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e design standard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8초

교량 및 터널구간 차로운영 설계기준 (Design Standard for Lane Operation in Bridges and Tunnels)

  • 유호인;오영태;이철기;정우현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33-44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산지가 전국토의 70%를 차지하는 우리 국토의 지형적인 여건과 환경 및 생태계 보존의 중요성으로 인해 도로건설시 구조물(교량 및 터널)의 설치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는 최근의 실정에서 터널과 교량으로 연결된 구조물 연속구간에서 차로변경이 제한될 경우, 중차량 등 저속차량으로 인한 고속도로 본선의 소통능력 저하에 대처하기 위한 방안으로 구조물 구간의 차로변경을 허용할 것을 제안하였으며 차로변경 허용시의 필요조건으로 구조적 측면, 안전적 측면, 운전자 편의측면을 검토하여 적절한 차로변경 허용기준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1. 우측길어깨가 2.5m 이상인 구조물(교량 또는 터널) 구간. 2. 운전자의 원활한 차로변경을 유도할 수 있도록 도로안내표지, 전광표지판, 노면표지 등 충분한 교통안내시설이 설치 된 곳. 3. 결빙이 우려되는 지역에 설치된 교량의 경우 융설시스템을 구비한 곳. 4. 터널의 경우 터널방재기준(2004.11) 및 터널조명기준(KSA 3703)을 만족하며 터널입 출구부에 결빙방지설비가 구비된곳. 5. 터널 구간 내 전조등을 점등한 차량에 한함.

  • PDF

소방차전용출동경로의 계획기법 및 적합성 검토에 관한 연구 - 대구광역시 북구를 대상으로 - (Consideration about the Fire Lane Plan and the Conformability - A Case Study on Daegu Metropolitan City Buk-gu -)

  • 정군식;김한수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0권5호
    • /
    • pp.83-90
    • /
    • 2010
  • 본 연구는 지역의 방재성능향상을 위해 소방차 출동경로의 계획기법 및 기준마련을 위한 기초연구이다. 지역의 방재적 특성파악을 통하여 발생예상재난을 규정지었으며, 현행 소방차의 출동경로선택모델의 작성 및 네트워크해석을 통하여, 도시규모 대형재난의 발생 시에 다양한 출동경로계획의 유효성을 입증하였다. 그리고 실재(實在) 도로망을 바탕으로 네트워크모델을 작성하고 해석을 통하여, 출동경로상의 장해의 위험성에 대하여 정량적인 검토를 행하였으며, 소방차출동전용도로계획에 대한 형태학적 분석을 행하였다. 본 연구의 성과는 합리적이고 효과적인 소방차출동전용도로(Fire Lane)의 형태학적 계획과 정량적인 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로써의 활용이 기대된다.

신호교차로 좌회전 효율적 처리를 위한 유턴차로 설치방법 연구 (A Study on Installation of U-Turn Lane for Efficient Operation of Left Turn at Signalized Intersections)

  • Park, Chahgwha;Yoon, Byoungjo;Kang, Bongsuk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597-606
    • /
    • 2015
  • 지금까지 유턴차로의 설치방법들에 관한 연구는 다양하게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구체적인 기준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어 유턴차로 설계기준의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광역시 상업지역을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수행하고, 해당 자료를 활용하여 도시부상업지역 내 신호교차로의 효율적인 좌회전 처리를 위한 유턴허용구간의 적정길이와 전방교차로로부터 유턴 허용구간까지의 최소거리를 산정하여 구체적인 설계기준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유턴허용구간의 적정길이는 32m로 산출되었고, 전방 교차로로부터 유턴허용구간의 시점까지의 최소 이격거리는 좌회전 차로수가 1차로인 경우 72m, 2차로인 경우 40m, 3차로인 경우 24m인 것으로 도출되었다. 이렇게 도출된 결과값을 현장조사 값과 비교한 결과 유턴허용구간의 길이 및 전방교차로로부터 유턴허용구간 시점까지의 최소 이격거리가 유사한 조건하에서도 차이가 크게 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유턴차로의 설계에 관한 구체적인 기준이 제시되어있지 않아 발생된 결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향후 유턴차로의 설계에 반영한다면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교차로 운영이 가능해 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축광노면표시 시인성 및 설치규격개선 효과분석: 고속도로 사고다발구간을 중심으로 (Effectiveness Analysis of Phosphorescent Pavement Markings for Improving Visibility and Design Standards: Focusing on Expressway Accident Hot Spots)

