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dscape Garden

검색결과 624건 처리시간 0.026초

베를린 서울정원 이용객의 한국성 인지 양상 (A Foreign Visitors Recognition with Respect to Koreaness of 'Seoul Garden' in Berlin, Germany)

  • 윤영조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67-77
    • /
    • 2018
  • 본 연구는 독일 베를린 마르찬 세계정원 내에 조성된 한국전통정원인 서울정원의 현지 이용객을 대상으로 한국정원에 대한 인지성과 정원의 선호요소, 인접한 중국, 일본 전통정원과의 인식차이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서울정원은 앞서 조성된 중국정원, 일본정원보다 상대적으로 잘 알려진 것으로 나타났다. 마르찬공원 내에서의 한국정원의 특별성에 대한 인지도는 평균수준으로 타 국가의 전통정원과의 차별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는 동양 3국의 전통정원이 공원 내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어 이용객들의 연속적인 관람이 이뤄지고 있다는 것과 자연형 배식기법의 적용에 따른 유사한 수종의 구성을 통해 경관이 연출되고 있는데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으며, 나아가 한국정원이 타 동양정원과 비교될 만한 독특한 공간구성, 식재 수종의 다양성과 대표성, 설계단계에서의 해당 국민의 동양정원문화에 대한 인지성 분석 등 다각적인 차별화 방안이 향후 제시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방문 전후 한국정원에 대한 이해도 결과는 사전정보 없이 방문한 이용객의 경우 한국정원에 대한 이해도가 높게 나타났고, 재방문 의사도 높게 나타나 서울정원이 한국전통정원의 홍보와 이해에 기여한 것으로 해석된다. 한국성을 표출하고 있는 서울정원의 선호요소 중 수경관의 폭포와 계류, 정자와 자연석에 대한 관심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설계개념에서 제시한 독락당과 별서정원의 입지구조, 독락당 전면 너럭바위와 계류를 모티브로 한 한국정원의 경관연출기법이 중국과 일본의 전통정원과 차별성을 가질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물리적 환경에서 지배적인 정원 건축물에 대한 양식적 차이와 함께 한국적 자연경관 형성을 통한 정원의 연출은 외국인에게 독특한 정원요소로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치료정원 관점에서 본 친환경 아파트의 조경실태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ly Friendly Apartments in the Dimension of Therapeutic Garden)

  • 강혜은;이연숙
    • KIEAE Journal
    • /
    • 제4권2호
    • /
    • pp.57-64
    • /
    • 2004
  • Apartments recently built have been strategically designed in many ways, and one of the most striking aspects is to utilize the idea of environmental friendliness and the application to the living environment. Especially, the number of environmentally friendly apartments that concern the health of residents have been increasing and their landscape is notably differentiate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study was to examine the landscape of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apartments that have been built in the past five years, and to assess its features in the aspects of therapeutic garden. Based upon the review of previous studies, this study constructed a checklist that was used to evaluate the planning components of the landscape during site visits. This study found that overall landscape selected in the study was well-planned. However, it was suggested that more features of therapeutic garden such as vegetation area which both encourages interaction with residents and produces therapeutic benefits be adopted in planning the advanced therapeutic garden of environmentally friendly apartments.

헤르만 F. 폰 퓌클러-무스카우(Hermann Fürst von Pückler-Muskau)의 풍경식 정원론의 형성과정과 의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ermann Fürst Pücker-Muskau's landscape gardening theory focused on its development process and meanings)

