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ctobacillus spp.

검색결과 222건 처리시간 0.027초

Lactobacillus spp. 이용 발효 붉나무의 기능성물질 검색에 대한 연구 (Functionality Analysis of Rhus javanica Fermented by Lactobacillus spp.)

  • 이동성;강민수;김윤철;임남경;김현수;정길생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44-5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한약재를 Lactobacillus속 균주로 발효시켜 기능성물질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선별한 발효에 사용한 10가지 한약은 100% methanol로 추출하여 Lactobacillus속 균주와 MRS배지를 첨가하여 사용하였고 발효 후 ethyl acetate로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10가지 중 붉나무를 Lb. brevis KCTC 3498로 발효하고 ethyl acetate로 추출한 추출물에서 마우스 해마 유래 세포주인 HT22 세포에서 glutamate로 유발된 산화적 손상으로부터 세포 보호효과가 우수했으며, 이는 heme oxygenase-1 단백질 발현에 의한 것 임을 밝혔다. 또한, 뇌세포 보호에 heme oxygenase-1 발현의 주요 기전인 Nrf2 핵 내의 전사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붉나무의 발효 전과 후의 항균, 항산화 효과 비교 실험에서는 붉나무를 Lb. plantarum subsp. plantarum KCTC 3108, Lb. fermentum KCTC 3112, Lb. brevis KCTC 3498 균주로 각각 발효한 한약재는 발효 전보다 항산화 활성이 높아지거나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Lb. plantarum subsp. plantarum KCTC 3108, Lb. casei KCTC 3109로 발효한 붉나무 발효액과 ethyl acetate 여액층은 Bacillus subtilis PCI 219, Escherichia coli KCTC 1682, Shigella flexneri KCTC 2517, Vibrio parahaemolyticus KCTC 7471, Pseudomonas aeruginosa KCTC 2004에 모두 항균활성을 보였다. 붉나무를 Lb. brevis KCTC 3498로 발효하여 ethyl acetate로 추출한 추출물은 B. subtilis PCI 219, E. coli KCTC 1682, S. flexneri KCTC 2517, V. parahaemolyticus KCTC 7471 균주에서 발효한 추출물이 단순 붉나무 추출물보다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다.

가자미식해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spp.의 항헬리코박터 활성 평가 (Anti-Helicobacter pylori Activity of Lactobacillus spp. Isolated from Gajami Sikhae)

  • 배은영;조기운;정성근;조영제;김병오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60-267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전통 가자미식해에서 분리한 LAB에 의한 H. pylori 억제효과를 살펴보았다. 가자미식해에서 분리한 40종의 LAB는 L. plantarum, L. brevis, Lc. mesenteroides, and W. paramesenteroides 등으로 확인되었다. 40종의 LAB중 liquid inhibition assay에 의해 H. pylori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10 종류의 젖산균을 선별하였다. 선별된 젖산균 배양액을 1%, 5%, and 10% 농도로 적용하였을 때 H. pylori 52, 51, e-53와 309에 대해서 생육 억제효과가 나타났다. LAB 배양 상등액의 pH를 7.0으로 조절하여 적용시켰을 LAB 10 종류 모두 5%와 10%의 농도에서 H. pylori 52와 LAB 7 종류의 10% 농도에서 H. pylori e-53에 대해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그것은 또한 urease 활성을 억제시키는 영향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가자미식해에서 분리한 L. plantarum spp., L. brevis spp., Lc. mesenteroides spp., W. paramesenteroides spp. 등에 의해 H. pylori가 제균되거나 억제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치아우식과 연관된 타액의 pH와 완충력 (Dental Caries Risk Can Be Predicted by Simply Measuring the pH and Buffering Capacity of Saliva)

