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dslide

검색결과 769건 처리시간 0.023초

산사태 조사.해석 기법의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of Investigation and Analysis Technique to Landslides and Its Application)

  • 김경수;송영석;채병곤;조용찬;정교철
    • 지질공학
    • /
    • 제18권1호
    • /
    • pp.69-81
    • /
    • 2008
  • 산사태연구는 산사태를 발생시키는 여러 인자들의 상호관계를 규명하는 방법, 확률론적으로 산사태 발생가능성을 예측하는 방법 사태물질의 이동경로와 확산범위를 산정함으로써 산사태 위험성을 평가하는 방법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발생된 대부분의 산사태는 여름철의 집중호우에 기인되는 것으로 기반암 상부의 토층에서 발생되며, 강우조건, 지형조건과 지질 및 토질특성 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산사태 조사부터 위험성평가에 이르기까지의 산사태연구는 다양한 산사태를 체계적으로 조사하고 해석함으로써 공학적 관점에서 여러 특징들을 관찰하고 그 특성들을 총괄적으로 해석하여야만 한다. 이 연구에서는 경상남도 마천지역을 대상으로 산사태 현장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결과를 토대로 자연사면 산사태에 대한 최적의 표준모델로 활용할 수 있는 산사태 조사 및 해석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매리 땅밀림형 산사태(山沙汰)의 발생특성(發生特性)에 관한 분석(分析) (I) - 지형(地形) 및 지질특성(地質特性)을 중심(中心)으로 -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ndslide in Maeri (I) - With a Special Reference on Geo-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

  • 박재현;최경;배종순;마호섭;이종학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4권3호통권160호
    • /
    • pp.129-134
    • /
    • 2005
  • 이 연구는 김해시 상동면 매리 산사태지 1.5 ha에서의 발생특성 및 원인을 밝히기 위하여 수행한 것으로써 지형 및 지질적인 요인을 조사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지의 모암은 섬록암이며, 상부사면 및 주변은 마산암으로 이루어져 있고, 너덜(Talus)이 산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산사태는 2004년 4월 19일에 발생되었으며, 산사태 발생 전 3일 동안의 연속강우량은 74 mm이었으나, 강우가 직접적인 영향이라기보다는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이 지역 땅밀림 산사태의 직접적인 원인은 깊게 형성된 붕적토층과 풍화토층 등 지질 지형적인 특성과 사면하단부 절취라 판단된다. 이 지역의 산사태 유형은 지하수에 의한 요(凹)지형 붕적토 땅밀림형 산사태에 해당한다.

산사태 발생위험 예측을 위한 판정기준표의 작성 -경상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the Score Table for Prediction of Landslide Hazard - A Case Study of Gyeongsangbuk-Do Province -)

  • 정규원;박상준;이창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7권3호
    • /
    • pp.332-339
    • /
    • 2008
  • 경상북도 23개 시․군 산사태 발생지 172개소를 대상지로 선정하여 산사태 발생 특성을 다양한 요인별로 조사 분석하여 산사태 발생 위험 예측을 위한 판정기준표를 작성하였다. 산사태 위험 판정기준표는 수량화 I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산사태 발생량에 영향을 많이 주는 요인은 경사위치, 경사길이, 모암, 방위, 임분경급, 종단명형, 경사도의 순으로 나타났다. 산사태 발생 위험 예측을 위한 산사태 붕괴 위험도 판정기준표를 작성한 결과, 107점 미만 : 안정(IV등급), 107~176점 : 위험도 소(III등급), 177~246점 : 위험도 중(II등급), 247점 이상 : 위험도 대(I등급)로 붕괴 위험도가 구분되었다.

항공사진과 GIS를 이용한 인제지역 산사태 분석 (Analysis of Landslide in Inje Region Using Aerial Photograph and GIS)

