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d use status

검색결과 245건 처리시간 0.026초

시계열 자료를 활용한 야산의 토지이용 변화 분석 (Analysis of Changes in Land Use of Hills Using Time Series Data)

  • 박종철;김만규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02-118
    • /
    • 2010
  • 야산은 평지와 산지의 점이적인 지역이기 때문에 언제나 개발의 압력을 받고 있는 지역이다. 과거 야산은 산지에 비해 개발이 용이한 지역으로 인식되어 왔지만 이제는 산림 자원으로 인식하고 보전할 필요성도 있다. 현재 개간 현황 및 변화 과정에 대한 연구는 사례를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계열 자료를 활용하여 야산의 토지이용 변화를 정량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15년, 1972년, 2002년, 2006년의 토지이용도를 작성하고 지리정보체계를 기반으로 공간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지역은 충청남도 당진군 면천면, 순성면, 합덕읍과 예산군 봉산면, 고덕면 경계 지역이며 야산의 총 면적은 3,034ha이다. 연구지역 야산의 산림 면적은 1915년~2006년 동안 50% 감소하였다. 2002년 이후 4년 사이의 산림 감소 면적은 그 이전 30년의 감소량과 비슷하다. 연구지역 야산의 산림감소는 논, 밭, 인공구조물, 나지 등 개간지의 증가로 이어졌다. 1915년부터 1980년대 말까지의 야산 개간은 1차 산업과 관련이 있으며, 그 이후의 야산 개간은 농공단지개발 등 2차 산업과 관련이 있다.

Remediation of Contaminated Groundwater: Change of Paradigm for Sustainable Use

  • Lee, Jin-Yong;Lee, Kang-Kun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8권6호
    • /
    • pp.1-7
    • /
    • 2013
  • Groundwater development and use have been increasing in Korea causing frequent occurrences of related hazards such as groundwater level decline, land subsidence, and groundwater contamination. To tackle these groundwater problems,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have set-up and maintained many groundwater monitoring programs such as the National Groundwater Monitoring Network and the Groundwater Quality Monitoring Network, which collect very valuable data on the overall status of domestic groundwater to aid proper groundwater management. However, several problems mainly related to the remediation of contaminated groundwater remain unresolved. Recently, there have been some incidents related to the contamination of groundwater, and these have drawn the concern of the Korean people. Although groundwater contamination has been investigated in detail, actual groundwater remediation work has not yet been implemented. The remediation of the contaminated groundwater must begin immediately in order to sustain the eco-system service of clean groundwater and enhance the welfare of the Korean people.

근린공원 시설유형에 따른 이용실태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tatus of Use of Community Park and Level of Satisfaction Based on Types of Its Facilities)

  • 박율진;김화옥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27-436
    • /
    • 2010
  • In this study this author made research and analysis on physical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parks in Ik-san provinces and also depending on its potential resources such parks were classified into constructed parks and unconstructed parks and status of use of such parks and level of satisfaction were studied. Through this paper this author strived to provide basic data required for forming green track of land for the parks. Required time for visiting community parks either constructed or unconstructed type was within 40 minutes or less. However constructed parks appeared to be more convenient for access in comparison with natural unconstructed parks. Mostly they were used by residents in neighboring community and also residents in the area around it were found as using it frequently. At the time of using community parks either constructed or unconstructed types means of access were mostly by walking or by riding bicycles. Thus considering large number of users of such parks are from neighboring community it appeared that parks with its simplicity and convenience in terms of distance and with rich nature were preferred by users rather than large scale parks at distance. In terms of time frame of use and motivation of visit constructed parks were used mainly for exercise and relaxation in the morning at parks and its facilities whereas un constructed parks were mostly used in the afternoon for for walking and chatting and rest under with time to spare at shadows of its trees. Time spent at parks were composed mostly of rest and walking more frequently than exercise and leisure activity thus it was different from motivation for visiting parks. As for evaluation of use of parks natural elements, unique environment, trees and lawns featured highly in unconstructed parks in comparison with constructed parks. Thus it seemed visitors are more conscious of forest and landscape in a form of unchanged nature. Thus for community parks first consideration should be heightening accessibility in view of primary concern for convenience by users rather than facilities or environmental conditions.

