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guage policy

검색결과 450건 처리시간 0.039초

이주배경 학생 밀집초등학교 다문화교육 담당교사의 경험과 정책시사점 (Teachers' experienc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primary schools with ethnic diversity and policy implications)

  • 박희진;최수진
    • 한국교육논총
    • /
    • 제43권1호
    • /
    • pp.89-123
    • /
    • 2022
  • 본 연구는 이주배경 학생 밀집초등학교에서 다문화교육 업무를 담당하는 교사의 경험을 탐색하여 이를 토대로 교육정책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하여 농촌지역 2개 군에 위치한 9개 학교의 교원 15명을 심층면담하였다. 연구결과 이주배경 학생 밀집초등학교에서 다문화교육 업무를 담당하는 교사조차 체계적인 다문화교육을 받은 경우는 찾아보기 어려웠고, 가용한 자료의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학생 및 학부모와의 소통에 긴박한 지원 필요를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주배경 학생에 대한 정확한 자료확보의 어려움도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예비 및 현직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체계적인 다문화교육, 학교 한국어교육 자료 개선 및 통합교육 자료 보급, 일반교과 내용의 수정과 개선 등을 제안하였다. 또한, 학교 한국어교육 전담인력의 육성과 배치를 통해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학생 및 학부모와의 체계적인 소통지원 방안 마련, 이주배경 학생에 대한 정확한 실태파악 대책 등의 다문화교육정책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프로그래밍입문 수업에서 스크래치 활용 효과분석 (The Effect of teaching Scratch in introductory programming course)

  • 박정신;조석봉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9호
    • /
    • pp.449-456
    • /
    • 2012
  • 초보자들은 프로그래밍 입문 수업을 통해 프로그래밍 언어의 문법적 지식뿐만 아니라, 알고리즘 구상과 프로그램 작성을 위한 문제해결력을 키우는 과정이 필요하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문제해결력을 키우는 과정 없이 프로그래밍언어의 지식과 문법위주의 교육이 주가 되는 현실에서 기초 학력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전문대학의 컴퓨터전공 학생들이 프로그래밍언어 수업에서 느끼는 어려움은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용 프로그래밍언어인 스크래치를 활용한 학생들이 활용하지 않은 반 학생들에 비해 문제 해결력, 프로그래밍 작성 능력, 수업의 만족도면에서 크게 향상되었음을 비교 분석하였다.

Digital Broadcasting Industry: Today and Tomorrow

  • 김국진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03년도 디지털방송기술워크샵
    • /
    • pp.67-82
    • /
    • 2003
  • . High potentiality of Digital broadcasting Industry . Low performance of digitalization policy ㆍSollen-Sein Gap makes a bad mood to the digital broadcasting industry . Fill up the gap with aggressive digital policy No stimuli, no move .But need understanding of throughput input isn't all. Digital is common language therefore all information market will be converged as soon as you can imagine

  • PDF

스마트 기기 기반 언어재활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Language Rehabilitation Program Using the Smart Device-based Application)

  • 황유미;박기남;정영희;편성범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0호
    • /
    • pp.321-327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언어장애 환자군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하여 스마트 기기 기반의 언어재활 프로그램 개발에 있다. 이를 위하여 기존에 개발된 다양한 국내외 의사소통 언어훈련 프로그램을 비교분석하여 구체적인 의사소통 범위 및 훈련 과제, 문항 등을 검토하여 과제 구성에 필요한 콘텐츠를 선별하였다. 다양한 의미범주와 문법요소를 포함하고 언어학적 단위에 기초하여 단어수준, 의미범주, 문장수준, 담화수준의 이해산출 능력 향상을 위하여 17개의 의미범주를 추출하고 29개의 훈련과제와 3780개의 훈련 문항을 제작하였으며, 윈도우를 기반으로 하는 관리 프로그램과 안드로이드 기반 재활 훈련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다. 본 언어재활 프로그램은 가정에서 쉽고 편리하게 홈 프로그램으로 사용되어 언어훈련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환자 관리 및 훈련 결과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 언어장애 환자군의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언어장애 환자군 별 언어재활 효과 검증 등의 후속 연구가 진행될 예정이다.

디스토피아의 언어세계 - 다와다 요코의 「불사의 섬」과 「헌등사」를 중심으로 - (The language world of dystopia : focusing on the "Fuji-no-shima" and "Gentoshi" of Yoko Tawada.)

  • 남상욱
    • 비교문화연구
    • /
    • 제51권
    • /
    • pp.213-233
    • /
    • 2018
  • 이 글은 언어로 미래를 그리는 일은 지금과는 다른 언어의 세계를 그리는 일임과 동시에, 언어가 달라진 미래와 현재 사이에 동일성을 현재의 언어로 확보해야 한다는 매우 어렵지만 중요한 일이라는 문제의식 하에, 다와다 요코의 "불사의 섬"과 "헌등사"를 중심으로 디스토피아의 언어 세계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이중언어 작가로서 독일과 일본어 사이의 경계를 횡단하던 다와다 요코에게 있어 2011년 동일본대지진과 이에 따른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 사고는, 방사능 누출로 인한 신체적 변동에 따른 기존의 시니피앙과 시니피에 사이의 질서가 파괴된 세계의 출현이라는 의미로 받아들여졌음을 "불사의 섬"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헌등사"는 쇄국정책 등을 통해서 기존의 언어적 질서가 파괴된 세계 속에서도 다중적인 의미를 담아낼 수 있는 언어활동을 통해서 인간적인 유대가 유지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다와다 요코의 소설에 대한 이상의 고찰을 통해서, 인간이 다양한 언어의 힘에 기대고 그것을 유지시킬 수 있는 이상 그 산물로서 어떤 생생한 디스토피아 속에도 실은 희망이 숨겨져 있음을 알 수 있다.

