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dscape Assessment

검색결과 731건 처리시간 0.03초

하천에 있어서 자연성의 보전, 정비, 창출에 관한 연구 II - 원성천과 풍서천의 하천식생구조를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Conservation Rehabilitation and Creation of Naturalilty of Rivers - River Vegetation Structure of Wonsungcheon and Pungseocheon)

  • 방광자;이진희;설종호;강현경;박성은
    • 환경영향평가
    • /
    • 제7권2호
    • /
    • pp.53-64
    • /
    • 1998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build up the ecological guidelines to grasp the structure of the vegetation change which is due to river rehabilitation. Anyway, river ecosystem and function has been destroyed owing to river development. It is important that river vegetation supplies ecological corridor and biotope. Two survey sites(Wonsungcheon and Pungseocheon)were investigated in the aspect of plant ecosystem and structure to settle the practical concept of river ecosystem. Each survey site was subdivided to five plots. The site was surveyed through the belttransect method. Wonsungcheon gets more seriously polluted as it runs to the urban area. In other words, there are On the other hand, Pungseocheon has more naturality but its downstream is under the pressure of various wood plants in the upstream area, but downstream area is dominated by naturalized plants such as Bidens frondosa, Panicum dichotomiflorum, etc. Riverbank of downstream has been changed into farm and parking lot. development. It should be preserved definitely because it still has abundant naturality and wetland which formed a biotope. The objective of the research is to find out the river retrogression and maintenance methods based on the riparian vegetation structure. To manage the river ecologically, hydrophytes should be induced partly for natural purification after the riverside is rehabilitated. The vegetation should be induced step by step to restore natural river and steady monitoring and research are required.

  • PDF

탄천 이용자의 인식조사를 통한 생태계서비스의 트레이드오프 관계 고찰 (A Study of Ecosystem Services Trade-off based on user Perception in Tancheon)

  • 김무한;최정권;박재붕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1-40
    • /
    • 2018
  • Since the Millennium Ecosystem Assessment Report was published in 2005, the conflict between development and the preservation of the ecological environment has turned to paying attention to value assessments in rational decision-making. In recent years, the concept of ecosystem services has been recognized as a viable one for making significant decisions. However, a trade-off between increase and decrease occurs between the ecosystem services sub-categories (cultural service, regulating service, supporting service, and provisioning service), for which research centering on target sites is needed. To this end,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trade-off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categories to search for reasonable decision-making strategies. As the research method,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the translated version of SoIVES(Social Value for Ecosystem Services) 3.0 questionnaire of the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The research findings demonstrate the economic value, based on the derived monetary value of each service category, the economic value of the target site was compared among landscape aesthetic value 8,050,000 won, recreation value 6,750,000 won, biodiversity value 4,610,000 won, healing value 3,970,000 won, life-sustaining value 2,090,000 won, and productive value 220,000 won. And then the primarily recognized value criteria of the Tancheon ecosystem services illustrate landscape aesthetic and recreation value. Besides, this study illustrates visualized trade-off relationships based on user perception, and the derived relations illustrate the trade-off relationship between the cultural service, regulating service, supporting service, and provisioning service, as well as relationships between the components of the sub-categories.

도시 생태네트워크 설정을 위한 공간의사결정지원체계에 관한 연구 ; 경관생태학 이론을 기반으로 (A Spatial Decision Support System for Establishing Urban Ecological Network ; Based on the Landscape Ecology Theory)

  • 오규식;이동우;정승현;박창석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7권3호
    • /
    • pp.251-259
    • /
    • 2009
  • 생태계 회복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생태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특히 GIS를 이용한 환경정보자료의 구축과 분석기법의 개발은 이를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하게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경관생태학 이론을 기반으로 도시생태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공간의사결정지원체계를 제시하였다. 제시된 공간의사결정지원체계는 다음과 같은 4단계로 구성된다. 첫째, 생태네트워크의 주요 골격을 형성하는 핵심 녹지를 중첩기법을 통해 도출한다. 둘째, 서식지 분포자료를 이용하여 서식녹지를 파악하고, 중력모형을 적용한 연결성 평가를 통해 연결녹지의 도입이 필요한 지역을 도출한다. 셋째, 최소비용경로분석을 이용하여 파편화된 녹지를 연결하기 위한 최적의 경로를 도출한다. 마지막으로 도시 생태네트워크 분석결과와 현재 토지이용간의 비교를 통하여 분석결과의 적정성을 검증한다. 본 연구는 도시 내 생태공간을 증진하기 위한 계획적 도구로서 난개발 방지, 종 다양성 증진 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풍혈의 환경 특성과 식물지리적 가치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Wind-Hole and Phytogeographical Values)

