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ke An-dong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32초

안동호 및 상류수계 내 어류 중 수은 농도 특성연구 (Study on mercury concentrations of freshwater fish from Lake An-dong and its upper stream)

  • 변명섭;이재윤;박진주;신선경;한진석;김영희
    • 분석과학
    • /
    • 제23권5호
    • /
    • pp.492-497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안동호 유역의 수은오염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안동호 및 상류 수계 내 담수 어류 중 수은 농도를 조사하고, 국내 연구결과와 비교하였다. 안동호 내에서 채집된 어류는 잡식성 및 포식성 어종으로 수은 농도는 37~611 ng/g이었으며, 대표적인 포식성 어종인 끄리에서 $198{\pm}97\;ng/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안동호 상류수계인 낙동강 본류 구간에서 채집된 어종은 대부분 초식성 및 잡식성 어종으로 모래무지, 피라미 등에서 $21{\pm}16\;ng/g$$33{\pm}24\;ng/g$으로 낮게 나타났다. 특히 안동호 내 참마자 및 배스 등의 수은농도가 동일 어종의 국내 담수어류 평균에 비해 높게 조사되었다.

시화호 점착성 퇴적물의 침강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ttling Properties of Cohesive Sediments in Shihwa Lake)

  • 이영재;이상화;황규남;류홍렬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2-48
    • /
    • 2005
  • The sediment of Shihwa Lake contains an abundant quantity of cohesive sediments. The transport processes of the cohesive sediments are complex and difficult to predict, quantitatively. The cohesive sediments are the primary reason for the pollution of the environment and water quality in the coastal region. In this study, a column test has been performed. In order to quantify the settling velocities of sediment from Shihwa Lake, an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a specially designed 1.8m tall settling column. A series of settling tests and physico-chemical property tests on Shihwa Lake cohesive sediments has been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settling properties and their physico-chemical properties, which are represented as grain size distribution, mineralogical composition, and percentage oj organic contents. Experimental results of physico-chemical property tests show that Shihwa Lake sediments are relatively large in average grain $size(74\mu m)$ contain very small organic $material(6\%)$, and are dominantly composed of Quarts, which has relatively low cohesion. Thus, Shihwa Lake sediments might be specified as those whose settling properties are more influenced by gravity than cohesion. It is concluded that the magnitude of settling velocities of muddy sediments can be quite different, regionally, and it implies that field or laboratory experiments for settling velocity measurement should be preceded over the numerical modeling of muddy sediment transport, in order to obtain the reliable prediction results for a given specific site.

덕동호 유해남조류 출현 특성 및 환경요인 영향 분석 (Analysis of Harmful Cyanobacteria Occurrence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 홍동균;박혜경;김용진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20-29
    • /
    • 2023
  •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harmful cyanobacterial abundance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order to figure out the causes of the recent increase of cyanobacteria in Lake Dukdong from 2019 to 2021. Lake Dukdong, which is used as a drinking water source for Gyeongju City, has an algae alert system in place. Lake Dukdong has maintained good water quality, but algae alert level 1 (over 1,000 cells/mL) has been issued in recent years. As a result of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from May to Oct.), the cell density of Microcystis and Aphanizomenon, which form part of the most harmful cyanobacteria genus,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water temperature and water storage volume. T-test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data from 2016-2018 and 2019-2021 (from May to Oct.). The average density of harmful cyanobacteria cells increased about six-fold from 54 to 344 cells/mL.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water temperature, pH, total nitrogen (TN), total phosphorus (TP), TN/TP ratio, water storage volume, and cyanobacterial cell density. Water temperature increased from 19.2 to 22.8 ℃. TP concentration increased from 0.017 to 0.028 mg/L. The main cause of the recent increase of harmful cyanobacteria in Lake Dukdong is thought to be the increase in water temperature, TP concentration, and water storage volume from 2019 and 2021, resulting in more favorable conditions for cyanobacterial growth.

