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mbda

검색결과 2,540건 처리시간 0.026초

MCF-7 cell에서 all-trans retinoic acid에 의한 insulin-like growth factor-I와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3 분비조절에 있어서 PKC-δ의 역할 (The roles of PKC-δ on the regulation of insulin-like growth factor(IGF)-I and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3 secretion by all-trans retinoic acid in MCF-7 cell)

  • 이선미;김상훈;최광수;강창원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97-105
    • /
    • 2006
  • All-trans retinoic acid (AtRA) induces growth inhibition and apoptosis in a variety of tumer cells, including MCF-7 cells. Insulin-like growth factors (IGFs) system has been reported to be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cancer. Although MCF-7 cell with AtRA is to be the major stimulus for the cell growth and apoptosis, the mechanism of insulin-like growth factor-I (IGF-I)/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3 (IGFBP-3) system remains to be elucidated. Thu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he effect of AtRA on the gene expression and level of IGF-I and IGFBP-3. In addition, we investigated the involvement of PKC-${\delta}$ on the IGF-I and IGFBP-3 secretion in MCF-7 cell. AtRA(${\geq}10^{-7}M$) decreased the IGF-1 secretion and mRNA expressions, but increased IGFBP-3 secretion and mRNA expressions in MCF-7 cells. Especially, the treatment of AtRA at 72 hours caus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IGF-I secretion and mRNA expressions but increment in IGFBP-3 secretion and mRNA expressions (p < 0.05). $10^{-7}M$ AtRA activated PKC-${\delta}$ that is one among PKC-$\iota$, ${\alpha}$, ${\lambda}$ and ${\delta}$ in MCF-7 cell. Rotllerin, a PKC-${\delta}$ inhibitor, blocked AtRA-induced inhibition of the IGF-I and mRNA expressions, and increase of lGFBP-3 and mRNA expressions in MCF-7 cell. Together, AtRA inhibited the IGF-I secretion and mRNA expressions, but increased IGFBP-3 secretion and mRNA expressions in MCF-7 cell. Furthermore, AtRA-induced alteration of IGF-I, IGFBP-3 secretion, and the gene expressions were mediated via PKC-${\delta}$ activity.

Bacillus amyloliquefaciens IUB158-03이 생산하는 항진균물질의 생화학적 특성 및 독성 (Toxicity and Characteristics of Antifungal Substances Produced by Bacillus amyloliquefaciens IUB158-03)

  • 김혜영;이태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1호
    • /
    • pp.1672-1678
    • /
    • 2009
  • B. amyloliquefaciens IUB158-03균주에서 정제된 항진균물질은 극성인 용매에 잘 용해되고, pH 6.0~10.0와 $-70{\sim}121^{\circ}C$에서와 같이 넓은 범위의 온도 및 pH에서 안정성을 보였다. 항진균물질의 FAB-MS, UV 흡수 스펙트럼, 아미노산 조성 등을 분석한 결과 분자량은 1,042 이었고, TLC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ninhydrin solution에서 보라색으로 발색되었다. UV 스펙트럼은 220 nm, 277 nm에서 ${\lambda}max$를 보였으며, $Asn_3$, $Gln_2$, $Ser_1$ $Gly_1$, $Tyr_1$의 아미노산 조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1H$-NMR spectrum, $^1H$-COSY, HMQC 을 분석한 결과 iturin A계에 속하는 물질로 확인되었다. NIH3T3 섬유아세포에 대해 항진균물질이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은 물론 마우스에 항진균물질을 경구투여하여 장기 내의 변화와 백혈구 수, 생체내의 생리적인 기능면에서 정상 마우스와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므로 생체독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B. amyloliquefaciens IUB158-03에서 분리된 항진균물질이 앞으로 고추탄저병의 생물적 방제제로 이용될 수 있는 잠재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분무열분해법에 의해 제조된(Ca, Sr)2MgSi2O7:Eu2+ 형광체의 발광 특성 (Photoluminescence Characteristics of (Ca, Sr)2MgSi2O7:Eu2+ Phosphor Particles Prepared by Spray Pyrolysis)

