아까시나무 조림지에는 신갈나무, 물푸레나무, 산벚나무등의 잠재자연식생이 형성되고 있으므로 미래에 이들의 숲이 형성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