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Landing pier

Search Result 9,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Application of the Lateral Subgrade Reaction Modulus in Landing Pier (잔교식 안벽 해석시 수평지반반력계수의 적용)

  • Park, See-Boum;Kim, Ji-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Geotech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8.10a
    • /
    • pp.1707-1711
    • /
    • 2008
  • Landing pier is connect from onshore to offshore with bridge type that a coast structure. The sub-structure is consisted of vertical or batter pile and combined reinforced concrete slab. These days useful design method of quay wall of landing pier type for pile foundation analysis abide by approximate depth of pile supported method, "Harbor and port design criterion, 2005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The approximate depth of pile supported is calculated two kind of method that one is assume to below depth of 1/$\beta$ from assumed submarine surface and other is 1st fixpoint depth by Chang(1937)'s theory. By this paper, FEM dynamic analysis of 3-dimensions was achieved that it has compared pile fixed end modeling with elastic spring modeling base on winkler theory.

  • PDF

A Study on the Safety Evaluation of the Landing Pier Structure Using FBG Sensor (FBG 센서를 이용한 잔교식 안벽 구조물의 안전성 평가에 대한 연구)

  • Lee, Heung-Su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23 no.2
    • /
    • pp.44-50
    • /
    • 2019
  • The underwater structures of landing pier are not easy to access and it is difficult to check the damage. Lately, typhoons and earthquakes have occurred frequently, which may cause damage to underwater structures of landing pier. In this study, to prevent collapse of underwater structures and to maintain systematically, the application method of FBG sensors and safety evaluation methods were studied. In order to confirm the application of the FBG sensor to the circular steel pipe used as a pile on the landing pier, we conducted laboratory tests and confirmed that the FBG sensor should be applied by welding. As a result of structural analysis of the landing pier structure, the optimal position of FBG sensor confirmed. The stresses on the dead load were calculated by structural analysis, the stresses on the live load were calculated by using the data obtained from the FBG sensor, and then the stress acting on the pile was calculated by adding the two stresses. The calculated stress was compared with the allowable stress to evaluate the safety of the pile. This study was carried out as a basic study to find a way to evaluate the safety of the landing pier in real time.

Design of Pull Box Members on the Landing Pier Using Finite Element Analysis of a Steel Plate (강재 플레이트 유한요소해석을 이용한 잔교 상부의 풀 박스 부재의 선정)

  • Kim, Sungwon;Hong, Hyemin;Han, Taek Hee;Seo, Seung Nam
    • Journal of Coastal Disaster Prevention
    • /
    • v.4 no.3
    • /
    • pp.111-118
    • /
    • 2017
  • In this study, pull box members were designed by finite element analysis of a steel plate covering a pull box to secure its safety on the landing pier dedicated to the large research survey ship. It was assumed that the maximum load is due to the 250 tonf class crane used for unloading work when the working environment in the upper part of the landing pier was considered. The safety of the pull box was evaluated by the comparison between the yield strength of the steel plate and the result of stress analysis on the steel plate due to the crane load. It was found that the stress at the plate from the crane load exceeded the yield strength of the steel(205MPa) when the upper part of the pull box was protected by a $1950{\times}1950mm$ steel plate cover.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a concrete filled steel tube(CFT) column with a diameter of 150 mm and a steel thickness of 10 mm was reinforced at the center of the plate, and the finite element analysis was carried out. However, the maximum stress at the steel plate was higher than the yield strength of the steel in some load cases so that it was tried to find appropriate thickness of the steel plate and diameter of the CFT columns. Finally,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safety of the pull box was secured when the thickness of the steel plate and the diameter of the CFT column were increased to 30mm and 180mm, respectively.

Lateral Movement of Quaywall on Soft Grounds (연약지반에 설치된 안벽구조물의 측방이동 평가)

  • Hong, Won-Pyo;Lee, Kwang-Wu;Cho, Sam-Deok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24 no.11
    • /
    • pp.5-16
    • /
    • 2008
  • Field monitoring data of nine sites were investigated to suggest an evaluation method on lateral movement of the quaywall on soft grounds. It was found that in order to evaluate the lateral movement of quaywalls with foundation piles such as the landing pier, the safety factor of slope should be applied with consideration of the stabilizing effect of the piles. If the required safety factor of slope is greater than 1.6 in slope stability analysis with consideration of the stabilizing effect of the piles, the quaywalls are considered to be safe against lateral movement. On the other hand, for the gravity-type quaywalls such as the caisson type quaywall, the required safety factor of slope should be greater than 1.3.

Evaluation of Seismic Performance for Various Types of Pile Head of Landing Pier (잔교식 안벽에서 말뚝 두부형식에 따른 내진성능 평가)

  • Jang In-Sung;Kwon O-Soon;Park Woo-Sun;Jeong Weon-Mu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17 no.2
    • /
    • pp.70-79
    • /
    • 2005
  • Most of landing piers in Korea employ the combination of vertical piles and batter piles, which shows good efficiency in static lateral resistance but poor seismic performance. Many attempts have continuously been made to increase the seismic performance of batter piles with various aseismatic systems. In this study, new types of aseismatic system were developed by use of rubber and ball bearing, and shaking table tests and 3 dim. numerical analyses were performed in order to compare the seismic performance for various types of pile head. The test and numerical analysis results show the high seismic performance of newly proposed systems and the applicability off dim. numerical analysis considering the non-linear behaviour of rubber and ball bearing systems.