  • 이용주;이명환;최기주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6권4호
    • /
    • pp.685-694
    • /
    • 2016
  • 야간 혹은 우천시에 노면표시의 시인성이 저하되어 교통안전에 위협을 초래하고 있는 가운데, 본 연구에서는 최근 소개된 차선도색 장비 성능개량에 따른 노면표시 수명 연장(1.5배), 축광차선도료를 배합한 야광 노면표시의 시인성 개선(32.7%), 인간공학적 검토를 통한 고속도로 차선도색 설치규격 개선안(도색길이 6m, 빈길이 12m, 차선폭 13cm: 도색면적 27.8% 절감)을 도입하였을 때 종합적인 소요비용 및 사고절감 편익을 고려한 경제성분석을 통해 도입타당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기존 문헌을 바탕으로 노면표시 시인성 32.7% 개선에 따라 26.9%의 사고감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대한 고속도로 교통사고 절감편익은 125억원으로 산정되었다. 야광차선 도입 및 설치규격 개선에 따른 총비용 증가분은 306억원으로 고속도로 일괄 도입시 경제성(비용-편익비 0.41) 확보가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야간 교통사고가 잦은 상위 20개 구간을 대상으로 각 구간별 경제성 분석을 수행한 결과, 구간에 따라 비용-편익비가 0.67~4.20으로 전체 20개 구간 중 11개 구간에서 경제성이 확보되어, 특히 지방부 고속도로 사고다발구간에 야광 노면표시 및 설치 규격 개선을 우선적으로 적용시 사고 감소에 따른 경제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주제가 함께 논문의 말미에 토의되었다.

도시부 도로에서 주행차량의 횡방향 이격량 분석을 통한 곡선부 차로폭 연구 (A Study on Lane Width of Curved Section by Sway Distance Analysis of Running Vehicle on Urban Roads)

  • 이영우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57-6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도시부도로의 곡선구간에서 주행차량의 횡방향 이격량을 분석하여 차량 주행에 필요한 최소 소요차로폭을 산정하였으며 본 연구결과와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직선구간에서의 최소 소요차로폭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도로의 선형과 차종에 따라 곡선구간에서의 최소 소요차로폭을 제시하였다. 조사대상 곡선구간 도로의 차로폭은 2.79m~3.40m이다. 주행차량의 횡방향 이격량의 분포 및 조사대상 차량의 85%를 기준으로 누적분포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곡선구간에서의 최소 소요차로폭이 소형차량의 경우 2.31m~2.58m, 대형차량의 경우 2.80m~3.27m로 산정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녹색교통 도입을 위한 공간, 도로공사 중, 소형차 전용도로의 건설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설계자의 목적에 따라 유연한 차로폭 설계기준의 적용에 필요한 기초적인 연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ign standard for fairway in next generation

  • Ohtsu, Kohei;Yoshimura, Yasuo;Hirano, Masayoshi;Takahashi, Hironao;Tsugane, Masanori;Ohtsu, Kohei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6년도 Asia Navigation Conference
    • /
    • pp.230-239
    • /
    • 2006
  • The depth, width and alignment of fairway that are main port water facilities should be designed considering the various elements including particulars of design ships, weather and sea conditions around fairway and method of ship-handling. However not only the existing Japanese design standard for fairway and also those of other countries do not take into consideration of such kind of elements and no design standard is made by quantitative analysis. In this circumstance the new design standard (Approach Channels, A Guide for Design) depending on classified various elements and quantitative analysis was proposed in 1997 by PIANC and IAPH. But it was proved that calculated values according to this standard were unfounded and had some problems to output the discontinuous value by small difference of calculation condition because the each value fur each element was simply added. And also it is hard to apply this standard to the design of port water facilities in Japan because this [A Guide for Design] is the design standard for long channels in European port. The proposal of more reasonable Japanese standard will be expected by applying the study result of naval architecture and navigation and by the cooperation of ship operators to use fairway, naval architects to built ships and civil engineers to dredge fairway. The concept of a fairway in 'Design standard fur fairway in next generation' is defined as passage for approach channel) and traffic lane designated by light buoys as navigable water for safe navigation. In 'Design standard for fairway in next generation' depth, width and alignment are picked up among many design elements of a fairway. Design method for those elements is shown based on design ships and navigational environments. This standard shows the method of design for each dimension depending on characteristic on design ship and weather and sea condition.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existing fairway, it is possible to decide the size of ship and navigation criteria by opposite analysis.

  • PDF

SMART Highway 오르막차로 설치 필요성 및 기준 연구 (Necessity of Climbing Lane on SMART Highway and its Design Guidelines)

  • 김상구;김영춘;심대영;이용문;김종원;김흥래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73-486
    • /
    • 2014
  • 본 연구는 SMART Highway에서 종단선형에 따른 표준트럭의 교통영향을 분석하여 오르막차로 설치 필요성을 검토하고 오르막차로 필요 시 경사길이에 따른 속도변화 곡선을 구하여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MART Highway는 미래 고속도로이므로 표준트럭의 실제 주행실험이 불가능하여 VISSIM 시뮬레이션 모형을 이용하여 오르막구간에서 표준트럭의 속도변화를 구하였다. 오르막차로의 표준트럭은 100kg/kW(170lb/hp)로 결정하고 진입속도는 장래 여건을 고려하여 90, 100, 110km/h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SMART Highway 환경하에서 종단선형 1, 2%에서 오르막차로는 필요하지 않고 3%의 오르막구간에서만 설치 필요성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3% 종단선형에서 오르막차로를 설치하기 위해 진입속도 90, 100, 110km/h에서 경사길이에 따른 트럭의 속도변화 곡선을 제시하였고 오르막차로 설치 위치도 제시하였다.