도로교통소음 현황과 예측 (Road Traffic Noise Status and Prediction)

  • 김종민;박준철;강대준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14권10호
    • /
    • pp.1015-1020
    • /
    • 2004
  • The road traffic noise becomes aggravated due to the rapid increase of vehicles. It has a great effect on the dwelling environment. Therefore we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sources of the road traffic noise through grasping the status of the road traffic noise.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description of the various factors affecting the generation and propagation of outdoor traffic noise. It is particularly concerned with the mathematical interpretation of these processes and the resulting development of prediction techniques which are now broadly used for both the environment impact assessment of road traffic noise and the planning and design of roads and adjoining land use.

Present Status and Future Trends on Urban Greening at Special Sites

  • Huinan Fu;hongye Hua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International Edition
    • /
    • 제2호
    • /
    • pp.51-56
    • /
    • 2004
  • This paper discussed the use of the urban greening space beside nature land----special sites of urban Greening. Consider: the special sites of urban greening are referred to the space formed by urban building and framing, where plants can grow under natural or artificial condition. Filly using those spaces will efficiently increase green area, improving ecological environment and landscape in urban area. A classification to special sites of urban greening was put forward, which are the habits of plant combine with the form of buildings. The present status and future trends on urban greening at special sites was discussed and analyzed. Consider: there are two developing trends of the research of urban greening at special sites. Firstly, it is more naturalize and ecologize greening landscape. Secondly, It will take form a techologize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nd materials.

  • PDF

도로교통소음(道路交通騷音) 현황과 예측 (Road Traffic Noise Status and Prediction)

  • 강대준;김종민;박준철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512-517
    • /
    • 2000
  • The road traffic noise becomes aggravated due to the rapid increase of vehicles. It has a great effect on the dwelling environment. Therefore we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sources of the road traffic noise through grasping the status of the road traffic noise. This report is concerned with the description of the various factors affecting the generation and propagation of outdoor traffic noise. It is particularly concerned with the mathematical interpretation of these processes and the resulting development of prediction techniques which are now broadly used for both the environment impact assessment of road traffic noise and the planning and design of roads and adjoining land use.

  • PDF

국가공간정보인프라 활용향상을 위한 지적도 일필지 표현기법 모형 연구 (A Study on a Parcel Presentation Technique of Cadastral Map for Enhancing Utilization of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 장용구;김종훈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10
    • /
    • 2008
  • 지적도는 토지의 소재, 지번, 지목, 경계, 면적을 지적법에 근거하여 연속하는 일필지에 의해 구성되어진 공적장부이다. 수년 전까지 지적도는 7개의 일정한 축척을 가진 2차원 평면 종이지도로 관리되어졌다. 최근 컴퓨터 시스템이 발달함으로써 지적도는 한 단계 발전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였고, 그것의 형태가 래스터 방식에서 벡터 방식으로 전환 된 것이다. 그 결과 벡터화된 지적도는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수치지적도는 한국토지정보시스템(KLIS)에 의해 다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갖추었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지적도와 한국토지정보시스템을 기본으로 지적도상의 토지 이용 현황 표시를 원래의 일필지보다 구체적으로 표시하고자 한다. 필지 단위로 구성되어 있는 지적도를 "지적도의 토지현황표시를 위한 일필지 표현기법 모형 연구"에 의해 새로운 표현 기법을 적용하였다. 지적도면의 기능을 소유권의 위치관계 및 지적법에 명시된 28가지 지목별 토지이용현황의 표현뿐만 아니라 GIS 구축 사업의 기초 자료 등으로도 쓰일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도로, 철도, 구거, 하천 등의 공공용지를 중심으로 각각의 필지와 지목에 대한 일필지 표현 기법을 개발하였다. 특히, 공공용지 중 도로를 대상으로 일필지 표현 기법 개발과 이에 따른 지적도 기능 향상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 PDF

북한 농업생산기반조성 현황과 협력 방안 (Cooperation Measures for Agricultural Infrastructure Development in North Korea)

