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dscape Aesthetics

검색결과 146건 처리시간 0.025초

제임스 코너의 재현 이론과 실천 - 조경 드로잉의 특성과 역할 - (James Corner's Theory and Practice of Representation -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Landscape Architectural Drawing -)

  • 이명준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118-130
    • /
    • 2017
  • 조경 설계 과정에는 설계안을 시각화하는 다양한 종류의 드로잉이 제작된다. 이 연구는 조경 드로잉의 특성과 역할을 부단히 탐구해 온 제임스 코너의 재현 이론과 실천의 전개 과정을 면밀히 검토한 논문이다. 코너는 1990년대 초반부터 발표된 이론적 저술에서 드로잉이라는 시각 이미지는 경관의 다감각적 특성을 온전하게 담아내기 힘들고, 따라서 조경 드로잉은 경관의 외양을 사실적으로 그려내는 방식, 즉 도구적 기능보다는 경관의 다감각적 특성을 대안적으로 보여주고, 설계 과정에서 아이디어를 생성하는 상상적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고 하면서 새로운 시각화 테크닉의 실험을 주장했다. 코너의 재현 이론은 1990년대 중후반 설계 실천에 적용되면서 실천적 이론으로 진화했다. 코너는 생태학을 수용하고,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이라는 실무 작업을 전개해가면서 드로잉의 도구적 역할에 다시 주목했다. 이전에 코너가 콜라주와 몽타주를 이용하여 상상적 역할을 수행하는 퍼스펙티브 뷰를 지지하는 경향이 있었다면, 1990년대 후반의 이론과 실무 작업에서는 도구적 기능을 수행하는 맵을 기반으로 하되, 이를 상상적으로 변형하는 맵핑 테크닉을 강조했다. 이와 같이 코너의 저작은 조경 분야의 본질을 파악하여 드로잉의 특성과 역할을 체계적으로 이론화했고, 나아가 이론과 실천의 상호작용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현대 조경 설계에도 여전히 귀감이 되고 있다.

습지보호지역을 대상으로 한 문화서비스 평가 연구 (A study of Ecosystem Cultural Services Assessment: case of Wetland Protection Areas)

  • 김무한;주우영;정윤석;한승주;박성빈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139-146
    • /
    • 2019
  • There is often confliction between conservation for protected ecosystem assets and development for various stakeholders at wetland protection areas. The concept of Ecosystem Services can be an alternative solution for the conflicts. This paper attempted to measure and evaluate cultural ecosystem services according to the index evaluation approach. For the evaluation, the paper suggested five indicators of ecosystem cultural services including: inspiration, landscape aesthetics, education, eco-tourism, and heritage. The developed indices of cultural services in this study can be also utilized as a policy support tool for conservation of the wetland protected areas. The result illustrates the ranking and correlation of each indicator of ecosystem cultural services and suggestions for useful means of management policy in wetland protected areas.

가로변 건축물 파사드의 관리 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 문화전당 경계부 가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Setting Direction of Managing the Building Facade on Street - With the Road on Border of Asian Culture Center in Gwangju -)

  • 박성진;김인호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131-139
    • /
    • 2011
  • This study is to examine architectural designers' views on the correlations between components and contextual principle of the roadside building facade with the roadside building facade on the border of Asian Culture Center in Gwangju which is expected to undergo a great change by public policies. For setting direction of the roadside building management at the region examined, height of facade, advertisement/signboard, security of continuity through surface pattern management, nodes building, array of height by story, awning/arcade and locality of advertisement/signboard should be induced to design with locality and consideration of local characteristics with silhouette, window and external colors is needed for discrimination from other cities. Regarding the realization method important thing was found that th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of architectural design guidelines, architectural aesthetics of the pre-hearing enhancement, active citizen participation, and then additional landscape screening system, incentive schemes, landscape designation of landscape zone was found to be a major realization system.