  • 정순정;;;;;윤미숙;임도선;;정문진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59-162
    • /
    • 2006
  • 이 연구의 목적은 타액이 산성일때 치아우식과 연관이 있는 Streptococcus mutans 와 Lactobacillus spp.의 양을 조사하여 치아우식의 지표로 사용될 수 있는지를 관찰한 외국인을 대상으로한 임상결과이다. 총 240개의 타액 표본들은 마케도니아(Macedonia), 스코프에(Skopje)에 위치한 St Kiril- Metodi 치과대학병원에서 환자 80명으로부터 얻었다. 표본들은 사전의 파라핀 저작(씹기)법에 의해 타액을 자극하여 얻어졌으나, 타액의 pH의 결정을 위해서 다른 자극은 사용되지 않았다. 치아우식 집단의 타액 1 ml에서 S. mutans는 100%의 confluent growth (CFU > $10^6$$10^4-10^5$) 였으나, Lactobacillus spp.는 78.3%였다. 대조표본 집단(건강하고 손상되지 않은 치아를 가짐)에서, confluent growth (CFU > $10^6$$10^5$)를 가지는 colony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와 달리, 두 집단 모두(60 + 20)에서 타액의 pH와 타액의 완충력으로부터 얻어진 결과는 상호연관이 있었다. 치아우식집단에서, 타액의 pH 결과치는 약산성(5.90 - 6.50)이었고, 타액의 완충력 역시 매우 낮았다(0.7ml 이하). 한편, 대조표본 집단에서, 타액의 pH는 중성(pH 7.01 - 7.7)이었고 타액 완충력은 높았다(1ml 이상). CRT-bacteria 시험법으로부터 얻은 타액 1 ml내($10^5$ CFU 이상)의 S. mutans와 Lactobacillus spp.의 증가된 수는 타액의 산성과 약산성 pH의 결과처럼 치아우식위험을 증가시켰다. 따라서, 타액 pH법과 완충력 측정법은 치아우식 위험을 예측 할 수 있으며, 치아우식 예방을 위해 유용한 측정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유산균 발효에 의한 갈근탕의 특성변화 분석 (Characteristic Changes of Galgeuntang Fermen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 이영경;김미현;이영철;노정해;마진열;조장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655-658
    • /
    • 2011
  • 갈근탕을 이용한 유산균 발효에 적합한 균주를 선발하기 위하여 3종의 Lactobacillus균을 이용하여 발효시킨 갈근탕의 특성을 분석해 본 결과, 발효에 의한 유기산의 생성으로 3종의 발효 갈근탕 모두 pH가 3.8 이하로 저하되었다. 또한 각 Lactobacillus들에 의한 갈근탕의 지표물질 중 하나인 isoflavone 배당체 daidzin의 비배당화 활성을 평가한 결과 L. plantarum KFRI 144균주가 89.9%의 가수분해율을 보여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L. plantarum KFRI 144균주는 갈근탕 약효성분의 생체이용률을 높일 수 있는 기능성 발효 갈근탕 제조의 starter 균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김치에 서식하는 Gram 양성세균의 분리 및 동정의 재평가 (Reevaluation of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Gram-positive Bacteria in Kimchi)

  • 임종락;박현근;한홍의
    • 미생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04-414
    • /
    • 1989
  • 김치발효 중 Gram 양성세균 또는 유산균의 분리와 동정을 시도하였다. 종의 다양성은 분리배지와 온도에 영양을 받았고, 다양성은 온도가 낮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MRS는 세균의 분리에 KM(김치재료로 만든 자연배지)은 종의 수를 파악 하는데 각각 적합하였다. 분리균의 동정은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ogy (1986)를 기초로 하여 작성한 이 분농생표(dichotomous Identification scheme)에 의하여 선행하였다. 각 온도(5, 15, $25^{\circ}C$)에서 동정된 Gram 양성세균은 Leuconostoc 5종, Streptococcus 4종, Pediococcus 3종, Bacillus 2종 그리고 Ltobacillms 18종이였다. 각 온도에서 출현 빈도가 높은 종은 $25^{\circ}C$에서 LactobaIlus ptantanmz, Streptococcµs faffinolactis, Leuconostoc maιnteroid, subsp mlsentιroides 이었고, $15^{\circ}C$에서 L. mesenteroides Lactobacillus fructosus, L. maen teroid,l.I subsp. mesent,roid, 이였고, $5^{\circ}C$ 에서 Leuconostoc sp.(65.2 빈도)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그리고 각 온도에 따른 김치발효 중 지금까지 알려진 Pediococcus cerevisiae 와 Streptococcus faecalis는 분리되지 않았다.