  • 최진욱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1998년도 21세기 한반도 농업전망과 대책(한국작물학회.한국육종학회 공동주관 심포지움 회보)
    • /
    • pp.134-158
    • /
    • 1998
  • The objectives of this article are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agricultural infrastructure in North Korea and to suggest some cooperation measures among South and North Koreas and international agencies in order to develop the North Korea's agricultural infrastructure. The area of cultivated land in North Korea is 1,992 thousand ha (paddy field: 585 thousand ha: upland: 1,407 thousand ha) in 1997. Major water use facilities in North Korea are 1,900 reservoirs (included 100 big dams), 36,400 irrigation pumping stations, 1,600 drainage pumping stations, and 14'a,000 wells. In addition, there is 'two thousand Ri canal construction project' linking the rivers of Aprok, Daeryong, Daedong, Jaeryong, and Yesong. The unit of paddy land consolidation is about 1 ha which is regarded as rational for agricultural mechanization. The project of 'Darak' upland construction to create small size farmland, which has been carried out since 1976 has been unsuccessful due to the shortage of construction equipment. The area of farmland created by reclamation by 1995 is only 75 thousand ha although the potential project area is at)out 320 thousand ha along the western coast. It is due to the fact that civil engineering technologies and equipments are old and investment funds are insufficient. These are a few suggested areas of cooperation among South and North Korea and international agencies in order to improve North Korea's agricultural infrastructure : i) see land reclamation and land consolidation projects to increase paddy fields for rice production; ii) rehabilitation project in farm land areas devastated by flood; and iii) agricultural water development project which including diagnosing and rehabilitating irrigation and drainage facilities.

  • PDF

객체 탐지 딥러닝 기법을 활용한 필지별 조사 방안 연구 (Detecting high-resolution usage status of individual parcel of land using object detecting deep learning technique )

  • 전정배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54권1호
    • /
    • pp.19-32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드론영상을 기반으로 YOLO 알고리즘을 통해 시설물과 농경지를 대상으로 객체탐지를 실시하고, 이를 법정지목과 비교를 수행하여 영상기반의 조사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YOLO 알고리즘을 통해 객체를 탐지한 결과 건축물의 경우에는 기존 수치지형도에서 제공하고 있는 건축물 중 96.3%에 해당하는 객체를 탐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수치지형도에서는 건축물이 위치하지 않지만, 영상에서 건축물이 존재하는 136개의 건축물을 추가로 탐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정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닐하우스의 경우에는 총 297개를 탐지했으나, 일부 과수형 비닐하우스의 경우에 탐지율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농경지는 가장 낮은 탐지율을 보였다. 농경지는 시설물 대비 넓은 면적과 불규칙한 형상으로 학습데이터의 일관성이 낮아 정확도가 시설물에 비해 작은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농경지의 경우에는 박스형태의 탐지가 아닌 Segmentation 탐지가 더욱 효과적으로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탐지된 객체를 법정지목과 비교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건축물이 입지가 어려운 농경지 및 임야에서 건축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이 건축물이 불법으로 활용됨을 파악하기 위해선 행정정보와 연계가 필요할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현재 수준에서는 건축물이 입지하기 어려운 필지에 건축물의 존재유무를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수준까지 조사가 가능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부산 연안역의 서식지 질 및 위험도 평가 (Assessing Habitat Quality and Risk of Coastal Areasin Busan)

  • 정세화;성기준
    • 환경영향평가
    • /
    • 제31권2호
    • /
    • pp.95-105
    • /
    • 2022
  • 높은 개발 압력과 이용 강도로 인해 연안생태계 건강성이 악화되고 있는 부산은 연안역의 지속가능한 이용 및 생태계 보전을 위해 인간과 자연환경을 함께 고려하는 생태계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식지 중심의 생태계 기반 관리를 위하여 InVEST 서식지 질 및 위험도 모델을 적용하여 부산 연안 육역과 연안 해역의 서식지를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연안 육역은 강서구 가덕도, 남구 이기대·신선대, 기장군 일대 지역의 서식지의 질이 높고, 서구, 중구, 동구, 수영구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안 해역의 경우 낙동강 하굿둑 하부 지역의 위험도가 낮았으며, 영도구, 사하구, 강서구 일부 지역의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연안 생태계 서식지의 가치를 높이고 지속가능한 이용 및 보전을 위하여 훼손된 서식지를 개선하고 위협요인을 줄여 생태계서비스를 증진할 수 있는 관리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연안 육역의 개발사업 계획 시 연안 해역에 미치는 영향을 충분히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연안 육역의 서식질 질 모형 결과는 도시생태현황지도와 국토환경성평가지도와 유사한 경향성을 가지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연안 해역의 서식지 위험도 평가 결과 또한 해역의 서식지 파악, 위협요인 관리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