로버트 스미슨의 작품에 나타난 근대 경관미학의 개념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rtistic Development of Rogert Smithson as Means of Investigating His Conceptualization of a Modern Landscape Aesthetics)

  • 김도경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62-73
    • /
    • 1996
  • 본 연구는 환경예술운동의 선구자격이며 가장 대표적인 작가로 평가되는 로버트 스미슨의 작품에 대한 연구를 통해 그의 경관미학의 개념화에 대하여 고찰해 보고자 하였으며 궁극적으로 본 연구가 환경예술운동이 현대 조경설계에 미친 영향에 대한 기초 연구라는데 본 논문의 의의를 찾고자 한다. 스미슨의 작품이 조경에서 다루는 경관의 여러 가지 관점을 다루었으며, la국을 중심으로 조경설계에서 공간의 시각적 표현을 시도한 몇몇 조경설계가의 작품배경 또한 환경예술로 불리어지는 일련의 작품군과 작가의 주장에 많은 영향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작품이 조경분야에서 연구의 대상으로 활발하게 다루어지지 못한 것도 사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스미슨의 경관미학의 개념화를 그의 작품을 통해 살펴보았으며, 스미슨의 작품과 조경설계와의 연관성, 그리고 현대 조경설계에 미친 스미슨의 공헌등을 조명해 보았다. 스미슨의 초기작품들은 개발로 인한 환경 및 경관의 남용 혹은 황폐화에 대한 비평적인 관점을 예술적 형태로 묘사한 반면, 후기 작품들에서는 환경 및 경관에 대한 예술적인 조작에 긍정적인 가치를 부여하고자 한 것이었다. 스미슨의 작품이 현대 조경에 미친 가장 큰 공헌은 무엇보다도 경관 및 환경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수단으로서 예술을 활용했다는 것일 것이다. 환경예술가들의 주장과 그들의 작품이 현대 조경설계에 구체적으로 어떻게 형상화되었는지에 대한 연구는 앞으로 규명되어야 할 부분이라고 판단된다.

  • PDF

지역경관자원을 활용한 식물원 전시방식의 발전방안 (A plan for the development of botanic garden displays using local landscape resources)

  • 박은영
    • 농업과학연구
    • /
    • 제39권4호
    • /
    • pp.535-543
    • /
    • 2012
  • Botanic gardens are steadily increasing based on people's increased interests in environment and ecology, lengthened leisure hours and improved transportation. However, similar florae and undifferentiated display are considered as problems, while their functions, purposes and characteristics have been more diversified.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resent conditions and problems of display at botanic gardens and to find out solutions to make them exhibit plants through various ways of display and have their own characteristic, through a case study of seven botanic gardens. As botanic gardens are being recognized as a cultural institution, they should have limitations in the aspect of places that simply collect and exhibit rare plants. The current problems are unclear setting of design goals and communication with visitors. The gardens should escape from the existing supplier-oriented view to a visitor-oriented view, thinking about what the visitors will be able to see and get there. In particular, their display lacks differency, aesthetics, eye-level display, and multi-layered display. In addition to the essential functions of collecting the world's plants, exhibiting them according to purposes and giving scientific learning, botanic gardens should also show a sense of seasons with plants, trigger interests and amusement through unique plants, make visitors more interested in florae and closer to plants, and include social functions. Botanic gardens should be capable of leaning resources display, speciated display, complex and convergent garden-type display, and display fit for local and cultural contexts.

서거정의 '경주십이영(慶州十二詠)'의 의미와 폐허미학적 소통방식 (Landscape Meanings and Communication Methods Based on the Aesthetics of Ruins in the Poem 'Kyungjusipiyung' written by Seo Geojeong)