Superhighway 연속곡선의 설계 방침에 대한 연구 (Study on Design Principle of Reverse Curve in Superhighway)

  • 김성규;김상엽;최재성;민동찬;장영수;신준수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6권6호
    • /
    • pp.169-179
    • /
    • 2014
  • PURPOSES : This study is to conduct the research on the design principle for the driver's safety and comfort in installing consecutive curves of superhighway. METHODS : Superhighway does not currently exist in domestic area. Thus, this study is conducted by collecting driving behavior usage of 30 people who are involved in the members of the virtual driving simulation. By identifying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each scenario in ANOVA & Tukey Test, the distribution a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RESULTS : In the case of Group A in Section 3 (R2 entry part), lane departure exceeds the safety standard, which means to be risky condition. And then in the case of Group B and C, the lane departure values applying theoretical formula was evenly distributed compared to the proven values. CONCLUSIONS : Based on the result, the continuous curve design principles at superhighway should follow three standards as follow. First, an additional linear part needs to be inserted between two curves. Second, what if inserting the linear part is difficult, it would be better to insert a curve more than 2,000m. Third, R1/R2 ratio should not be over two. This design primarily aims to the safety of the operator. Such road alignment also meets the expectations of drivers, thus, it may help drivers to be compatible and amenable while driving continuous curve in superhighway.

디스플레이포트1.1a 표준 기반 멀티플 비디오 스트리밍 컨트롤러 설계 (DisplayPort 1.1a Standard Based Multiple Video Streaming Controller Design)

  • 장지훈;임상순;송병철;강진구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8권11호
    • /
    • pp.27-33
    • /
    • 2011
  • 최근 디스플레이 시장이 성장하며 많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지털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지원하고 있는 추세다. 디스플레이포트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로서 PC, 프로젝터 및 고해상도 콘텐츠 응용 프로그램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연결 솔루션으로 개발이 되었으며 본 논문은 디스플레이포트 v1.1a 표준에 적합한 메인 링크의 동작을 기초로 하여 멀티플 비디오 스트리밍을 구현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포트의 한계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Source Device와 Sink Device간의 인터페이스뿐만이 아닌 Sink Device와 Sink Device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2개 이상의 다른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포트 v1.1a 표준에서 명시되어있는 4개의 Lane에서 별도의 Lane의 추가 없이 한 번에 전송함으로 2대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이 가능하도록 구현하였다. 설계된 시스템은 Verilog HDL로 설계 되었으며, 설계된 멀티플 비디오 스트리밍 IP는 Altera Audio/Video 개발 보드(Stratix II GX FPGA Chip)를 이용하여 Quartus II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합성한 결과 6,222 ALUTs와 6,686 레지스터, 999,424 비트의 메모리를 사용하였으며, 최대 동작 속도는203MHz의 성능을 확인 하였다.

250 W급 LED가로등의 배광 최적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ighting Distribution Optimal Design of 250 W LED Streetlight)

  • 신왕수;이승민;권영국;이진열;박대희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28권6호
    • /
    • pp.408-413
    • /
    • 2015
  • Road lighting has emerged in importance as an essential system to secure safety and visibility for drivers and pedestrians. According to the Road Lighting Standards (KS A 3701), the luminance uniformity (U0) should be 0.4, the luminance uniformity for lanes (UI) should be 0.5, and a threshold increment (TI) of 10% should be satisfied. In this study, we conducted simulations using the Relux program in which the secondary optical lens was applied to a 21 W engine. Ten LED engines were installed on a two-way four-lane road, and the simulation result satisfied the requirements with U0 0.47, UI 0.63 and TI 8%. The U0, UI, and TI were compared with the angle of the LED streetlight varied in the range of $9^{\circ}{\sim}15^{\circ}$ with $0.5^{\circ}$ intervals. The range was selected as ${\pm}25%$ of the standard inclination angle of $12^{\circ}$ according to the Road Lighting Standard. The U0 was high and the UI and TI were low when the tilting angle was in the range of $9.5^{\circ}{\sim}10.5^{\circ}$. Consequently, an optimum-design of lighting distribution was obtained for the concrete two-way four-lane road when the inclination angle was $9^{\cir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