  • PDF

Bifidobacterium longum과 자일로올리고당을 포함한 synbiotics 섭취가 건강한 성인의 변내 균총과 배변 상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dministration of synbiotics mixture containing Bifidobacterium longum and xylooligosaccharide on fecal microbiota and defecation characteristics in healthy volunteers)

  • 이정숙;박형섭;경명옥;조성은;장문정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3권4호
    • /
    • pp.390-405
    • /
    • 2020
  • 본 연구는 probiotics와 prebiotics로 구성된 synbiotics 섭취가 건강한 성인의 배변 활동 및 변내 균총의 개선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고, probiotics 섭취 중단 후에도 prebiotics인 XOS 섭취가 장내 유익균총의 유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XOS의 건강기능성 확인을 위한 근거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 BL2XO6군과 BL2XO2군의 체위 자료는 두 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변내 pH는 시료 섭취 전 두 군 모두 7.0이하로 약 산성이었으나, 시료 섭취 1주차 BL2XO6군에서 pH 7.16으로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2주차 이후는 pH 7.0 이하의 값을 보여 시료 섭취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변내 균총의 변화를 보면 BL2XO6군의 경우 Clostridium spp. 은 시료 섭취 후 변 내 균 수가 감소하는 양상을 보인 반면, Bifidobacterium spp.은 시료 섭취 후 서서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여 4주차에 시료 섭취 전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이외 주차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B. longum은 모든 주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서서히 증가하는 추이를 보였다. BL2XO2군의 경우 시료 섭취 후 Lactobacillus spp.과 B. longum은 synbiotics 섭취 1주에만 증가하는 추이를 보였다. 각 주차별로 변 내 균총의 변화율에서 군별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인 균총은 Clostridium spp.와 Lactobacillus spp.이었다. 즉, Clostridium spp.은 2주차에서, Lactobacillus spp.는 4주차에서 BL2XO6군과 BL2XO2군 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시료 섭취 전·후 Bacteroidetes와 Firmicutes의 비율은 두 군 모두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료 섭취 전·후의 변의 양, 변의 상태 및 배변 횟수, 복통 및 CSS점수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군에 따른 차이 역시 존재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synbiotics 섭취 후 prebiotics만을 섭취할지라도 장내 균총의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을 뿐만이 아니라 정상적인 배변 활동을 유지하고 있어 synbiotics 섭취 후 prebiotics로 XOS 섭취는 자일로올리고당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B. longum을 장내에서 지속적으로 증식할 수 있도록 도와 장내 균총을 개선하는 효과와 정상적인 배변활동을 통한 장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요구르트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들의 담즙산염 분해 능력 (Bile Salt Deconjugation Activity of Lactobacillus Strains Isolated from Yogurt Products)

  • 김근배;이재환;임광세;허철성;배형석;백영진;김현욱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385-390
    • /
    • 1999
  • To investigate bile salt hydrolase activities of the bacterial strains isolated from fermented milk products, 21 strains of Lactobacillus were tested for their abilities to produced cholic acid from taurocholic and glycocholic acids. The production of cholic acid was measured by HPLC analysis during the growth in broth media for 24hrs. All strains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and L. plantarum deconjugated both taurocholate and glycocholate, whereas none strains of L. delbrueckii subsp. bulgaricus, L. casei subsp. casei, L. casei subsp. rhamnosus, L, reuteri did. L. acidophilus stains isolated from yogurts had the higher decojugation activities on glycocholate than taurocholate, however, L. acidophilus 1009 isolated from the human intestine showed the similar deconjugation activities on both taurocholate and glycocholate.

  • PDF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a Traditional Jeotgal Product in Korea

  • Cho, Gyu-Sung;Do, Hyung-Ki
    • Ocean Science Journal
    • /
    • 제41권2호
    • /
    • pp.113-119
    • /
    • 2006
  • Seventeen lactic acid bacterial strains (LAB) were isolated using MRS agar medium from Jeotgal, a Korean fermented food, purchased at the Jukdo market of Pohang. To identify the strains isolated, they were tested by examining their cell morphologies, gram-staining, catalase activity, arginine hydrolase activity, D-L lactate form and carbohydrate fermentation. According to the phenotypic characteristics, three strains were tentatively identified as Lactobacillus spp., ten were Enterococcus spp. (or Streptococcus spp., or Pediococcus spp.) and the rest were Leuconostoc spp. (or Weissella spp.). Five strains among 17 were chosen by preliminary bacteriocin activity test. Four bacterial strains which inhibited both indicator microorganisms were identified by 16S rRNA sequenc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Leuconostoc mesenteroides (HK 4), Leuconostoc mesenteroides (HK 5), Leuconostoc mesenteroides(HK 11), Streptococcus salivarius(HK 8). In order to check LAB which are showing a high survival rate in gut, we investigated three strains inhibiting both indicator microorganisms in artificial gastric acid and bile juice -all except HK8. The three strains mentioned above grew in extreme low acid condi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