  • 노재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90-103
    • /
    • 2009
  • 팔경시 '경주십이영'을 통해 서거정은 고도 경주의 폐허화된 역사문화경관에 대한 감회를 적나라하게 표현하고 있다. '경주십이영'은 신라문화의 대표적 성지인 계림, 반월성, 나정, 오릉 그리고 장소성 깊은 승경인 금오산(남산), 포석정, 문천, 첨성대, 분황사, 영묘사, 김유신묘 등을 중심으로 거기에 깃든 신화와 설화는 물론 관련된 사건과 인물을 회고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기존 '팔경'과는 다른 폐허미학적 메타포가 강하게 전달되고 있다. '경주십이영'은 서거정의 팔경시 뿐만 아니라 그 이전의 팔경시와 비교할 때, 제영 구조와 형식은 물론 내용에 있어서도 차이를 보이는데, 특히 의미와 행위를 부각시킨 인문적 특성이 강하게 나타난다. '경주십이영'의 제영 순서를 추적할 때 2일 이상의 유람시간을 통해 2개 이상의 시각회랑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보이며, 봄철에 지어진 시임에도 불구하고 시 속에는 '자연의 아름다움과 생활의 풍류' 그리고 '번성과 풍요'는 배제되고 대부분 오래 되고, 부서져 허물어지고, 늙고, 슬프고 등의 아쉬움과 슬픔의 정조가 지배적이다. 서거정은 '경주십이영'을 통해 경주의 다양한 경승과 경물 등 가시 영역의 문명적 폐허 뿐만 아니라 신화와 전설 등 비가시 영역의 문화적 폐허를 반복, 병렬, 병치 그리고 대조의 수사학적 표현으로 회고와 영탄의 폐허미를 읊고 있다. 이는 서거정이 '경주'를 바라보는 사유방식이자 표현방식이며 기존 회고시의 전형적 특성으로 서거정이 '경주십이영'을 통해 표현하고자 한 폐허 경험은 무엇보다도 그것이 전하는 아우라, 즉 12가지 역사문화경관에 담긴 총체적 신라문화에 편재한 질에 대한 정성적 경험이었다는데 그 특징이 읽혀진다. 기문 등을 근거로 '고도 경주'에 대한 서거정의 긍정적 인식에도 불구하고 '경주십이영'에 담긴 신라와 경주의 이미지는 폐허로 점철되고 있다. 그러나 폐허가 소멸과 몰락의 길을 가리키는 비관주의적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그 폐허의 양상은 조선 전기의 문풍을 좌우했던 인물로서 조선 왕조를 통해 경주를 다시 상승 부흥시키고자 하는 의지를 포괄하는 양가적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서거정의 '경주십이영'에서 발견되는 풍경의 미학은 가장 은유적이면서도 문화적 상징성이 강한 것으로 폐허성을 반성적 경험의 가치로 전환하기 위한 역설적 폐허미학의 소통방식으로 전개되고 있다.

한국조경학회지 게재논문 환경심리분야의 연구경향 (Research Trends Concerning Environmental Psychology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이영경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57-169
    • /
    • 2004
  •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research trends concerning environmental psychology. The scope of review is limited to the papers that dealt with theoretical and case-directed investigation research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physical environments and human beings. The relationship has been investigated by diverse human reactions such as cognitive, emotional, analytical, behavioral, and comprehensive. 219 papers were reviewed in two steps. In the first step, the ratio of the papers in the field of environmental psychology to the total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from 1973 to 2004 was analyzed. Second, all the 219 papers were classified by such three criteria as the type of the paper(theoretical, review, case investigation), the methodology taken, and the main theme of the paper. The main findings from the review are summarized as follows; 1. Out of the 219 papers, the number of the theoretical papers was 4 (1.8%), whereas the number of the case investigation papers was 185 (84.5%). 2. Out of the 30 review papers, the main methodology used was simple introduction (15 papers, 50%) and the main theme was research methodology (36%), whereas analytic comparison was used only in 10 papers (33%) and theory review was only found in 6 papers (20%). 3. Out of the 185 case investigation papers, experimental method was found in 34 papers (18%), whereas 99 papers used correlational method (54%). Based on the findings, it was suggested that both theoretical and case-directed research should be performed in order to enhance the state of art in environmental psychology. Theoretical research as a framework to understand the empirical findings are as important as the case-investigation research peformed by scientific experimental method.

왕유의 자연미와 망천별업의 조경사적 의의 (The Meaning of Wangwei's Natural Beauty and His Garden, Wangchuan Villa)

  • 박희성;조정송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13
    • /
    • 2001
  • Beginning in the Wei-Chin and Liu Ch´ao era(AD. 220-589), an awareness of natural beauty emerged as the major interest of scholars which created such a social atmosphere that served as the foundation of prosperous Chinese art. During the T´ang period, the desire to achieve natural beauty began to dominate every field of art including gardening. This study covers the T´ang period when scholars began to be conscious of aesthetics.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natural beauty as interpreted by Wangwei, an artist representative of the period, and of Wangchuan Villa in relation to aspects of garden theory. This study is mainly based on Wangwei´s anthology, landscape painting describing Wangchuan Villa, and historical records related to the Villa. The summary of conclusion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Wangwei´s concept of natural beauty is a combination of objective natural beauty and pastoral beauty, which stresses the essential beauty of nature. Moreover, he considered nature as a religious Utopia. 2)Wangchuan Villa, where Wangwei stayed until his death, was a place of seclusion representing his idea of natural beauty. There, he was able to realize the paradise of Buddhism full of zen aspirations. 3)From the perspective of garden theory, Wangchuan Villa can be classified as a suburb villa in terms of location, as a landscape garden in terms of elements, and as a villa based on a typical private land system in terms of forms. In addition, it may be considered as a garden that laid the foundation to realize a field of non-visible image and non-visible landscape, which is fundamental element of scholarly garden design.