  • 공우석;이슬기;윤광희;박희나
    • 환경영향평가
    • /
    • 제20권3호
    • /
    • pp.381-395
    • /
    • 2011
  • Present work aims to establish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environmental data base for nine typical wind holes or air holes in Korea. It basically deals with definition, geographical distribution, morphological pattern,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anthropogenic environments of wind hole to propose systematic preservation strategy of their periglacial landscape and flora, which are known to be sensitive to global warming. Wind hole, in which cool air blows out during the summer, but mild air comes out during the winter from a cave or hole, is frequently found on northwest- and north-facing slopes on the terminal point of steep talus, block field, and block stream, and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i.e., talus, cave and sink types.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nine wind holes are analyzed on the basis of their geology, landform, climate, soil, hydrology, vegetation, road, footpath, land-use, and management system, and relevant DB are prepared. Wind hole areas with unique landscape and ecological values need to be designated as a nature reserve, and zoning of core, buffer, and transitional zones are required for the multi-dimensional preservation of periglacial landscape and ecosystem. Phytogeographical values of glacial relict plants, including mountain cranberry(Vaccinium vitis-idaea) at its global southernmost limit at Bangnaeri wind hole, Hongchon County, Gangwon Province of Korea are discussed in detail as a floristic refugia in connection with climate change during the Pleistocene Epoch and potential in-situ and ex-situ preservation sites in the future.

패치크기, 연결성, 가장자리를 고려한 보전가치평가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by Considering Patch Size, Connectivity and Edge)

  • 이동근;김은영;오규식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8권5호
    • /
    • pp.56-67
    • /
    • 2005
  • Rapid and reckless economical development is causing nationwide deforestation; more and more forest is being developed to be used as a base for economic advancement. While benefiting the national economy, this destruction of forest is creating a serious problem in the National Land Plan. To solve this problem, it is imperative to understand the current condition of damaged forest and make an environment-friendly plan. This paper explains the principles of spatial plan and sets the criteria for the plan, such as patch size, connectivity, and edge of the Landscape Ecology. The paper assesses the conservational value of area that are currently being developed or planned to be developed to figure out the current environmental situation. This conservational value was verified by the field survey. The result of assessment appears that the patch size of the major mountains in site is over 1,000ha and edge is located widely beside roads. The area of the high connectivity is located agriculture area in valley or narrow roads. The research shows that the patch size is related to biodiversity the larger the patch size, the more populated the species are. The research also reveals the conservational value indicated by degree of connection to forest, difference in the structure of vegetation between core area and edge area, and effects of surrounding environment. In further study, we will assess other criteria of conservation value, such as patch shape and fragmentation to the Landscape Ecology, and apply those criteria in biological aspects of the spatial plan.

자연기반해법의 탄소저장과 생물다양성의 공동·상쇄 효과 평가 (Assessment of Co-benefit and Trade-off Effects of Nature-based Solutions on Carbon Storage Capacity and Biodiversity)

  • 김다슬;이동근;황혜미;허수정;윤석환;김은섭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45-54
    • /
    • 2024
  • This study developed a model to evaluate the co-benefits and trade-off effects between biodiversity and carbon storage capacity based on the implementation locations of nature-based solutions. The model aims to propose optimal implementation locations by using the conceptual idea of edge effects for carbon storage and connectivity for biodiversity. The co-benefits were considered by simultaneously taking into account two effects rather than a single effect. Trade-off effects were observed among optimal plans through a comparison of benefits. The NSGA-II multi-objective optimization algorithm was utilized, confirming the identification of Pareto-optimal solutions. The implementation patterns of Pareto-optimal solutions for green areas were examined.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in proposing optimal locations by evaluating various co-benefits and trade-off effects of nature-based solutions. By advancing models based on this evaluation framework, it is anticipated that the assessment of co-benefits and trade-off effects among various benefits of nature-based solutions, such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enhancement of biodiversity, and provision of ecosystem services, can be accomplished.

농촌공간계획 수립에 따른 환경계획 적용방안 연구 (Study on the Application of Environmental Planning in the Establishment of Rural Spatial Planning)

  • 김진오;우경숙;김진표;송병화;이정환
    • 환경영향평가
    • /
    • 제33권4호
    • /
    • pp.175-185
    • /
    • 2024
  • 본 연구는 농촌공간계획 추진에 따른 환경분야 이슈를 파악하고 환경계획을 강화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농촌지역은 우수한 자연환경자원을 가지고 있어 환경에 미칠 영향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며 과도한 규제로 인해 농촌 개발이 축소되지 않도록 농촌 현실을 고려한 유연한 계획 수립지침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의 범위는 농촌공간계획 수립 시 기본계획, 재생계획 수립 시 환경계획 강화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연구범위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현장답사 및 농촌계획분야의 전문가를 수렴하고, 농촌공간계획제도가 시행됨에 따라 환경성 평가 시 기초연구로 활용하고자 한다.

