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n Assessment of Ecological Risk by Landslide Susceptibility in Bukhansan National Park  

Kim, Kyung-Tae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
Jung, Sung-Gwa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yungpook National Univ.)
You, Ju-Han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Changwon National Univ.)
Jang, Gab-Sue (Dept. of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Research, Chungnam Development Institute)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v.22, no.2, 2008 , pp. 119-127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research managed to establish the space information on incidence factors of landslide targeting Bukhansan National Park and aimed at suggesting a basic data for disaster prevention of a landslide for the period to come in Bukhansan National Park through drawing up the map indicating vulnerability to a landslide and ecological risks by the use of overlay analysis and adding-up estimation matrix analysis methods. This research selected slope angle, slope aspect, slope length, drainage, vegetation index(NDVI) and land use as an assessment factor of a landslide and constructed the spatial database at a level of '$30m\times30m$' resolution. The analysis result was that there existed high vulnerability to a landslide almost all over Uidong and Dobong valleys. As for ecological risks, Dobong valley, Yongueocheon valley, Jeongneung valley and Pyeongchang valley were analyzed to be higher, so it is judged that the impact on a landslide risk should be also considered in time of establishing a management plan for these districts for the time to come.
Keywords
OVERLAY ANALYSIS; ADDING UP ESTIMATION MATRIX; LANDSLIDE DISASTER PREVENTION; LANDSLIDE AFFECTING FACTOR;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강인준, 장용구, 곽재하(1993) 지형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산사태 예측. 한국측지학회지 11(2): 53-58
2 과학기술부(2006) 산사태 위험도 판정시스템 및 피해감지기술 개발
3 마호섭, 정원옥(2007) 우리나라 국립공원지역의 산사태 발생특성 분석. 한국임학회지 96(6): 611-619
4 양인태, 천기선, 박재국, 이상윤(2007) GIS를 이용한 강우조건에 따른 산사태 취약지 평가.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15(1): 39-46
5 Liu, J.G., P.J. Mason, N. Clerici, S. Chen, A. Davis, F. Miao, H.L. Deng, Liang(2004) Landslide hazard assessment in the Three Gorges area of the Yangtze river using ASTER imagery: Zigui-Badong. Geomorphology 61: 171-187   DOI   ScienceOn
6 우경덕, 심규원, 한상열, 이주희(2003) 북한산국립공원 탐방객의 시 .공간 이용분포 분석. 한국산림휴양학회지 7(4): 53-59
7 국립방재연구소(1998) 사면안정성 조사와 피해경감을 위한 기초연구
8 Chau, K.T., Y.L. Sze, M.K. Fung, W.Y. Wong, E.L. Fong, L.C.P. Chan(2004) Landslide hazard analysis for Hong Kong using landslide inventory and GIS. Computers and Geosciences 30(4): 429-443   DOI   ScienceOn
9 Marks. R.(1989) Meohoden Oekologischer Planung im Kommunalen Umweltschutz am Beispiel der Stdt Dortmund. VGFO Band 18. Goeltingen, pp. 589-592
10 유주한, 조흥원, 정성관, 이철희(2004) 미선나무 자생지의 생육특성과 환경특성간의 상관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2): 210-220
11 한국자원연구소(2000) 산사태 예측 및 방지기술 연구
12 우보명, 임경빈, 이수욱(1978) 안양지역에 있어서 강우에 의한 산사태 발생에 관한 실태조사와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39: 1-34
13 조남춘, 최철웅, 전성우, 한경수(2006) RS와 GIS 기법을 활용한 산사태 위험성 검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9(2): 54-66
14 최경(2001) 산사태 예보와 위험지 판정기술. 방재연구 3(4): 15-27
15 이용준, 박근애, 김성준(2006) 로지스틱 회귀분석 및 AHP 기법을 이용한 산사태 위험지역 분석. 대한토목학회지 26(5): 861-867
16 이진덕, 연상호, 김성길, 이호찬(2002) 산사태의 발생가능지 예측을 위한 GIS의 적용. 한국지리정보학회지 5(1): 38-47
17 Perotto-Baldiviezo, H.L., T.L. Thurow, C.T. Smith, R.F. Fisher, X.B. Wu(2004) GIS-based spatial analysis and modeling for landslide hazard assessment in steeplands, southern Honduras. Agriculture, Ecosystems and Environment 103: 165-176   DOI   ScienceOn
18 나정화, 채인홍, 사공정희, 류연수(2003) 도시계획지역 내 농경지의 잔여경관요소에 대한 경관생태학적 평가 및 보존 방안. 한국조경학회지 31(5): 31-42
19 마호섭(1990) 지리산지역의 산지붕괴와 토사유출에 관한 연구. 경상대 연습림연보 1: 13-25
20 마호섭(1994) 산지사면의 붕괴위험도 예측모델의 개발 및 실용화 방안. 한국임학회지 83(2): 175-190
21 산림청(2004) 등산로 훼손 유형별 생태적 정비요령 -숲길 정비 매뉴얼-
22 김경태, 정성관, 박경훈, 오정학(2005) GIS 및 RS기법을 활용한 산사태 취약성 평가. 한국지리정보학회지 8(1): 75-87
23 이천용, 최 경, 이종혁, 이창우(2002) GIS를 이용한 산사태 위험지도 작성기법개발. 산림과학논문집, 65: 1-10
24 Dai, F.C. and C.F. Lee(2002) Landslide characteristics and slope instability modeling using GIS, Lantau Island, Hong Kong, Geomorphology 42: 213-228   DOI   ScienceOn
25 김종원, 남화경(1996) 한국 국립공원의 생태학적 특성분석과 보전 전략. 한국생태학회지 19(1): 93-104
26 이사로, 김윤종, 민경덕(2000) 산사태 공간 정보시스템 개발 및 산사태 공간 정보의 활용. 한국GIS학회지 8(1): 141-153
27 천기선, 박재국(2007) 산사태 취약지에서의 토지피복상태 변화 추적.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15(3): 69-76
28 수자원관리정보시스템(2008) http://www.wamis.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