  • 조경진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69-81
    • /
    • 2014
  • 헤르만 F. 퓌클러-무스카우는 1834년 '풍경식 정원의 예시'라는 정원이론서를 출간하고, 무스카우와 브라니츠 정원을 조성한 독일 정원사의 중요한 인물이다. 그는 무스카우 공국의 통치자였으며 작가이자 정원사로서 다면적 활동을 하였다. 그가 영향력을 끼친 독일의 풍경식 정원은 이성으로부터의 해방, 인간 본연의 자유를 추구하는 낭만주의에 기반하고 있다. 당시 지식인들이 풍경식 정원에 관심을 가지게 것은 이상화된 자연을 표상하는 정원의 문화적 의미에서였다. 본 연구에서는 퓌클러-무스카우의 풍경식 정원관의 형성과정을 생애와의 관계 속에서 고찰하고, 이를 통하여 도출된 퓌클러의 풍경식 정원론의 내용과 고유한 설계방식을 살펴본다. 이와 함께 함축하고 있는 혁신성과 현대적 관점에서의 실천적 함의를 고찰한다. 퓌클러가 풍경식 정원에 관심을 갖고 자신만의 정원론을 구축하게 된 것은 여러 나라의 경관과 정원 기행에서 비롯하였다. 계몽적 낭만주의로 대표되는 퓌클러가 살았던 시기의 시대적 배경과 그의 개인적 경험 간의 상호관계는 그의 정원론을 이해하는 기반이 된다. 첫째, 그의 풍경식 정원론은 실제와 이상이 혼재되어 있는데 이는 낭만주의와 문학적 정원의 영향이라고 볼 수 있다. 둘째, 정원 구현 방식에 있어서는 18세기 후반의 표현을 중시하는 영국 풍경식 정원의 영향을 받고 있다. 셋째, 퓌클러의 정원 설계에서는 그의 내면적 성향과 개인 경험이 드러난다. 넷째, 퓌클러가 지역 주민을 위한 정원을 조성하고자한 것은 진보적 사상을 지닌 귀족으로서 모순적 성격의 자기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퓌클러 풍경식 정원론의 가치는 인문학적 정원의 전통과 사회 조건의 개선을 추구하는 실용적 태도와 깊이 관련된다. 이러한 결과로 나타난 그의 풍경식 정원론은 이상적 공동체와 윤리적인 건강성을 지향하는 경관론이면서, 지역의 생태적, 경제적, 사회적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전략을 담고 있다. 또한 개인적 영역에서 공공의 영역에 이르기까지 정원의 개념과 의미를 확장하고, 실용과 미를 동시에 추구하는 종합예술을 지향한다. 이러한 통합적 관점은 오늘날 현대 조경이론과 실천에서 회복되어야 할 가치이며 지향점이기도 하다.

히르시펠트(C.C.L.Hirschfeld) 정원예술론의 의미와 가치의 현대적 해석 (Interpretation of C.C.L.Hirschfeld's Theory of Garden Art in Contemporary Meaning and Its Significance)

  • 조경진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58-68
    • /
    • 2014
  • 크리스티안 케이 로렌츠 히르시펠트(Christian Cay Lorenz Hirschfeld)(1742-1792)는 18세기 독일의 미학자이자 정원이론가로 당대에 '풍경식 정원예술의 아버지'라고 불리었다. 그는 '정원예술론'이란 5권의 저작에서 정원이론을 집대성하였고 이는 현재까지도 가장 포괄적인 정원이론서로 여겨진다. 정원역사에서 식물소재, 공간구성요소와 정원유형 등을 다루고 있는 이 이론서는 당대에 유럽에 널리 알려졌고, 이로 인해 영국 풍경식정원을 널리 보급시키는데 크게 이바지하게 된다. 그러나 히르시펠트의 정원론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 논문은 히르시펠트 정원론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고 현대적 관점에서의 주요 쟁점을 해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히르시펠트 정원이론은 18세기 독일 계몽주의와 낭만주의가 교차하는 지점에 태동되었고, 자연이 지닌 정신적 가치를 중시하는 독일문화의 산물이기도 했다. 당대 독서문화가 활성화되고 기행문학이 유행하게 된 사회 현상이 정원이론서가 소비될 수 있었던 배경이 되기도 했다. 오늘날 관점에서 히르시펠트 정원론이 기여한 바와 이를 재해석할 수 있는 쟁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원예술의 위상을 높이는데 크게 기여했다는 점이다. 둘째, 히르시펠트는 정원예술은 자연의 모방이라는 전제 아래 자연의 원형 경관과 고안된 정원과의 관계를 규명하였으며, 정원은 자연의 아름다움을 최대한 표현하고 끌어낼 때 진정한 예술적 가치를 지닐 수 있다고 주창하였다. 셋째, 히르시펠트는 특정 정원의 인상과 관념이 연합하여 화학적 작용을 일으킨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특정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공간을 그는 유쾌하고 쾌활한 축제와 같은 정원, 온화하고 멜랑코리한 정원, 낭만적인 정원, 장엄한 정원 등으로 구분하였다. 넷째, 그는 정원에서의 움직임이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중요한 국면임을 강조하였다. 움직임이 중시되는 풍경식정원에서 풍경화식 재현방식이 적절한 방식으로 활용되었다. 다섯째로는 정원은 단지 물리적 공간이 아닌 정신이 구현된 장소임을 환기시켰고, 나아가 삶의 은유로서 윤리적 정원을 실천해야 한다고 주창하였다. 히르시펠트의 정원론은 18세기에 저술된 이론적 저작으로 현재적 시점에서의 구체적인 실천적 함의가 부족하다는 비판적 시각이 있다. 하지만 그는 공공 정원에 대한 논의를 통하여 19세기 도시공원운동의 단초를 제공하였다. 정원예술의 위상제고, 지역성의 강조, 실천이념으로 중재 개념이 그의 이론에서 우리가 주목해야 할 지점이다. 무엇보다도 정원문화가 새롭게 부각되는 오늘날 인문학적 조경론의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Research about the Evaluation Index of Agricultural Sightseeing Garden Landscape Resources based on AHP