농촌 및 자연지역의 경관 다양성 평가모형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Landscape Diversity Evaluation Model on the Basis of Rural and Natural Area)

  • 나정화;이용은;조현주;구지나;권오성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84-95
    • /
    • 2013
  • 최근 경관훼손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사전 예방적 차원에서 우수한 경관지역을 선정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경관 다양성은 경관 구성요소를 평가하기 위한 핵심적인 방법으로 보존가치가 높은 지역의 경관 질을 평가하는데 중요한 기준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관을 구성하고 있는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한 경관 다양성 평가모형을 설정해 보고, 이를 연구대상지에 적용해 봄으로써 평가모형을 검증하는데 가장 큰 목적을 두었다. 국내 외 문헌 및 연구 자료를 분석한 결과, 경관 다양성 평가모형을 구축하기 위한 지표로서 지형, 식생, 토지이용형태, 특이경관 등 총 4개의 항목이 도출되었다. 지형의 다양성은 지표면 기복정도와 지표면 형태의 다양성을 세부지표로 선정하였으며, 식생의 다양성에서는 식물군락과 층위구조의 다양성을 세부지표로 선정하였다. 각 평가지표의 다양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Shannon의 다양성 지수(SHDI)를 응용하였으며, 작성된 각 지표별 유형분류도면에 귀속되는 출현유형과 면적을 Fragstats 4.0에 대입하여 결과값을 산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세부지표별 결과값의 표준화 및 합산과정을 거쳐 최종 경관 다양성 지수값을 산출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경관 다양성 평가의 초기 연구 단계로서 방향제시 및 가능성을 모색해 보는데 의의가 있었다. 또한 추후 연구를 통하여 경관 구성요소를 평가하는 핵심 방법으로서, 우수한 경관의 질을 평가하는 중요한 기준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제시한 경관 다양성 평가모형은 4가지 지표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였던바, 우세성을 가지는 세부지표에 대한 고려가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불어 각 평가지표의 결과값을 표준화하는 과정에서 차후 평가지표별 최대값에 대한 축척된 자료가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다양한 면적과 유형의 사례지들을 분석하여 객관성을 높여 나갈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등산로 개설에 의한 산림의 경관생태학적 영향 분석 (The Analysis of Landscape Ecological Effect of Forest by Trail-Building)

  • 이우성;박경훈;김동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28-137
    • /
    • 2008
  • 본 연구는 북한산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등산로가 산림경관의 파편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후, 이를 토대로 소유역별 경관생태학적 건전성을 평가하였다. 등산로 개설에 의한 영향 분석 결과에 따르면, 산림패치의 크기는 감소한 반면 패치 및 가장자리 밀도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패치형태는 보다 복잡해지고, 핵심지역의 면적은 뚜렷하게 감소하였고, 패치간의 근접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소유역별 경관생태학적 건전성 평가 결과, 종합적인 건전성은 북한산유역이 3.7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구기유역이 1.6점으로 가장 낮게 평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산림의 경관생태학적 보전과 관리를 위해서는 불필요한 등산로의 개설을 금지하고, 훼손 및 교란 지역에 대한 자연적인 생태학적 복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구상나무와 분비나무분포지의 환경 특성 및 기후변화 민감성 평가 (Environmental features of the distribution areas and climate sensitivity assesment of Korean Fir and Khinghan Fir)

  • 박현철;이정환;이규관;엄기증
    • 환경영향평가
    • /
    • 제24권3호
    • /
    • pp.260-277
    • /
    • 2015
  • 본 연구는 대표적인 아고산식물인 동일속 식물 구상나무와 분비나무의 기후변화 민감성 평가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종 분포 모형을 이용하여 현재 및 미래의 종 분포 확률을 예측하였고 기후변화 민감성 평가를 하였다. MTSS를 기준으로 예측된 잠재 분포지는 분비나무가 구상나무보다 감소율이 많았으며, 스칼라 민감도를 이용한 평가에서는 구상나무의 민감도가 분비나무보다 높았다. 본 연구와 같은 종 분포 모형을 이용한 연구에서는 위치자료 및 환경변수에 따라 종 분포 확률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연구 대상종의 생태 환경에 대한 면밀한 조사가 선결되어야 하며, 본 연구를 기초로 하여 국내에 적용 가능한 기후변화민감성 평가 방법이 개발된다면 기후변화와 생물 다양성 적응 정책의 중요한 의사결정 수단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