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Landslide in Inje Region Using Aerial Photograph and GIS

항공사진과 GIS를 이용한 인제지역 산사태 분석

  • 손정우 (부경대학교 환경해양대학 위성정보과학과) ;
  • 김경탁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연구실) ;
  • 이창헌 (부경대학교 환경해양대학 위성정보과학과) ;
  • 최철웅 (부경대학교 환경해양대학 위성정보과학과)
  • Received : 2009.04.27
  • Accepted : 2009.05.14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In mid-July, 2006 the torrential rainfall across Gangwon-do region caused 48 casualties and 1,248 houses submerged, resulting in damages with the restoration costs of 3 trillion and 512.5 billion won. This was because the topographic characteristics of Gangwon-do region for which mountainous areas mostly account increased the effects of landslide. In this study, the landslide region was shot using the PKNU No.4 system immediately after the occurrence of landslide in order to analyze it as objectively, exactly, and rapidly as possible. 1,054 areas with landslide occurrence were extracted by digitizing the shot images through visual reading after orthometric correction using ERDAS 9.1. Using the Arc GIS 9.2, a GIS program, hydrologic, topographic, clinical, geologic, pedologic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landslide region were established in database through overlay analysis of digital map, vegetation map, geologic map, and soil map, and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occurrence of the landslide were analyzed.

2006년 7월 중순 강원도 전역에 내린 집중호우로 인해 사상자 48명, 가옥 침수 1,248채에 이르는 인명.재산피해와 3조 5,125억 원에 이르는 피해 복구비용이 발생하였다. 강원도는 지역의 대부분이 산지로 산사태 지역에 대한 접근과 정확한 피해규모 추정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는 항공영상촬영 기술을 사용하여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강원도 산사태 발생 지역 확인 및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산사태 발생 직후 PKNU 4호 시스템으로 산사태 지역을 촬영하였다. 촬영된 영상은 ERDAS 9.1을 이용하여 정사보정 후 육안판독에 의한 디지타이징(Digitizing)으로 산사태 발생지역 1,054개소를 추출하였고, 이 지역에 대해 GIS 프로그램인 ArcGIS 9.2를 이용하여 수치지도, 임상도, 지질도, 토양도와의 중첩분석을 통해서 산사태발생지역에 대한 수문학적, 지형학적, 임상학적, 지질학적, 토양학적 현황과 특성을 DB로 구축, 산사태의 발생현황 및 특성을 분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곽재하, 1994, 항공사진의 지형공간정보를 이용한 산사태 위험예측 기법,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pp.12-35.
  2. 김경수, 김원영, 채병곤, 송영석, 조용찬, 2005, "강우에 의해 발생된 자연사면 산사태 지질공학적 분석", 한국지질공학회, 제15권, 2호, pp.105-121.
  3. 김경수, 송영석, 조용찬, 김원영, 정교철, 2006, "지질조건에 따른 강우와 산사태의 특성 분석", 대한지질공학회, 제16권, 2호, pp.201-224.
  4. 김경태, 정성관, 박경훈, 오정학, 2005, "GIS 및 RS기법을 활용한 산사태 취약성 평가", 한국지리정보학회지, 제8권, 1호, pp.75-87.
  5. 김용균, 안대영, 강대우, 한병원, 2008, "유비쿼터스 기반 토석류 산사태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지질공학회, 제18권, 4호, pp.511-522.
  6. 박재국, 2008, "산사태 모니터링을 위한 지상라이다 자료의 정확도 평가", 한국측량학회지, 제26권, 2호, pp.117-127.
  7. 송영석, 홍원표, 2007, "퇴적암 지역에서의 산사태 원인 및 특성분석에 대한 사례연구", 대한지질공학회, 제17권, 1호, pp.101-113.
  8. 유병욱, 송평현, 정찬규, 2006, "2006 강원 인제, 영양, 평창지역 토석류 발생사례분석", 2006 가을 학술대회논문집, 한국지반공학회, pp.615-625.
  9. 이진덕, 연상호, 김성길, 이호찬, 2002, "산사태의 발생 가능지 예측을 위한 GIS의 적용", 한국 지리정보학회지, 제5권, 1호, pp.38-47.
  10. 이천용, 최경, 이종학, 이창우, 2002, "GIS를 이용한 산사태 위험지도 작성기법 개발", 산림 과학논문집, 제65권, pp.1-10.
  11. 전우현, 2006, "GIS를 이용한 최대지속 강우량이 산사태 발생에 미치는 영향평가", 2006년 춘계학술대회,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pp.413-414.
  12. 정재훈, 김상민, 김정환, 손홍규, 2008, "InSAR Coherence 영상을 이용한 산사태 탐측", 2008년 춘계학술대회, 한국지형공간 정보학회, pp.301- 305.
  13. 조남춘, 최철웅, 전성우, 한경수, 2006, "RS와 GIS기법을 이용한 산사태 위험성의 검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제9권, 2호, pp.54-66.
  14. 조용찬, 김경수, 이춘오, 채병곤, 김원영, 2003, "태풍 '루사'에 의해 발생한 강릉지역 산사태의 특징", 2003년 춘계 학술대회논문집, 대한지질공학회, pp.21-25.
  15. 차경섭, 2006, "역학적 기법과 지리정보 시스템을 이용한 산사태 위험지 예측", 건축도시연구정보센터, pp.27-38.
  16. 채병곤, 김원영, 김경수, 조용찬, 2002, "퇴적암지역 산사태의 발생특성 분석", 2002 학술대회 논문집, 대한지질공학회, pp.33-39.
  17.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02, "GIS와 원격탐사 기술을 이용한 산사태 위험분석 적용기술 개발", 과학기술부(KR-05-(T)-02), pp.3-6.
  18. Brand, E. W., 1981, "Some Thoughts on Rainfall-Induced Slope Failures",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il Mechanics Foundation Engineering, pp.373-376.
  19. Montgomery, D. R., Dietrich, W. E., Torres, R., Anderson, S. P., Heffner, J. T., Loague, K., 1997, "Hydrologic Response of a Steep, Uachanneled Valley to Natural and Applied Rainfall",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3, No. 1, pp.91-109. https://doi.org/10.1029/96WR02985
  20. Varnes, D. J., "Slope Movement Types and Processes, Landslides Analysis and Control", Special Report,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Washington, DC, pp.1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