  • YU, Lan-ling;PIAO, Yong-ji;JIANG, Dao-zhu;Jo, Hyunju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83-490
    • /
    • 2016
  • On the basis of conducting a comprehensive investigation to agricultural sightseeing garden landscape resources, we established a evaluation index system of agricultural sightseeing garden landscape resources. From the perspective of experts, comparing the importance of all levels indicators, we obtained the weights of landscape resources evaluation index through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The result showed that the descending order of the weights of influence of agricultural sightseeing garden nineteen evaluation index is: reach ability (0.128), safety (0.083), location (0.078), participatory (0.076), cultural value (0.058), ecological conditions (0.057), scenic beauty (0.0505), environmental quality (0.051), featured properties (0.0501), environmental tolerance (0.048), reputation (0.047), environmental capacity (0.045), humanize (0.041), spots configuration (0.034), applicable travel period (0.033), scientific value (0.032), art value (0.031), holistic (0.03), suitability (0.027), it can provide a framework and basis for the planning, management, protection and exploitation of agricultural sightseeing garden landscape resources.

이화원 황가원림의 경관연출기법 연구 (A Study on Landscape Formation Techniques of Summer Palace as Royal Garden in China)

  • 안승홍;윤성융;염성진;윤상준;이원호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8-27
    • /
    • 2018
  • 본 연구는 황가원림이 중국 고전원림을 집대성한 산물임을 상정하고 황가원림에 연출된 경관 특성을 분석한 연구이다. 이화원에는 아름다운 경관을 감상하고자 한 황제의 욕망을 위해 다양한 경관연출기법이 적용되었는데 이에 따른 경관 특성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이화원은 차경, 주경, 배경, 대경, 협경, 분경, 광경, 누경, 첨경 등 다양한 조망처리기법을 통해 다양한 원림경관을 형성하고 있다. 둘째, 남북의 중축선을 기준으로 한 건축물을 대칭구도 및 장랑구조, 시각생리를 고려한 경점의 배치를 통해 경관 감상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중국 각지의 명승지 경관을 이화원의 고유한 지형적 특성에 맞게 도입하는 명경이식기법을 활용하였다. 이화원에는 항주와 기창원, 소주의 산당가의 경관이 재현 이식되어 공통적으로 강남지역의 경관이 이식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3가지 기법들은 원림 내에 공간감을 살리고, 풍부한 경관을 연출할 뿐 아니라 유람객의 시선을 자연스럽게 유도하고 집중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익산 왕궁리유적에서 후원의 위상과 의미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osition and Meaning of the Back Garden in Wanggung-ri Site, Iksan)