  • 손정우;김경탁;이창헌;최철웅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61-69
    • /
    • 2009
  • 2006년 7월 중순 강원도 전역에 내린 집중호우로 인해 사상자 48명, 가옥 침수 1,248채에 이르는 인명.재산피해와 3조 5,125억 원에 이르는 피해 복구비용이 발생하였다. 강원도는 지역의 대부분이 산지로 산사태 지역에 대한 접근과 정확한 피해규모 추정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는 항공영상촬영 기술을 사용하여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강원도 산사태 발생 지역 확인 및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산사태 발생 직후 PKNU 4호 시스템으로 산사태 지역을 촬영하였다. 촬영된 영상은 ERDAS 9.1을 이용하여 정사보정 후 육안판독에 의한 디지타이징(Digitizing)으로 산사태 발생지역 1,054개소를 추출하였고, 이 지역에 대해 GIS 프로그램인 ArcGIS 9.2를 이용하여 수치지도, 임상도, 지질도, 토양도와의 중첩분석을 통해서 산사태발생지역에 대한 수문학적, 지형학적, 임상학적, 지질학적, 토양학적 현황과 특성을 DB로 구축, 산사태의 발생현황 및 특성을 분석하였다.

  • PDF

산사태 재해 관련 학술동향 분석 (Review of Research Trends on Landslide Hazards)

  • 김종헌;김원영
    • 지질공학
    • /
    • 제23권3호
    • /
    • pp.305-314
    • /
    • 2013
  • 국내외의 산사태 재해 학술정보를 검색하여 관련 학술동향을 분석하였다. 국내 학술정보는 환경지질연구정보센터(IEG)에 수록되어 있는 17개 학술지를 이용하였다. 검색된 논문은 2000-2012년 사이 게재된 총 54편이다. 검색된 논문의 성격을 분류하면 산사태 예측 또는 취약성 분석 논문이 29편이고, 산사태 메커니즘 관련 논문이 20편, 나머지 5편은 산사태 모니터링 또는 경보 시스템과 관련되어 있다. 국외 학술정보는 2003년 이후 현재까지 수록된 'Web of Science'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그곳에서 검색된 관련 논문 1,851 건을 이용하여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이 개발한 '수요자 맞춤형 연구개발 조기경보체제 구축'이란 정보 분석 프로그램으로 논문의 연도별, 국가별, 연구기관별 현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산사태 재해 연구는 이태리가 주도하고 미국과 중국이 뒤를 잇고 있다. 한국은 논문 수에서는 15위에 머물고 있으나 국가별 논문수준은 전체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시맨틱 기술과 베이시안 네트워크를 이용한 산사태 취약성 분석 (Landslide Susceptibility Analysis Using Bayesian Network and Semantic Technology)

  • 이상훈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61-69
    • /
    • 2010
  • 비탈면 혹은 절성토지의 파괴로 사람과 재산에 심각한 피해를 입히기 때문에 미리 산사태 취약성 분석을 수행하여 개발 혹은 자연재해로부터 위험을 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기존의 산사태 취약성 분석은 휴리스틱, 통계학적, 결정론적 혹은 확률론적 방법을 통해 이뤄졌다. 그러나, 적은 현장정보 등으로 분석의 신뢰도가 떨어지거나, 전문가의 경험과 지식을 기존 정량적인 해석모델에 반영하기 어려웠다. 본 연구는 산사태 취약성 분석에 대한 전문가 지식과 공간입력자료의 시맨틱을 추출하여 온톨로지 모델을 구축하고, 이를 베이시안 네트워크에 반영하여 확률적인 산사태 모델링을 제안하였다. 기존에 전문가 수작업으로 이뤄지던 베이시안 네트워크의 구조 생성을 온톨로지 모델의 지식추론으로 자동화하고, 현장정보뿐만 아니라 전문가 지식을 모델링에 반영하여 조건부 산사태 발생확률분포를 작성하였다. 이 결과를 GIS에 적용하여 산사태 취약성 지도를 작성하였다. 검증을 위해 충남 홍성일원의 오서산 지역에 적용한 결과 기존 산사태 발생흔적과 86.5% 일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일반 사용자도 전문가 도움 없이도 광역적인 산사태 취약성 분석이 가능하리라 기대된다.