동복호의 식물플랑크톤 출현 패턴 (Seasonality of Phytoplankton in Dongbok Lake, Korea)

  • 정명화;박종환;김상돈;김동호;장남익;이학영
    • 환경생물
    • /
    • 제26권4호
    • /
    • pp.367-376
    • /
    • 2008
  • 동복호의 수중생태계 구조를 파악하기 위한 조사의 일환으로 상류, 중류, 하류의 식물플랑크톤의 출현패턴을 조사하였다. TN과 TP농도의 조사지점과 조사시기에 따른 변화는 5월을 제외하고는 크지 않았다. 클로로필의 농도는 상류와 중류에서는 8월에 가장 낮고 봄과 가을에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하류에서는 5월에 최고의 농도를 나타냈다. 동정된 식물플랑크톤은 상류에서 78종, 중류에서 71종, 그리고 하류에서 63종으로 총 108종이었다. 녹조류가 54종, 규조류가 30종, 그리고 남조류가 12종이 었으며 와편모조류와 그 밖의 조류가 12종이었다. 출현개체수분포는 상류에서는 5월과 8$\sim$9월의 두 번의 Peak를 나타냈고, 중류에서는 5월의 감소를 제외하면 봄과 가을의 높은 현존량과 여름의 낮은 현존량 패턴을 보여주었으며, 하류에서는 5월과 6월 사이에 높은 현존량을 나타냈다. 최고의 현존량은 하류에서 5월에 7,158 cells mL$^{-1}$의 높은 개체군 밀도를 나타냈는데, 이 시기의 우점종은 Peridinium bipes f. occulatum이었다. 동복호에서 식물플랑크톤 분류군의 분포양상은 조사수역에 따라 다양한 양상을 나타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규조류-와편모조류/규조류-남조류/녹조류/규조류-규조류가 교대로 우점하는 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진양호 환경요인과 동물플랑크톤 군집 동태 (Seasonal Changes of Zooplankton Distribution with Environmental Factors in Lake Jinyang)

  • 윤종수;정현기;권영호;신찬기;황동진
    • 환경위생공학
    • /
    • 제23권4호
    • /
    • pp.45-54
    • /
    • 2008
  • Our study indicates the zooplankton abundance with characteristics of water column and the vertical distribution in Lake Jinyang, South Korea. Seasonal changes of zooplankton community are determined by environmental parameters like water temperature, pH, dissolved oxygen, suspended solids and chlorophyll a. In lake Jinyang, this study showed that the zooplankton abundance in transition zone(St.1, St.2) was higher density than in lacustrine zone(St.3). Rotifers were dominant zooplankton and among them, Polyarthra spp., Keratella spp. and Nauplli(Copepoda) were common. But Cladoceran showed the low density. During survey period, zooplankton abundance with vertical distribution in surface layer(epilimnion) was higher than in bottom layer(hypolimninon). Zooplankton densities in Surface and middle layer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with water temperature and the densities in bottom layer(hypolimnion)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with chlorophyll a. Our assumption in spite of the short term study are supported by the facts that increase of temperature driven by climate change more maintains the thermocline duration by the summer temperature stratification. Thu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climate changes are an important source of changing zooplankton community feeding phytoplankton. So the zooplankton should be monitoring by the ecological management of Lake Jinyang to cope with climate changes like flood plain or drought.

춘천댐 및 소양강댐 운영에 따른 의암호 조류 저감 연구 (Study of the Mitigation of Algae in Lake Uiam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huncheon Dam and the Soyang Dam)

  • 이동열;백경오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2권2호
    • /
    • pp.171-179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본류 상류에는 춘천댐, 하류에는 의암댐 그리고 지류엔 소양강댐이 위치한 의암호를 대상으로 댐 운영에 따른 조류 저감 특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3차원 수리 및 수질모의가 가능한 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de (EFDC) 모형을 활용하였고, 실제 조류경보 수준의 녹조가 발생한 2018년 하절기를 대상으로 총 9가지 댐 운영 시나리오를 구성하여 조류저감 특성을 분석하였다. 댐 운영 시나리오는 각 댐 별 수위에 따른 방류 가능량을 참고하여 상류 춘천댐과 소양강댐에서 펄스파 형태로 특정기간 일정하게 방류하고, 하류 의암댐은 수위를 낮춰 플러싱(flushing) 효과를 유발할 수 있도록 설정하였다. 의암호는 기저 수온이 서로 다른 북한강과 소양강의 영향 및 지형적 특성으로 인해 댐별 운영에 따라 영향권이 상이하였으며, 각 지점별 조류 저감량이 달랐다. 호 내 좌안 지점의 경우 소양강댐에서 3일간 50 m3/s로 펄스 방류할 경우 클로로필-a의 첨두치가 약 50 %이상 저감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반면 우안 지점의 경우 소양강댐 방류량이 조류 저감에 거의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녹조가 급격히 번무하는 비상 상황의 경우 의암호와 같이 상하류에 대형댐이 존재하는 수역에서는 적절한 댐 운영이 특정 지점의 녹조 저감에 효과적일 수 있을 것이다.