  • 전용호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1-13
    • /
    • 2016
  • 익산 왕궁리유적의 후원은 구릉상에 복잡한 수로체계를 통하여 정원과 연결된 구조로 동아시아 조경사에서 상당히 독특한 면모를 한 백제 조원기술(造苑技術)의 일면을 잘 보여준다. 후원은 구릉상에 입지하여 최소한의 물로 조경 효과를 높이면서도 집중 호우시 침수 피해를 줄이고, 궁성 중심 공간에 필요한 용수를 확보하기 위하여 역U자형 대형수로와 이에 연결된 수로, 곡수로 및 집수시설로 이루어진 복잡한 수로 체계를 갖추고 있다. 특히 역U자형 대형수로의 내부에서 물이 고이는 지점이나 그 가장자리에 크기나 형태가 다양한 괴석으로 장식한 조경시설도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후원의 중심부인 구릉의 상면에는 원형 초석 시설로 둘러싼 내부에 방형 초석을 사용한 정면 4칸, 측면 4칸의 건물지가 자리하고 있다. 또한 구릉의 좌 우 사면에는 말각장방형의 석축시설로 일부분이 감싸져 있는 공간 내부에 건물도 확인되었다. 아직까지 말각장방형의 석축시설의 기능 및 역할에 대해서는 잔존 상태가 좋지 못하여 정확하게 알 수 없으나 그 내부의 건물과 관련된 시설임에는 분명하다. 이런 점에서 익산 왕궁리유적의 후원은 백제의 전통적인 조원 수법인 방지(方池) 스타일의 정원에 물을 끌어 들이거나 내보기 위한 곡지(曲池) 스타일의 수로(水路)를 함께 지니고 있다. 아울러 익산 왕궁리유적의 '정원'과 '후원'은 상호 유기적인 연결체계를 이루고 있다는 점에서 익산 왕궁성의 내부에 있는 '궁원(宮苑)'으로 보고자 한다.

아파트 단지의 조경요소로의 정원의 도입과 인식차이에 관한 연구 (Introduction of Garden as Landscape Element in Apartment Complex and Understanding Difference of Perception)

  • 이혁재;홍광표;김인혜
    • 토지주택연구
    • /
    • 제11권2호
    • /
    • pp.47-57
    • /
    • 2020
  • In this study, we aimed to identify the latest trends of landscape in apartment complexes by identifying how landscaping spaces are being created and what their characteristics are. Furthermore, we aimed to find out what type of garden is being constructed in the landscaping space and w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landscaping space and the garden space is, and to define the future direction of landscape for apartment complexe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ur findings. First, we identified that landscaping space is divided into general landscaping space and garden space. The garden space has designated area within the whole apartment complex as a garden and there is a variety of garden themes and plants, facilities, packaging patterns, and sculptures are used accordingly. On the other hands general landscaping space features uniform patterns of packaging and simple planting patterns. Our finding is that the current trend is to set up separate garden space within the landscaping space of apartment complexes. Although gardens are often regarded as personal property and spaces that need to be cultivated or managed, and spaces that are limited to fences are defined as gardens, the current landscaping space of apartments is creating gardens-like spaces within public spaces.

수직형 실내정원이 주는 생리적·심리적 효과 검증 (Verification of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Effects of Vertical Indoor Garden)

  • 김승주;강민지;이주영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10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benefits of indoor garden to humans and to analyze the comparison according to Type A behavior pattern. The subjects included 18 male university students. Heart rate variation was used as a parameter of physiological assessment, and Semantic Differential (SD), Profile of Mood States-Brief (POMS), and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 were used as tools for psychological evaluation. The participants were subjected to a psychological evaluation when they were present in a garden. As a result, the parasympathetic nervous activity was increased in the indoor garden. In the analysis of psychological evaluation, indoor garden improved the positive mood states and decreased negative feelings with significant changes only in Type A group. This study supported that indoor garden can have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relaxing effects, which could be more significant in Type A group than Type B.

대학캠퍼스 식물원의 하절기 기온저감 효과에 관한 연구 (Cooling Effects of Botanical Garden in Urban Campus during Summer)

  • 이상화;이규석;정해연;김문성;신동훈;우창호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72-78
    • /
    • 2008
  • The cooling effects of botanical garden in urban are was investigated at Sungkyunwan University Natural Science Campus and nearby urban area during summer (20/06/2008-30/08/2008). Temperature and humidity data were observed, downloaded and analyzed. After observation single-family residential area (TNH) showed the highest air temperature while botanical garden (ARB) did the lowest one. UHI intensity between TNH and ARB was derived and investigated. The average UHI intensity was $1.5^{\circ}C$ while maximum UHI intensity was recorded at 21 : 20 by $2.29^{\circ}C$, and minimum UHI intensity at 09 : 20 by $0.45^{\circ}C$. Overall the average air temperature of botanical garden was lower to surrounding urban area by $0.5-1.5^{\circ}C$. So it was found out the botanical garden contributes to the cooling effect of the surrounding area as an urban cooling isl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