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dfill facility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22초

생활폐기물 자원화시설의 편익분석 -강원도 중심으로- (Cost-Benefit Analysis by Resource Recovery Facility for Municipal Waste -Focus on Gangwon Province-)

  • 한영한;이해승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2833-284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자원화 가능한 폐기물의 양이 분석되었으며, 폐기물 자원화시설을 단독 또는 광역시설로 추진할 경우의 설치비 및 운영비를 산정하고, 매립비용과 비교, 분석함으로서 자원화시설의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자원화시설로는 고형연료화(RDF) 시설과 자원회수시설(소각)에 대한 검토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강원도 각 시 군별 생활폐기물의 발생량과 가연성 폐기물의 비율을 고려하여 비용분석을 위한 광역권역을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 단독시설의 경우에는 RDF 및 자원회수시설(소각) 모두 매립방식에 비교하여 경제적 편익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역 시설의 경우, RDF 방식은 매립방식에 비해 많은 비용을 절감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자소각 방식은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편익과는 별개로 화석 연료의 고갈, 지구온난화, 환경적 위해성, 그리고 사회적 갈등 등을 고려할 때 폐기물의 자원화는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특히, 향후 CDM 사업이 활성화될 경우 CERs(온실가스 저감인증)에 의한 추가적인 경제적 부가가치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RDF 시설에 의한 CERs는 약 2,565억원, 자원회수시설에 의한 CERs는 약 540억원(단독시설) 및 774억원(광역시설)으로 분석되었다.

침출수 성분에 따른 난지도 매립지의 안정화 평가 (Evaluation of Nanjido Landfill Site Stabilization by Leachate Component)

  • 이제승;서미연;김현국;이승주;김광진;신정식
    • 환경위생공학
    • /
    • 제19권3호
    • /
    • pp.13-21
    • /
    • 2004
  •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evaluation of Nanjido landfill site by leachate analysis. Several parameters, for example pH, BOD, $COD_{Mn},\;COD_{Cr}$, SS, TP, $NH_3-N$, Color, were selected as major leachate quality parameters. $BOD/COD_{Cr}$. was used to estimate the biodegradable portion in organic matter. Samples were collected at the leachate storage wells and leachate treatment facility inflow in each quarter of 2003.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Inflow quality of treatment plant in 2003 was analysed as $pH\;7.3\~8.0,\;BOD\;12.4\~30.0mg/L,\;COD_{Mn}\;101.2\~130.3mg/L,\;COD_{Cr}\;122.5\~238.0mg/L,\;SS\;16.1\~115.3mg/L$, $T-P\;0.27\~0.80mg/L,\;NH_3-N\;208.0\~~354.0mg/L$, Color $110.3\~129.0$ unit. 2. $BOD/COD_{Cr}$ of inflow ranged between $0.07\~0.16$ indicating that the landfill had the properties of old-fill and organic portion in leachate was mostly persistent organic matter. 3. Though concentrations of BOD, COD, $NH_3-N$, Color in leachate storage wells were mostly higher in first landfill than in second landfill, $BOD/COD_{Cr}$ ranging from 0.03 to 0.20, showed reversely. 4. Correlation coefficient$(R^2)$ between color and other parameters related to organic matter showed mostly above 0.7 and especially highest value with $COD_{Mn}$ of 0.7985.

장비하중을 받는 매립지 사면 차수 시스템 설계를 위한 유전자 알고리즘의 적용 (Application of Genetic Algorithm for Designing Tapered Landfill Lining System Subjected to Equipment Loadings)

  • 박현일;이승래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6호
    • /
    • pp.99-106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장비하중이 고려된 폐기물 매립지 라이닝 시스템의 단면 설계를 위하여 제안된 개별요소법에 근거한 안정해석 기법과 실수형 유전자 알고리즘이 적용된 새로운 최적화 설계기법이 제안되었다. 개별요소법에 근거하여 제안된 해석기법을 장비하중이 적용된 폐기물 매립지의 라이닝 시스템 해석에 적용함으로써, 라이닝 시스템의 구성요소 중의 하나인 덮개 흙의 단면 변화에 따른 영향이 검토되었다. 또한 폐기물 매립 용량을 최대화할 수 있는 매립지라이닝 사면 형상을 결정하기 위하여, 실수형 유전자 알고리즘에 근거한 최적화 과정을 통한 최적설계 예제해석이 수행되었다.