  • 이호민;정경열;정하균;이종흔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4권3호
    • /
    • pp.284-288
    • /
    • 2006
  • 분무열분해법을 이용하여$(Ca,Sr)_{2-y}MgSi_2O_7:Eu^{2+}{_y}$ 형광체 분말을 제조하고 $Eu^{2+}$의 농도, 후열처리온도 변화 및 Ca/Sr 비에 따른 발광특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Ca/Sr의 비를 변화시켜 발광특성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Ca_2MgSi_2O_7$$Sr_2MgSi_2O_7$ 분말 모두 $1,000^{\circ}C$ 이상의 온도에서 열처리를 했을 때 순수한 정방정계 상이 제조되었다. $Ca_2MgSi_2O_7:Eu^{2+}{_y}$ 녹색 형광체는 $Eu^{2+}(y)$의 농도가 5 mol%, 후열처리 온도가 $1,250^{\circ}C$ 일 때 가장 높은 발광 강도는 보였다. ${(Ca_{1-x},Sr_x)}_{1.95}MgSi_2O_7:{Eu^{2+}}_{0.05}$의 발광 파장은 Sr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른 결정장 감소로 인해 524nm에서 456nm로 점진적으로 blue shift 되었다. $Sr_2MgSi_2O_7:Eu^{2+}$는 Sr 자리에 약 10 mol% Ca를 치환시킴으로써 청색 형광체의 발광 강도는 크게 향상되었다. 제조된 분말들은 치밀하지 못하고 다공성 구조를 가져 후열처리 전에는 구형을 유지하였으나 열처리($900{\sim}1,300^{\circ}C$) 후에는 구형의 형상을 잃고 입자들 간의 응집이 발생하였다.

천연색소(天然色素)에 관(關)한 연구(硏究)제1보(第一報) -치자색소(梔子色索)의 함량(含量) 및 성질(性質)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Natural Pigments (Part I) -Contents and Properties of Gardenia Jasminoides Ellis Pigment-)

  • 김동연;김관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8권2호
    • /
    • pp.98-101
    • /
    • 1975
  • 치자색소(梔子色素)의 과육(果肉)과 과피중(果皮中)의 함량(含量), 신선과(新鮮果)와 저장과(貯藏果)의 함량(含量)과 이 색소(色素)의 내열성(耐熱性), pH에 대(對)한 연구(硏究)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Cretin의 신선과(新鮮果) 및 저장과중(貯藏果中)의 함량(含量)은 각각(各各) 0.0157%와 0.0136%로 저장(貯藏) 1년간(年間)에 15%의 감량(減量)이 있었다. 2. 신선과(新鮮果)에서 과피(果皮)와 과육(果肉)의 색소량(色素量)은 과피(果皮)보다 배(倍)나 많이 함유(含有)되었다. 3. 치자과(梔子果)에는 극미량(極微量)이지만 ${\beta}-Carotene$과 미지(未知)의 Carotene계(系) 색소(色素)가 함유(含有)되었다. 4. 치자색소(梔子色素)는 $100^{\circ}C$, 60분간(分間)의 가열(加熱)에도 안정(安定)하였으나 $150^{\circ}C$ 30분간(分間)에는 약(約) 반량(半量)이 파괴(破壞)되었다 5.치자색소(梔子色素)는 산성(酸性)에서는 10일후(日後)에는 완전(完全) 무색(無色)으로 되나 중성(中性)이 나 alkali성(性)에서는 10일후(日後)에도 변색(變色)되지 않았다. 6. 치자색소(梔子色素)는 외관상(外觀上) 농후액(濃厚液)은 황적색(黃赤色), 희박액(稀薄液)은 황색(黃色)이었으나 흡수극대(吸收極大)는 변동(變動)이 없었다.

  • PDF

초광대역 평면형 모노폴 안테나를 이용한 능동 안테나 다이플렉서의 설계 (Design of Active Antenna Diplexers Using UWB Planar Monopole Antennas)

  • 김준일;이원택;장진우;지용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1098-1106
    • /
    • 2007
  • 본 논문은 초광대역 코프래너 급전 모노폴 안테나를 이용한 능동 안테나 다이플렉서 구조를 제안한다. 제안된 다이플렉서 구조는 초고주파 시스템 집적 패키지 기술(RF System on Package: RF-SoP)을 이용한 것으로서 평면형 초광대역 모노폴 안테나와 능동 소자를 직접 연결법에 의해 연결하여 다이플렉서(diplexer)를 형성하는 방식이다. 이는 안테나 회로 성분과 능동 소자의 패키지 회로 성분으로 형성되는 통과 대역을 이용함으로써 별도로 추가된 대역 통과 필터 등의 회로 구조 없이 다이플렉서를 내장하여 구성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입력된 수신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 동작 회로가 분리되며, 분리된 수신 신호가 능동 소자의 동작에 의해 증폭되는 능동 안테나 다이플렉서(diplexer)로서 구성된다. FR-4 에폭시 기판 위에서 제작된 능동 안테나 다이플렉서의 특성을 측정한 결과, 2.4 GHz 수신 단자에서는 0.9 dB의 삽입 손실(insertion loss), 1.1 GHz(2.0{\sim}3.1\;GHz)$ 대역폭, 17.0 dB의 수신 신호 증폭 특성을 보여주었으며, 5.8 GHz 수신 단자에서는 0.8 dB의 삽입 손실, 650 MHz$(5.25{\sim}5.9\;GHz)$ 대역폭, 15.0 dB의 수신 신호 증폭 특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10.0 dB 이상의 주파수 분리(isolation) 특성과 -20.0 dB 이상의 고조파 성분(harmonics) 감쇄 특성을 나타내어, 제시된 능동 안테나 다이플렉서 구조가 설계된 동작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공진 개구 구조의 소형화 및 투과 효율 개선 (Miniaturization and Transmission Efficiency Improvement of Resonant Aperture Structure)