A Survey of Arabic Thematic Sentiment Analysis Based on Topic Modeling

  • Basabain, Seham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9호
    • /
    • pp.155-162
    • /
    • 2021
  • The expansion of the world wide web has led to a huge amount of user generated content over different forums and social media platforms, these rich data resources offer the opportunity to reflect, and track changing public sentiments and help to develop proactive reactions strategies for decision and policy makers. Analysis of public emotions and opinions towards events and sentimental trends can help to address unforeseen areas of public concerns. The need of developing systems to analyze these sentiments and the topics behind them has emerged tremendously. While most existing works reported in the literature have been carried out in English, this paper, in contrast, aims to review recent research works in Arabic language in the field of thematic sentiment analysis and which techniques they have utilized to accomplish this task. The findings show that the prevailing techniques in Arabic topic-based sentiment analysis are based on traditional approaches and machine learning methods. In addition, it has been found that considerably limited recent studies have utilized deep learning approaches to build high performance models.

ChatGPT 를 이용한 독해 튜터링 대화 데이터 확장 (Data Augmentation of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Tutoring Dialogs using ChatGPT)

  • 권현유;최승권;황금하;권오욱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43-44
    • /
    • 2023
  • 대화형 독해 튜터링 시스템을 위한 학생주도 대화 데이터셋 생성 및 확장에 ChatGPT 의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단순히 수동으로만 구축한 기존의 데이터셋과 ChatGPT 에 의해 반자동으로 확장된 데이터셋을 비교한 결과, 구축량, 소요 시간, 비용 및 반복 작업 측면에서 ChatGPT 가 가진 유용성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유형별 배분의 편중과, 부적절한 데이터 생성 등의 한계도 나타났다. Chat GPT 의 빠른 발전이 예상됨에 따라 대화형 튜터링 분야에 ChatGPT 에 의한 반자동 데이터 확장 방법이 널리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An Exploration of Korean Discourses on Public Diplomacy

  • Ayhan, Kadir Jun
    • Journal of Contemporary Eastern Asia
    • /
    • 제19권1호
    • /
    • pp.31-42
    • /
    • 2020
  • There is great confusion over what constitutes public diplomacy (PD), who its actors are, and the relevance of non-state actors. In the Korean context, in addition to the general fuzziness of the concept, linguistic peculiarities of the terms gonggong and gongjung both of which refer to public, waegyo, which is interchangeably used for international affairs, foreign policy and diplomacy, and juche which is simultaneously used for actor and agent, add more layers of confusion. While the term PD in Korea is based almost entirely on Western conceptualization, these linguistic peculiarities prevent fruitful conversations among scholars and practitioners on PD.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research note explores and addresses conceptual ambiguities that pertains to PD and the policy discourse on the topic, particularly on non-state PD in Korea. The paper draws on Korean government's PD-related policy documents and Diplomatic White Papers and all relevant academic articles found in Korean-language journals registered in the Korean Citation Index (KCI), which are analysed to gain an understanding of the PD-related policy discourse in Korea.

대학생들의 언어학습전략, 언어학습믿음과 영어듣기성취 이해 (Understanding Language Learning Strategies, Language Learning Beliefs, and English Listening Achievement of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 조혜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3호
    • /
    • pp.37-45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블렌디드 러닝으로 듣기 수업에 참여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영어 듣기능력이 향상한 학생과 향상하지 않은 학생들 사이에 언어학습전략 사용과 언어학습믿음에 차이가 있었는지를 알아보고 듣기성취와 언어학습전략, 언어학습믿음 사이에 관계가 있는지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69명의 참여자들은 언어학습전략과 언어학습믿음 설문에 응답하고, 사전 사후 듣기 시험을 보았다. 요인분석으로 추출된 요인을 이용하여 성적이 오른 집단과 오르지 않은 집단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두 집단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영어 듣기능력이 향상된 학생은 언어학습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고 있었고, 언어학습믿음에서 더 높은 동기를 갖고 있었다. 동기에 대한 믿음이 높은 학생들은 인지전략과 초인지전략을 더 많이 사용했다. 이 연구는 학습자의 학습믿음과 학습전략 중 영어 듣기능력 향상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제공하여 콘텐츠 개발과 교수법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학습자 언어 인지 능력 기반의 외국어 능숙도 측정 방법 설계 및 개발 (Design and Development of the Second language Proficiency Method based on Cognitive Ability of Learner)

  • 양영욱;이새벽;임희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3호
    • /
    • pp.363-369
    • /
    • 2013
  • 본 논문은 뇌에서 발생하는 언어와 관련된 현상들을 모델링하여 외국어 능숙도 측정 방법을 설계 및 개발하였다. 이 방법은 인지 심리학에서 인지능력을 측정하는 방법에 기반하며, 어휘 판단 과제, 언어 점화 과제, 구어 작업 기억 능력 측정 과제로 나뉜다. 어휘 판단 과제는 자극에 대해 단어인지 비 단어인지를 얼마나 빠르게 판단하는 지를 측정한다. 어휘 판단 과제는 세부적으로 자극의 형태에 따라 읽기와 듣기로 나뉜다. 언어 점화 과제는 언어의 산출 능력을 측정한다. 언어 점화 과제는 자극에 따라 의미적 점화 과제, 번역 점화 과제로 나뉜다. 구어 작업 기억 능력은 학습자의 단기 기억력을 측정한다. 본 논문에서는 제2외국어에 대한 학습자의 언어 인지능력을 사용하여 외국어 능숙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