남조류에서 발생하는 독소의 문제점과 대책 (An Overview of Problems Cyanotoxins Produced by Cyanobacteria and the Solutions Thereby)

  • 전봉석;한지선;김석구;안재환;오혜철;박호동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7권12호
    • /
    • pp.657-667
    • /
    • 2015
  • 녹조현상을 형성하는 유독남조류는 세계 각지의 부영양화 호수에서 장기간 관찰되고 있다. 남조에 의해 생산되는 독소는 크게 신경독(anatoxin-a, anatoxin-a(s), saxitoxin)과 간독(microcystin, nodularin, cylindrospermopsin)으로 나뉜다. Microcystin은 남조세포내에 존재하며, 세포막이 손상되면 외부로 방출된다고 사료되며, 용출된 microcystin은 생물에 악영향을 끼치며, 호수, 하천 및 해양의 수생생물에 microcystin이 축적된다고 알려져 있다. 자연계에서는 포식자에 의한 남조세포의 섭식 또는 남조세포로부터 용출된 microcystin의 미생물에 의한 분해에 의해 microcystin의 제거가 가능하지만, 정수처리 과정에서는 microcystin을 분해하는 미생물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세포제거를 위해 황산구리를 사용할 경우 대량의 microcystin이 용출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지금까지의 보고에 의하면 세포 밖으로 용출된 micorcystin을 제거하는 기술은 물리, 화학 및 생물학적 방법이 있다. 녹조현상의 방지는 그 발생의 원인인 호수 외로부터 유입되는 영양염류인 질소와 인의 감소가 기본이지만, 부영양호의 경우 이미 유입된 영양염류를 축적하고 있으므로 투자에 비해 효과는 높지 않다. 호수가 본래의 상태일 때 부영양화 된다면, 호수의 연안부에 수생식물의 침입이 일어나고, 식물플랑크톤에 의한 조류 번무 현상은 보이지 않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관점으로 녹조현상 발생방지를 위해서는 일단 호수 연안을 정상적인 상태로 복원할 필요가 있다.

팔당호에서 인공 수초재배섬 설치에 따른 동물플랑크톤 군집 변화 (Changes of Zooplankton Community in an Artificial Vegetation Island of Lake Paldang)

  • 유경아;박혜경;변명섭;전남희;최명재;윤석환;공동수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39-347
    • /
    • 2007
  • Zooplankton community dynamics were studied after establishment of an artificial vegetation island (AVI) in Lake Paldang, from April 2005 to November 2006. There were distinct seasonal and inter-annual changes of total zooplankton abundance at the survey site. Total zooplankton abundance rapidly increased in spring and fall, while it remained low throughout winter. During summer, the dynamics of zooplankton community seemed to be largely affected by hydrological parameters such as, precipitation and inflow. Total zooplankton abundance and biomass below AVI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pelagic zone (L1) in Lake Paldang. Copepoda and cladocera represented the main bulk of the zooplankton community from summer to fall at the both sites. Copepods were more dominant at AVI area, while cladocera were more dominant at pelagic zone (L1). Water quality, prey and habitat condition, species competition between zooplankton seemed to play important roles in dominance of the copepoda and cladocera in zooplankton community at AVI area. Our results conclude that artificial vegetation island provide the stable habitat and besides phytoplankton, diverse food to zooplankton, and consequently influence the diversity and richness of zooplankton community.

Structural Design of Cheongna City Tower

  • Chung, Kwangryang;Kim, Jung-Hyun;Song, Younghoon;Kim, Sihyeong;Kang, Jihun
    • 국제초고층학회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193-201
    • /
    • 2021
  • Cheongna City Tower is a 448-meter-high rise observatory tower with 8.7:1 aspect ratio located at central lake park in Incheon Cheongna international city. The tower is a crystal shaped image and it turns invisible when the façade is activated. The tower was planned to be hexagonal 30-story building with two basements which are composed of mega frame structure using mega column and mega brace. In order to minimize the wind effect, the blow-through area was installed so that the wind can pass through. This observatory tower is an unprecedented project since the whole building is covered by façade for invisibility eff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