  • 유종경;여준호;고지환;김병문;조영기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8권6호
    • /
    • pp.470-477
    • /
    • 2017
  • 무한 도체 평판에 위치한 파장에 비하여 작은 개구의 투과 효율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써, 기존에 제안된 H-형태의 공진 개구를 변형하여 공진 주파수를 낮추어 파장 대비 개구의 크기를 소형화하고, 공진 개구의 투과 효율을 향상시켰다. 공진 개구를 등가 회로로 표현하여 계산된 최대 투과 단면적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계산된 변형된 소형 공진 개구에서의 최대 투과 단면적과 일치함을 보이고, 최대 투과 단면적이 $2D{\lambda}/4{\pi}$의 정량적 수식으로 표현되어 투과 효율을 비교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변형된 공진 개구는 H-형태의 개구와 비교하여 최대 투과 단면적은 $846mm^2$에서 $2,431mm^2$으로 약 2.87배 증가되었으며, 공진 주파수는 5.06 GHz에서 2.92 GHz로 낮아져 개구의 길이 대 파장 비는 0.178에서 0.103으로 소형화되었다.

Blue 계열 염료의 열변색 현상에 관한 열역학적 연구 (A Thermodynamic Study on Thermochromism of Blue Dye Systems)

  • 김재욱;지명진;차병관;김종규
    • 대한화학회지
    • /
    • 제54권5호
    • /
    • pp.500-505
    • /
    • 2010
  • 열 변색 현상을 나타내는 염료 중에서 분자량은 같지만 구조식이 다른 두 염료인 Blue 402 {3-(4-(diethylamino)-2-methylphenyl)-3-(1,2-dimethyl-1H-indol-3-yl)isobenzofuran-1(3H)-one}와 Blue 502 {3-(4-(diethylamino)phenyl)-3-(1-ethyl-2-methyl-1H-indol-3-yl)isobenzofuran-1(3H)-one}의 스펙트럼을 측정하여, 두 염료의 흡광도 변화에 따른 열역학적 함수들을 연구하였다. 염료의 알코올 용매 하에서 탄소 수 변화에 따른 흡광도의 변화를 실험한 결과 탄소수가 증가할수록 흡광도($\lambda_{max}$)의 변화는 장파장으로 이동함을 확인하였다. 흡광도 측정 결과 Blue 502가 Blue 402보다 알코올 용매 하에서 보다 더 안정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두 염료의 온도 변화에 평형 상수를 측정하여 열역학적 함수들을 계산하였는데, 두 염료의 평형상수는 약 0.9 ~ 1사이의 값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평형상수와 몰흡광계수로부터 계산된 엔탈피 값은 메탄올에서 Blue 402는 약 10.94 kJ/mol, Blue 502는 약 9.010 kJ/mol의 값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Mycobacterium tuberculosis-induced Expression of Interleukin-1 Beta is Mediated Via Protein Kinase C Signaling Pathway

  • Cho, Jang-Eun;Lee, Kyung-Hong;Son, Sin-Jee;Park, Sang-Jung;Lee, Hye-Young;Kim, Yoon-Suk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19-122
    • /
    • 2010
  • Interleukin-1${\beta}$ $(IL-1{\beta})$ is one of the key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it plays an important role for the antimycobacterial host defense mechanisms. In this study, we examined Mycobacterium tuberculosis (MTB)-stimulated induction of IL-1${\beta}$ and evaluated the associated signal transduction pathways. In PMA-differentiated THP-1 cells, MTB infection increased mRNA expression of IL-$1{\beta}$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expression of IL-1${\beta}$ mRNA began to be induced at 1.5 h after infection, and induced expression of IL-1${\beta}$ was retained for 48 h after MTB infection. The increase in expression of IL-1${\beta}$ caused by MTB was reduced in cells treated with Ro-31-8425 (an inhibitor of PK$C{\alpha}$, ${\beta}I$, ${\beta}II$, ${\gamma}$, ${\varepsilon}$) or PD98059 (an inhibitor of MEK1), meanwhile, pre-treatment with $G\ddot{o}6976$ (an inhibitor of $Ca^{2+}$ dependent PK$C{\alpha}$ and PK$C{\beta}I$) or Rottlerin (an inhibitor of PK$C{\delta}$) has no effect on MTB-induced expression of $IL-1{\beta}$ mRNA. These results show that the expression of $IL-1{\beta}$ mRNA caused by MTB may be mediated via MEK1 and PKC isoforms including PK$C{\beta}II$, $PKC{\gamma}$, or $PKC{\varepsilon}$.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determine whether other PKC isoforms $(PKC {\eta},\;{\theta},\;{\varepsilon},\;and\;{\lambda}/{\iota})$, except $PKC{\delta}$, $PKC{\alpha}$, and $PKC{\beta}I$, are also involved in $IL-1{\beta}$ mRNA expression after mycobacterial infection.