  • PDF

조경 설계에서 디지털 드로잉의 기능과 역할 (Functions and Roles of Digital Landscape Architectural Drawing)

  • 이명준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13
    • /
    • 2018
  • 이 연구는 지금까지 조경 드로잉에서 컴퓨터 테크놀로지가 어떠한 역할을 해왔는가를 검토하고, 근래의 디지털드로잉에서 발견되는 사실적 묘사 경향에 관한 쟁점을 진단한 후 대안적 방향을 모색한다. 조경 드로잉의 매체가 손에서 컴퓨터로 이행하는 시기에 드로잉 테크놀로지는 대체로 손 드로잉의 테크닉을 모방하는 기계 도구의 기능을 담당했다. GIS는 레이어 케이크의 절차를 보다 정확하게 효율적으로 처리했고, CAD는 물리 모형을 시공 도면으로 변환했으며, 그래픽 소프트웨어는 콜라주와 몽타주를 보다 쉽게 만들 수 있도록 도왔다. 근래에 디지털 조경 드로잉에는 경관의 외양을 회화와 같이 사실적으로 묘사하려는 경향이 짙다. 그래픽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사진 재료의 조립 흔적을 지워내 마치 실재 경관을 포착한 사진처럼 보이도록 제작되고 있다. 이러한 사진과 같은 이미지는 대중과의 의사소통에 수월하지만, 경관의 다감각적 특성을 온전하게 구현하기 힘들고, 좀처럼 현실에서 발생하기 힘든 경관의 가장 이상적인 순간을 묘사하여 수용자를 기만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하며, 자칫 최종 결과물처럼 여겨져 드로잉의 생산에만 집중하게 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한 대안적 방향으로, 경관의 기능 정보를 삼차원으로 모델링하고,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설계 전반 프로세스에서 설계 아이디어를 발전시키는데 활용하며, 서로 다른 드로잉 테크닉과 테크놀로지를 혼용하여 경관의 다양한 국면을 시각화하는 실험이 필요하다.

기억의 경관에서 미적 경험 (The Aesthetic Experience in the Landscape of Memory)

  • 손은신;배정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129-140
    • /
    • 2017
  • 본 연구는 포스트 인더스트리얼 공원이나 메모리얼 등 기존 모습을 유지한 채 근대적 기억을 담은 장소와 경관을 만드는 최근 조경 설계 경향에 대한 미학적 해석이다. 논의의 주요 대상은 방문자들이 공유할 수 있는 집단 기억을 간직한 대형 공원과 오픈스페이스다. 기억의 장소와 경관에서 일어나는 방문자의 미적 경험은 숭고, 노스탤지어, 멜랑콜리 등의 개념으로 설명될 수 있다. 이러한 미학적 개념이 강도 높은 트라우마 기억과 연관될 경우 방문자는 병적 상태에 다다를 위험이 있다. 그러나 '방문'을 통해 미적 경험이 이루어진다는 장소와 경관의 매체적 특성에 의해 방문자는 기억의 장소와의 거리를 자율적으로 조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기억의 장소에서 온전한 미적 경험을 할 수 있게 된다. 숭고, 노스탤지어, 멜랑콜리를 통한 미적 경험은 시간성의 발현과 비가역성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시간성이란 장소와 경관이 가진 기억과 시간의 특성을 의미하며, 기억의 장소와 경관에서 발현되는 시간성은 되돌릴 수 없는 시간의 비가역성에 기초한다. 이 때 방문자가 가진 기억과 배경지식은 장소 기억과 더불어 장소와 경관에서 미적 경험을 구축해 나가는 주요 요소이다. 본 연구는 기억의 장소와 경관을 설계하는 과정에서 장소 기억과 방문자의 기억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방문자의 기억에 소홀했던 물성 중심적 설계에 대한 비판적 시각 또한 본 연구의 또 다른 의의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