Seismic Performance of Landing Pier with Batter Pile (경사말뚝이 있는 잔교식 안벽의 내진 성능 평가)

  • 권오순;장인성;박우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2002.08a
    • /
    • pp.92-99
    • /
    • 2002
  • 1995년 일본 고베지진 이후 우리나라에서도 지진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재 국내 여러 기간시설에 대한 내진안전성 평가와 내진설계가 실시되고 있다. 국내 기존 항만시설에 대해서도 내진 안정성 평가가 수행되고 있으며 현재계획ㆍ시공되고 있는 항만에서도 내진설계가 반영되고 있다. 중요한 항만시설물 중 하나인 잔교식 안벽은 연직말뚝과 경사말쪽을 조합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최근 내진설계에서 경사말뚝이 지진과 같은 동적 하중에 취약하다는 이유로 사용에 제한을 받고 있다. (중략)

  • PDF

The Experimental Study of Distribution Life-Force Impact on Piles and Landing Pier (잔교식 안벽의 상부와 Pile에 작용하는 파압분포에 관한 실험적 연구)

  • Park, Sang-Kil;Kim, Ki-Hyun;Kim, Woo-Seang;Park, Byung-Yul;Kang, Deok-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552-556
    • /
    • 2006
  • 항만건설에 있어서 항만의 내부시설 중에서 무엇보다도 가장 중요한 시설물은 선박을 안전하게 접안시켜 하역할 수 있는 안벽시설물이다. 안벽구조 형식의 결정은 항만의 이용목적 등에 따라서 달라지지만 항만의 건설입지조건 등에 의해서도 달라진다. 안벽구조형식 중에서 잔교 식 안벽은 무엇보다도 단기간에 건설이 용이하여 지금까지 각국에서 널리 사용되어 왔고 장래에도 이용도가 증가되리라 생각한다. 최근에는 해안선을 이용한 위락시설이 건설되면서 잔교 식 안벽구조물을 설치하여 보조시설물로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과거에 설계되어 잔교를 설계할 경우는 일반적으로 항내의 정온이 잘 유지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치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파랑에 의한 반사율과 잔교 상부에 작용하는 양압력을 고려해야할 필요성이 거의 없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태풍이 내습할 경우 기존의 항내로 높은 파랑이 침입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어 항내에서도 잔교의 파괴로 인한 자연재해가 대형화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또, 처음부터 안벽을 설계할 때에 대형화의 잔교 식 안벽구조물을 설치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잔교 식 안벽 구조물을 잔교의 상부 판에 작용하는 양압력 분포와 잔교 전면의 반사율 등이 구조물의 유지관리 등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기 때문에 반사율 검토와 양압력을 고려한 설계가 필요하다. 본연구의 대상은 일정 해역에 잔교 식 안벽을 설계하고자 할때 최적의 안벽 설계가 될 수 있도록 수리모형실험을 실시하여 구조물의 안전과 항내정온에 기초가 되는 자료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수리모형실험으로 인한 연구는 잔교 식 안벽에 대한 반사율과 상부에 작용하는 양압력, 잔교말뚝(pile)에 작용하는 수평압력을 검토하여 잔교 식 안벽 설계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혈청을 이용한 동결보존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지에 더해주면 세포의 증식이 개선될 것이다. 그래서 몇 가지 첨가물을 이용해 세포의 증식력에 변화가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첨가물을 이용한 실험에서 IGF-I의 경우 장기간 배양에서 세포의 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계대 횟수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이는 IGF-I이 어느정도 세포의 증식을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무혈청 배지에서 비적응 CHO 세포의 계대 배양에 한계가 있는 것은 세포주기가 멈추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세포주기가 멈추는 growth factor와 같이 세포의 증식을 지속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물질이 무혈청 배지에서는 부족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되고, IGF-I과 같은 첨가물을 통해 극복할 수 있는 문제라고 여겨진다.관점과 주거교육가치관 요소와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전통적 관점은 주거교육가치관 요소 중 오직 주거관리적 요소와 관계가 있었으나 그 정도는 낮으며 실천적 관점과 구조적 관점은 주거가치관의 각 요소에 따라 약간 다르기는 했으나 주로 보통의 관계를 보였다.군 순으로 높게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임상에서 니켈-티타늄 합금 와이어에 굴곡을 부여하기 위해 열처리하는 경우 초탄성 특성은 유지될 수 있으나, 부하-변위 곡선의 상방 증가가 나타나므로, 와이어에 의한 교정력이 증가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day^{-1}$인 인공습지), scenario 2(면적 4.2ha인 저류지)가 각각 연평균 6.9%, 4.8%, 7.1%의 감소를 보였다. TN은 4.7%, 3.4%, 13.4%의 삭감율을 나타내었으며, TP는 5.6%, 3.9%, 7.3%의 삭감율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