Spatial dispersion of aggregate in concrete a computer simulation study

  • Hu, Jing;Chen, Huisu;Stroeven, Piet
    • Computers and Concrete
    • /
    • 제3권5호
    • /
    • pp.301-312
    • /
    • 2006
  • Experimental research revealed that the spatial dispersion of aggregate grains exerts pronounced influences on the mechanical and durability properties of concrete. Therefore, insight into this phenomenon is of paramount importance. Experimental approaches do not provide direct access to three-dimensional spacing information in concrete, however. Contrarily, simulation approaches are mostly deficient in generating packing systems of aggregate grains with sufficient density. This paper therefore employs a dynamic simulation system (with the acronym SPACE), allowing the generation of dense random packing of grains, representative for concrete aggregates. This paper studies by means of SPACE packing structures of aggregates with a Fuller type of size distribution, generally accepted as a suitable approximation for actual aggregate systems. Mean free spacing $\bar{\lambda}$, mean nearest neighbour distance (NND) between grain centres $\bar{\Delta}_3$, and the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of ${\Delta}_3$ are used to characterize the spatial dispersion of aggregate grains in model concretes. Influences on these spacing parameters are studied of volume fraction and the size range of aggregate grains. The values of these descriptors are estimated by means of stereological tools, whereupon the calculation results are compared with measurements. The simulation results indicate that the size range of aggregate grains has a more pronounced influence on the spacing parameters than exerted by the volume fraction of aggregate. At relatively high volume density of aggregates, as met in the present cases,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values are found quite similar. The mean free spacing is known to be independent of the actual dispersion characteristics (Underwood 1968); it is a structural parameter governed by material composition. Moreover, scatter of the mean free spacing among the serial sections of the model concrete in the simulation study is relatively small, demonstrating the sample size to be representative for composition homogeneity of aggregate grains. The distribution of ${\Delta}_3$ observed in this study is markedly skew, indicating a concentration of relatively small values of ${\Delta}_3$. The estimate of the size of the representative volume element (RVE) for configuration homogeneity based on NND exceeds by one order of magnitude the estimate for structure-insensitive properties. This is in accordance with predictions of Brown (1965) for composition and configuration homogeneity (corresponding to structure-insensitive and structure-sensitive properties) of conglomerates.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 $S\H{u}lzer$) 성충의 수명과 생명표 (Bionomics of the Green Peach Aphid(Myzus persicae $S\H{u}lzer$) Adults on Chinese cabbage(Brassica campestris))

  • 김지수;김태흥;이상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13-217
    • /
    • 2005
  •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 $S\H{u}lzer$)의 성충 발육과 산자수를 $15-32.5^{\circ}C$, 상대습도 60-70%, 광주기 16L:8D 조건에서 조사하고 생명표를 작성하였다. 복숭아혹진딧물 성충은 $15-25^{\circ}C$까지 수명이 $13.1{\sim}8.4$일로 온도의 상승에 따라 성충기간이 짧아졌으며, 산자수는 $20^{\circ}C$에서 40.8마리로 최고치를 보였으나 $15-27.5^{\circ}C$까지 산자수 차이에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다만 $30^{\circ}C$에서는 8.4마리로 고온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또한 복숭아혹진딧물 성충의 일일 산자수는 $25^{\circ}C$에서 5.1마리였고, $15^{\circ}C$$30^{\circ}C$에서는 모두 2.8마리로 온도가 높거나 낮아지면서 일일산자수가 적어졌다. 온도별 총 산자수를 이용하여 작성한 산자 모형을 보면 $18.3^{\circ}C$에서 51.0마리로 최고값을 보인다. 또한 약충 발육시 사망률과 성충 수명, 산자수를 이용하여 생명표를 작성하였는데 복숭아혹진딧물은 Ro가 $27.5^{\circ}C$에서 36.5, $r_m$은 0.4, Dt는 1.6, 기간증가율은 1.5, 세대기간은 8.1로 $27.5^{\circ}C$가 복숭아혹진딧물 증가에 가장 적합한 온도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