매립지 침출수가 수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난지도 매립지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act of Landfill Leachate on the Water Environment - A case study of Nanji landfill -)

  • 박석순;박재우;정미훈;이지미;조경숙;이승묵
    • 환경영향평가
    • /
    • 제8권2호
    • /
    • pp.9-20
    • /
    • 1999
  • Until 1993, Nanji landfill has been the main solid waste treatment facility for Seoul, which is the capital of Korea. Since the landfill has not been properly lined, soil and ground water around the landfill has been contaminated. Due to the proximity, it has been speculated that the water quality of the Han River would have been also influenced by the leachate. In order to illuminate this, HELP model to estimate the quantity of the leachate from Nanji landfill and RMA model to simulate the change of water quality in Han River were applied in this research.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quantity of leachate from Nanji landfill has been overestimated by previous works and it was due to the failure to consider the water storage capacity of the landfill. The effect from Nanji landfill leachate on the water quality, in terms of COD input, proves to be smaller than those from other tributaries and influents to the River and the effect is larger when the flow of the River is reversed due to the tide.

  • PDF

단순 매립지내의 매립가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andfill Gases in Old Open Dumping Landfill Site)

  • 연익준;주소영;윤철;이명선;김광렬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권1호
    • /
    • pp.13-18
    • /
    • 2000
  • 이 연구는 중소도시 외각에 위치한 오래된 단순매립지의 매립가스를 분석하여 이 매립지를 주거 및 상업, 기타 부지로써의 재이용시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매립가스의 분석결과 $CO_2$와 메탄의 농도는 각각 평균 8.28%와 1,247ppm으로 매우 낮은 값을 나타내어 매립 폐기물중 유기물질들의 분해가 완료단계에 있음을 알 수 있으며 $NH_3$$H_2S$ 농도는 모두 TLV-TWA 기준치를 각각 약 7배와 12배나 초과하였으나 $CH_4$외 42종의 성분 분석 결과 모두 미량으로 ACGIH 유해도 기준치보다 훨씬 낮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이 같은 연구 결과 본 폐기물 매립지는 안정화 단계에 있어 매립가스의 발생량은 앞으로 현저하게 감소될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토지를 재이용하려면 현재 발생되고 있는 매립가스중 $NH_3$$H_2S$에 대하여 적절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

소각장에 대한 시민의식 조사분석 (Analysis of Citizen's Attitude to the Incineration)

  • 김중기;박창희;정재춘;이성택;허석
    • 유기물자원화
    • /
    • 제4권2호
    • /
    • pp.87-95
    • /
    • 1996
  • 소각장에 대한 주민위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민들이 가장 싫어하는 시설은 시체 화장시설, 쓰레기 적환장, 화학공장, 쓰레기 소각장, 위생매립지의 순이었다. 주거지역과 소각장까지의 최소 이격거리를 묻는 질문에는 1km 이상이 가장 많았고, 2km 이상이 그 다음이었다. 쓰레기 처리를 위해 앞으로 더 많이 필요한 시설에는 퇴비화 시설, 위생매립지, 소각장의 순으로 응답하였다. 완벽한 소각시설이 부득이 집 근처에 설치될때의 수용여부를 묻는 질문에서는 허용하겠다는 응답이 과반수를 넘었으며, 37.6%가 수용불가에 응답하였다. 쓰레기 소각장 후보지 선정과 같은 사업 추진시 행정기관의 강압적인 조치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동감한다는 대답이 과반수를 넘었다. 주민들은 광역소각장 보다도 1시 군 1소각장에 더 높은 선호도를 보였고 지역이기주의의 극복방안을 묻는 질문에는 완벽한 기술을 가장 많이 꼽았으며, 그 다음이 행정의 민주화 공개화였다.

  • PDF

퇴비화 시설과 매립장에서 배양 가능한 공기중 미생물의 분포 및 특성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Culturable Airborne Microorganisms in Composting Facility and Landfill)

  • 이보라;차민주;정춘수;김종설
    • 미생물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8-15
    • /
    • 2012
  • 퇴비화 시설과 매립장에서 발생하는 bioaerosol은 작업자 및 주민에게 건강상 위해의 요인이 될 수 있다. 이들 시설에서 공기 중 세균과 진균의 농도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울산시에 위치한 퇴비화 시설과 매립장에서 계절별로 bioaerosol 시료를 포집하였다. 공기중 세균의 농도는 퇴비화 시설에서 평균 $6.5{\times}10^3\;(1.5{\times}10^2-1.5{\times}10^4)\;MPN/m^3$, 퇴비화 시설 출입구에서 평균 $3.9{\times}10^3\;(6.0{\times}10^1-9.3{\times}10^3)\;MPN/m^3$이었는데, 이는 대조군 지점보다 각각 460배와 280배 더 높은 수준이었다. 대장균군 세균은 퇴비화 시설과 출입구에서 모두 검출되었다. 매립장에서 공기중 세균 농도는 평균 $4.9{\times}10^2\;(1.7{\times}10^2-1.0{\times}10^3)\;MPN/m^3$이었고, 퇴비화 시설과 매립장에서 100 m 정도 떨어진 매립장 주차장에서는 평균 $3.7{\times}10^2\;(4.8{\times}10^1-1.3{\times}10^3)\;MPN/m^3$이었으며, 이는 대조군 지점에 비해 각각 35배와 26배 더 높은 수준이었다. 공기중 세균을 분리하여 잠정적으로 동정한 결과 퇴비화 시설에서는 Pseudomonas luteola, 대조군 지점에서는 Micrococcus sp.가 우점하였다. 채취 지점별 공기중 진균의 농도는 평균 $4.8{\times}10^2-7.9{\times}10^2\;MPN/m^3$이었으며, 대조군 지점에 비해 2.1-3.4배 더 높은 수준이었다. 공기중 진균의 경우 Cladosporium, Alternaria, Penicillium의 3속은 모든 지점에서 검출되었으며, Aspergillus 속은 퇴비화 시설의 bioaerosol에서만 확인되었다.

