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dfill gas

검색결과 237건 처리시간 0.021초

녹색 건설 사업의 FiT 및 CDM 보조방안에 의한 수익성 향상 분석에 관한 연구 (Evaluating the Economic Feasibility of Green Construction Projects using FiT and CDM Support Mechanisms)

  • 구본상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123-133
    • /
    • 2013
  • 지구온난화 문제에 대한 대책으로 녹색 사업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높아지고 있다. 국내 건설 기업들도 기존 토목 및 건축 공종에서 신재생에너지 사업으로 영역을 확대해 나가고자 한다. 그러나 신재생에너지 사업은 투자경제성이 검증되지 않고 건설 기업들은 관련 리스크에 대해 명확히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녹색 건설 사업의 일환으로 국내에서 수행되고 청정개발체제(CDM)사업으로 등록된 신재생에너지 사업의 투자경제성에 관한 단계별 분석을 수행하였다. 1단계에서는 UNFCCC에 등록된 국내 CDM 사업을 대상으로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평균 IRR은 -3.19%로 사업들의 수익성이 저조한 것을 파악하였다. 2단계에서는 사업별(태양광, 풍력, 수력, 매립가스)로 IRR이 가장 낮은 사업을 선정하여 국내의 발전차액지원제도(FiT)와 탄소배출권(CER)판매를 통한 추가 수입을 적용하여 수익성 향상 여부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투자경제성이 있는 사업은 매립 가스 및 풍력 사업이었으며 두 보조방안에도 불구하고 태양광 및 수력 사업은 수익성이 없었다. 또한 사업별로 보조방안의 비중이 상이한 것을 볼 수 있었는데 특히 FiT는 태양광, CER판매는 매립가스 사업이 가장 혜택을 보았다. 이에 비해 풍력 및 수력 사업은 보조방안으로 인한 추가 수입이 적은 것을 파악하였다. 4개의 대상 사업 중 매립가스의 IRR이 가장 개선되었으나 풍력사업이 NPV가 가장 높고 보조방안에 대한 의존도가 낮아 투자매력도가 좋은 사업으로 드러났다. 건설 기업들은 신재생에너지 관련 기술이 성숙하면서 경쟁력이 높아짐에 따라 장기적 관점에서 관련 사업에 투자와 경험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폐기물 에너지화가 수도권매립지 매립가스 발생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aste Energy Recovery on SUDOKWON Landfill Gas Generation)

  • 천승규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2권10호
    • /
    • pp.942-948
    • /
    • 2010
  • 폐기물을 활용한 고형연료생산 등 에너지화가 매립가스 발생량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기 위하여 2017년부터 2024년까지 수도권매립지 제3매립장을 대상으로 반입폐기물의 에너지화 방법별 $CH_4$ 발생량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수도권매립지 제3매립장으로 반입되는 폐기물을 종래와 같이 전량 매립하는 경우 2017년부터 2024년 사이에 예상되는 $CH_4$ 발생량은 생활계 폐기물 $337{\times}10^6\;Nm^3$, 건설폐기물 $178{\times}10^6\;Nm^3$, 배출시설계 폐기물 $11{\times}10^6\;Nm^3$ 등 총 $527{\times}10^6\;Nm^3$으로 예상되었다. 이는 2002년부터 2009년까지 같은 기간 동안 제2매립장에서 발생된 $CH_4$ 발생량의 41.5% 수준이었다. 또한, 생활계 폐기물과 건설폐기물을 MT (Mechanical Treatment)방식으로 고형연료를 생산한 뒤 그 잔재물을 모두 매립할 경우 $CH_4$ 발생량은 생활계 폐기물 $127{\times}10^6\;Nm^3$, 건설폐기물 $28{\times}10^6\;Nm^3$, 배출시설계 폐기물 $4{\times}10^6\;Nm^3$ 등 총 $158{\times}10^6\;Nm^3$로 예상되었다. 한편, 생활계 폐기물을 MT방식으로 처리 후 발생되는 유기성 혼합잔재물을 생물학적으로 처리하여 자원화하는 MBT (Mechanical & Biological Treatment)방식을 도입할 경우 같은 기간 중 총 $CH_4$ 발생량은 $115{\times}10^6\;Nm^3$로 예상되었다. 이는 단순 매립방식의 21.8% 수준이었으며 2002년부터 2009년 사이의 발생량과 비교하면 9.1%에 불과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폐기물 에너지화에 의해 매립지에서의 $CH_4$ 발생량이 큰 영향을 받게 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매립가스를 활용한 에너지사업 계획시 합리적 규모설정과, 소량발생 매립가스의 에너지화 기술에 대한 연구와 투자 등 사전대비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대구 방천리 위생 매립장 매립가스 예측 발생량과 실포집량과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Estimated LFG Emission Rate and Actual LFG Extraction Rate for Daegu Bangcheon-ri Landfill Site)