산사태 취약지역 지정·관리 제도의 의의와 향후 과제 (Significance and Future Direction for Designation and Management of Landslide-Prone Zones)

  • 김석우;전근우;김경남;김민식;김민석;이상호;서정일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9권3호
    • /
    • pp.237-248
    • /
    • 2013
  • The legal basis for the systematic prevention and response to landslide hazards, and the rehabilitation of landslide-hit areas, was established through the amendment of the Forest Protection Act in August 2012. The most noticeable amendment to the Act is the inclusion of clauses associated with the designation and management of landslide-prone zones (including debris flow-prone zones). In this paper, we (1) introduce the clauses related to the designation and management of landslide-prone zones that were included in the amended Forest Protection Act, (2) examine their significance by reviewing the present status of related domestic laws and structural countermeasures such as sediment check dams for sediment-related disaster prevention, and (3) suggest the future directions of the procedure for the designation and cancellation of such zones, and their maintenance and institutional aspects. The establishment of an institutional device for the designation and management of landslide-prone zones has great significance in the aspect of (1) the establishment of a comprehensive management and prevention system for potential landslide-prone zones in forested areas where the hazard risk has been poorly recognized as compared with the flood risks in lowlands, and (2) the establishment of the basis for overcoming the limits of structural countermeasures according to limited budgets. To develop the designation and management system for landslide-prone zones, not only must present problems be addressed, but a cooperation system between the administration and local residents must also be established.

산사태취약성 분석을 통한 북한산국립공원의 생태적 위험도 평가 (An Assessment of Ecological Risk by Landslide Susceptibility in Bukhansan National Park)

  • 김경태;정성관;유주한;장갑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19-127
    • /
    • 2008
  • 본 연구는 북한산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산사태 발생인자들에 대한 공간정보를 구축하였으며, 중첩분석 및 합산평가 매트릭스분석을 이용한산사태 취약성 지도 및 생태적 위험 지표 작성을 통해 향후산사태 재해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산사태 평가 인자로는 사면경사, 사면방향, 경사길이, 토양배수, 식생활력도(NDVI), 토지이용도가 선택되었으며, 공간데이터베이스는 $30m\times30m$ 해상도로 구축되었다. 분석결과, 우이동 및 도봉계곡 일대의 산사태 취약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생태적 위험도는 도봉계곡, 용어천계곡 및 정릉계곡, 평창계곡 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어 향후 이들 지역의 관리계획 수립 시 산사태 위험에 대한 영향도 고려되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산사태와 지형공간정보의 연관성 분석을 통한 장흥지역 산사태 취약성 분석 (Landslide Susceptibility Analysis in Janghung Using Spatial Relationships between Landslide and Geospatial Information)

  • 이사로;지광훈;박노욱;신진수
    • 자원환경지질
    • /
    • 제34권2호
    • /
    • pp.205-215
    • /
    • 2001
  • 본 연구는 1998년 경기도 장흥지역에서 발생한 산사태의 취약성 분석을 목표로 산사태와 공간정보사이의 연관성을 정량적으로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산사태 발생위치는 원격탐사 영상과 야외 조사를 통해 작성하였으며, GIS 기반의 공간 데이터베이스로 지형, 토양, 임상 및 토지이용자료를 구축하였다. 지형자료로는 경사, 방위, 곡률을, 토양자료로는 토질, 토양 배수, 토양 모재, 유효 토심을, 임상자료로는 임상, 영급, 경급 및 밀도를 이용하였다. 산사태 발생과 공간정보사이의 관계는 우도비를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추출하였으며, 경기도 용인지역에서 발생한 산사태의 분석결과와 비교를 하였다. 그리고 계산된 우도비를 이용하여 연구지역 전체에 대한 산사태 취약성 지수도를 작성하였다. 연구결과, 산사태 발생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공간정보를 추출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분석결과는 산사태 피해 예방을 위한 방재사업, 국토개발 계획 등의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GIS 기법 및 발생자료 분석을 이용한 산사태 위험지도 작성 (Preparation of Landslide Hazard Map Using the Analysis of Historical Data and GIS Method)

  • 윤홍식;이동하;서용철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59-73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산사태 발생이력 자료을 기반으로 GIS 기법을 적용하여 산사태 위험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도로공사에서 조사한 3년 동안의 총 596개 산사태 발생이력 자료와 산사태 발생요인 정보(기상정보, 지형정보, 토질정보)를 기초로 산사태 발생과 발생요인 간의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여 상관관계를 산출하였다. 그 후 산출된 상관관계 토대로 총 6개의 래스터 래이어에 대한 가중치 및 위험도 인덱스를 도출하고, 최종적으로는 가중치를 적용한 래스터 계산기법을 통해 산사태 위험지도를 작성하였다. 본 연구의 적용 결과 산사태 위험도 산출을 위해 GIS 기법을 적용할 경우, 산사태 위험지도 작성을 위한 다양한 발생요인의 통합과 분석을 보다 손쉽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