소규모 단순매립지의 매립폐기물 및 침출수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Landfill Waste and Leachate on Open Dumping Landfill Site of Small Scale)

  • 주소영;연익준;전태완;위미경;김광렬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권1호
    • /
    • pp.79-85
    • /
    • 2000
  • 이 연구는 지방의 중소도시에 위치한 소규모 단순매립지내의 매립폐기물과 침출수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안정성을 평가함으로써 매립부지를 주거지역, 상업지역, 기타 다른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함이다. 단순투기형으로 매립된 매립층의 깊이는 5.5~8m 정도이었고, 복토 두께는 20~50cm 정도이었다. 매립지의 침출수의 pH는 7.2~7.6이었고, SS, COD, T-N 및 T-P값은 각각 평균 47726, 6193.8, 595.97, 123.9mg/L로 높은 값을 보였으나 BOD/COD비가 0.079로 침출수가 안정화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폐기물의 용출분석결과 COD, BOD 모두 낮은 값을 보였으며 T-N, T-P 각각 7.77, 0.20mg/L의 값을 나타내었고 침출수와 비교하여 모두 현저히 낮은 결과를 보임으로써 폐기물중 생분해성 유기물의 분해가 역시 완료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 대상 폐기물 매립지는 안정화 단계에 있어 침출수의 발생량은 앞으로 현저하게 감소될 것으로 예측됨으로써, 매립지내로 유입 가능성이 크게 의심되는 지하수의 차단에 의한 침출수 방지 대책 등이 보강될 경우에는 토지의 재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국내 극저준위방폐물 처분시설 인수기준 마련을 위한 미국 처분시설의 인수기준 분석 (Review of Waste Acceptance Criteria in USA for Establishing Very Low Level Radioactive Waste Acceptance Criteria in the 3rd Step Landfill Disposal Site)

  • 박기현;정세원;이운장;이경호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91-102
    • /
    • 2020
  • 국내 3단계 매립형 처분시설은 2018년도 한국원자력환경공단의 중·저준위 방폐물관리시행계획에 의하면 주로 원전 해체 현장에서 발생하는 극저준위방폐물을 수용하기 위해 2019년 4월부터 2026년 2월까지 총 104,000드럼(2개 트렌치)을 수용하기 위해 건설이 계획 중이다(총 2,246억원 투입). 이후 총 5개 트렌치에 260,000드럼이 총 34,076 ㎡의 면적에 단계적으로 수용되며 따라서 현재 한국원자력환경공단은 관련 인수기준을 마련 중에 있다. 극저준위방폐물 처분시설 인수기준의 경우 프랑스, 스페인 등이 전용 처분시설을 운영하면서 자국의 인수기준을 합리적으로 잘 준용하고 있으나 본 논문에서는 해체방폐물의 처분에 가장 경험이 많은 미국의 처분시설을 고려하여 국내 매립형 처분시설에 우선적으로 반영되어야 할 사항이 있는지 분석하였고 이를 통하여 경주내 3단계 매립형 처분시설의 인수기준 마련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수치표고모형을 이용한 난지도 쓰레기 매립장의 이용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tilization Plan of Nangido Landfill Using Digital Elevation Model)

  • 이재기;조재호;이현직;이인성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9-27
    • /
    • 1993
  • 대규모 쓰레기 매립장의 신설계획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기존 매립장의 이용상태에 대한 정확한 현황분석을 통해 이용계획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현 매립장의 쓰레기 매립양과 도시 경관 및 제반조건에 부합되는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현 매립상태에 대한 정확한 분석이 수반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항공사진촬영에 의해 구축된 수치표고모형을 이용하여 현 쓰레기 매립상태 및 매립양의 정확한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지형분류에 따른 최고 자료보관방법과 면·체적결정방법을 결정함으로써, 현재 쓰레기 매립장의 장래 이용계획에 정확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수행결과 대상지역의 지형분류를 객관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정립하였으며, 표본자료에 대해 각 지형의 최적보관법과 면· 체적결정방법을 결정하였다. 또한 이와 같이 얻어진 결과를 난지도 쓰레기 매립장에 적용함으로써 매립현황 및 매립가능량을 분석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