  • 이석형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21-724
    • /
    • 2007
  • Estimating of LFG emission rate has been well established. But, relatively short history of LFG extraction in Korea, the data and the formular have not been well compared and analyzed. Here, even though the operation period of extraction for Daegu Bangcheon-ri is short, the relevant correlation between estimated and the actual has been tried to find. Hopefully, this will be a guideline for the future LFG forecasting.

  • PDF

세계의 폐기물처리기술 동향과 DAEWOO-TS 열분해 가스화 용융기술 (The Worldwide Trend of waste Treatment Technology and DAEWOO-TS Gasification & Melting System)

  • 허일상;김우봉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16권2호
    • /
    • pp.103-114
    • /
    • 2001
  • Worldwide trend of waste treatment technology is rapidly transferring from "incineration system" to "gasification & melting system" which can derive the resources from waste and charge no more environmental burden to nature. And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our country to adopt gasification & melting system urgently to present the land pollution and lack of landfill area. Among several gasification and melting processes Daewoo-Thermoselect gasification and melting system is the representative process which can transfer waste to resources such as sin-gas, molten slag, metal hydroxide, mixed salt and sulfur through the process of compaction, degasification, gasification and melting.

  • PDF

LandGEM과 현장 실측에 의한 쓰레기매립장에서의 온실 가스 배출 특성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 in Landfill Sites by LandGEM and Flux Measurement)

  • 전의찬;서성은;사재환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199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26-427
    • /
    • 1999
  • 최근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온실가tm 총 배출량은 1990년을 기준으로 이산화탄소 6,927만 8천톤, 메탄 135만 2천톤, 아산화질소 1만 2천톤으로 추정되고 있다. 최근 증가 추세가 비교적 큰 것으로 알려진 메탄의 경우, 농업 분야와 폐기물매립 분야의 배출량이 전체 배출량의 80%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농업 분야의 산업 활동이 감소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므로, 폐기물 매립에 의한 메탄의 배출량은 그 비중이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중략)

  • PDF

폐기물 열분해 가스화용융 기술 (The Gasification & Melting Treatment Technology of Waste)

  • 허일상
    • 유체기계공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유체기계공업학회 2005년도 연구개발 발표회 논문집
    • /
    • pp.133-138
    • /
    • 2005
  • The worldwide trend of waste treatment technology is rapidly transferring from "incineration system" to "gasification & melting system" which can derive the resources from waste and charge no more environmental burden to nature. An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dopt gasification & melting system to prevent the land pollution and to solve the problem of landfill area. Among several thermal waste treatment processes gasification and melting system is the representative process which can transfer waste to resources such as syn-gas, molten slag, metal hydroxide, mixed salt and sulfur through the process of compaction, pyrolysis, gasification and melting.

  • PDF

폐기물 매립지 내에서의 침출수 거동(I)- 현장조사를 통한 수리지반 특성 - (Leachate Behavior within the Domestic Seashore Landfill(I)- Hydrogeologic Property Identification through In-situ Tests -)

  • 장연수;조용주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5권6호
    • /
    • pp.99-109
    • /
    • 1999
  • 국내 일반폐기물 매립지의 경우 함수비가 높은 쓰레기의 특성으로 인하여 매립지 내부에 누적수위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고 따라서 매립된 복토재와 쓰레기의 수리특성의 파악은 매우 중요하다. 폐기물 매립지의 설계시공 과정에서 매립지 하부차수재와 주변지반의 수리특성에 대해서는 많은 지반조사와 연구가 되어있으나 매립지내부 쓰레기와 복토재의 수리적특성 및 흐름거동에 대한 조사 및 해석은 국내외적으로 되어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대표적 폐기물 매립지에 대한 현장 지반조사로부터 쓰레기와 복토재의 지반공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양수시험(pumping test)과 순간충격시험(slug test)을 이용하여 매립된 쓰레기와 복토재의 수리특성을 파악하였다. 현장지반조사 결과 매립된 쓰레기의 다짐정도는 실내시험의 최대 단위중량 값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쓰레기에 의하여 덮여진 중간 저투수성 복토재는 침출수와 가스의 수직 흐름을 방해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현장 양수시험과 순간충격시험의 투수계수는 상호간에 잘 일치하고 문헌에서 나타난 잘 다져진 쓰레기의 투수계수 범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Species Alterations Caused by Nitrogen and Carbon Addition in Nutrient-deficient Municipal Waste Landfills

  • Kim, Kee-Dae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0권2호
    • /
    • pp.161-170
    • /
    • 2007
  • The ultimate target of restoring waste landfills is revegetation. The most effective method for increasing species richness and biomass in nutrient limited waste landfills is the use of fertilizer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itrogen fertilizer, and the addition of carbon through sawdust, sucrose and litter, on vegetation dynamics at a representative municipal waste landfill in South Korea: Kyongseodong. A total of 288 permanent plots $(0.25m^2)$ were established and treated with nitrogen fertilizer (5, 10 and $20Ng/m^2$), sawdust $(289g/m^2)$ sucrose $(222g/m^2)$ and litter $(222g/m^2)$. The aboveground biomass was significantly enhanced by nitrogen fertilizer at 5 and $10Ng/m^2$, compared with the control plots. The total cover of all plant species increased significantly on plots treated with 5 and $20Ng/m^2$, as well as on those treated with sawdust and sucrose, compared with the control plots. The higher species richness after nitrogen fertilization of 10 to $20Ng/m^2$, and the sawdust and sucrose treatment demonstrated that this was an appropriate restoration option for nutrient deficient waste landfills. This study demonstrated positive nutrient impacts on plant biomass and species richness, despite the fact that municipal waste landfills are ecosystems that are highly disturbed by anthropogenic and internal factors (landfill gas and leachate). Adequate N and C combined treatments will accelerate species succession (higher species richness and perennial increase) for restoration of waste landfills.

매립지의 도시폐기물 조기안정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arlier Stabilization for the Landfill of Municipal Refuse)

  • 정연규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221-232
    • /
    • 1993
  • 본 연구는 도시폐기물을 매립지에서 발생하는 침출오수를 실험실에서 유기질 도시폐기물을 충진한 모형매립반응조를 이용하여 각기 다른 체류시간에 따른 침출오수 순환방식과 비순환방식으로 운영했을 때의 안정화에 소요되는 기간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pH 조정(중성)에 의한 침출오수 재순환은 매립지내의 혐기성균을 급속하게 증대시켜 유기물의 생물학적 분해를 가속화시키고 안정화기간을 단축시켰다. 침출오수의 BOD와 COD의 경우 초기에는 COD=BOD 였으나, 매립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COD>BOD, $COD{\gg}BOD$ 의 추세를 보였다. 가스발생량은 침출오수 비순환반응조보다 재순환반응조에서 더욱 많이 발생하였고 체류시간이 짧을수록 가스발생량이 증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