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ctobacillus sp.

검색결과 264건 처리시간 0.03초

반추동물용 활성제로서 Lactobacillus sp. FFy111-1이 생산한 Lactate Dehydrogenase의 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Lactate Dehydrogenase Produced from Lactobacillus sp. FFy111-1 as a Ruminant Probiotic)

  • 성하균;김동균;배희동;신형태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4호
    • /
    • pp.625-634
    • /
    • 2004
  • 본 연구는 미생물 유래 lactate dehydrogenase(LDH)를 이용하여 반추위내에 lactate 축적을 예바하기 위한 기능성 검증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미생물의 효소활성에 영향을 주는 많은 반추위내 요인들 중 대표적인 것들 즉, 온도, pH, 휘발성지방산(VFAs) 그리고 금속이온들이 Lactobacillus sp. FFy111-1의 LDH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과, 반추위액내 축적된 lactate에 대한 LDH 작용을 평가하였다. Lactobacillus sp. FFy111-1의 LDH는 각각 pH 7.5와 40$^{\circ}C$에서 가장 좋은 효소 활력을 보였다. 온도 안정성은 30$^{\circ}C$에서 가장 좋게 나타났으며 30${\sim}$50$^{\circ}C$의 온도 범위에서는 80% 이상의 활성을 유지하였다. 그리고 pH 안정성은 pH 7.0과 8.0에서 모두 가장 좋은 결과를 나타냈으며 pH 6.1과 6.5에서 64% 이상의 효소활성을 유지하였다. VFAs와 금속이온이 LDH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을 때, VFAs 처리는 LDH 효소활성을 억제하였으나, NaCl과 $CuSO_4$를 제외한 금속 이온 처리에서는 LDH 효소활성이 증가되었다. 특히 2mM $BaCl_2$$MgSO_4$로 처리 하였을 때 가각 비처리 효소활성의 127과 124% 수준까지 효소활성이 증진되었다. 반추위액내 축적된 lactate에 대한 LDH 작용을 보기 위하여 Lactobacillus sp. FFy111-1의 효소를 산중독 반추위액에 처리하였을 때 lactate의 농도가 무처리 반추위액내 lactate 농도의 78% 수준으로 감소하였다(P<0.05). 이와 같은 lactate 감소는 LDH의 작용에 의해 나타난 현상으로 정제된 D,L-LDH를 첨가한 실험결과(34% lactate)에서 입증되었다(P<0.05). 이상의 연구 결과들을 고려하여 볼 때 미생물이 생성한 LDH는 반추위내 축적된 lactate를 감소시킬 수 있는 충분한 가능성을 갖고 있다고 사료된다. 또한 더 좋은 미생물의 발굴과 반추위 환경에서 LDH 활성을 높이기 위한 기술개발이 LDH 효소의 실제적 응용을 위하여 필수적이다.

김치의 숙성 및 보존 기간 연장을 위한 키토산올리고당의 응용 (The Investigation of Chitosanoligosaccharide for Prolongating Fermentation Period of Kimchi)

  • 최명락;유은정;임현수;김진만;송상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869-874
    • /
    • 1998
  • The effect of chitosanoligosaccharide(CTO) on kimchi fermentation was investigated to see the optimal CTO concentration adding into Kimchi. Lactobacillus plantarum and Leuconostoc mesenteroides were cultured in flasks under the condition of various CTO concentrations. In the case of Lactobacillus plantarium, the growth was inhibited in the degree with 52, 79 and 100% at the concentration of 0.005, 0.007, 0.05% CTO after 14 hours culture, respectively. The growth of Leuconostoc mesenteroides was significantly inhibited in the degree with 7,33 and 90% at the concentration of 0.002, 0.003 and 0.004% CTO after the culture, respectively. Kimchi was formulated with variious CTO concentrations(0.005~0.2%) and fermented at 2$0^{\circ}C$ during 12 days. The fermentation periods were increased 2~6 times more than that of control(0% CTO). Also, off-flavour by adding CTO was insignificant in all the kimchi samples.

  • PDF

Preliminary Data on the Ratio of D(-)-Lactate and L(+)-Lactate Levels in Various Lactic Acid Bacteria as Evaluated using an Enzymatic Method

  • Song, Kwang-Young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40권1호
    • /
    • pp.15-22
    • /
    • 2022
  • This study evaluated the levels of D(-)-lactate and L(+)-lactate, and the ratio of D(-)-lactate to total lactate (D(-)-lactate + L(+)-lactate) of 15 lactic acid bacteria (LAB) using an enzymatic method. D(-)-lactate and L(+)-lactate levels in the LAB ranged from 0.31 to 13.9 mM and 0.76 to 39.3 mM, respectively, in Bifidobacterium sp.; 1.08 to 11.7 mM and 0.69-13.0 mM in Lactobacillus sp.; 0.72 to 20.3 mM and 0.98 to 32.3 mM in Leuconostoc sp., and 33.0 mM and 39.2 mM in Pediococcus acidilacti KCCM 11747. The ratio of the range of D(-)-lactic acid to total lactic acid was 28.98%-45.76% in Bifidobacterium sp., 41.18%-61.02% in Lactobacillus sp., 29.85%-42.36% in Leuconostoc sp., and 45.71% in P. acidilacti KCCM 11747. In the future, there is a need to test for D(-)-lactate in various fermented products to which different LAB have been added and study the screening of LAB used as probiotics that produce various concentrations of D(-)-lactate.

유산균과 효모균 배양액 함유 액비 시용이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iquid Fertilizer Contained Medium of Lactobacillus sp. and Saccharomyces sp. on Growth of Creeping Bentgrass)

  • 김영선;함선규;이상진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38-144
    • /
    • 2010
  • 본연구는효모균(Saccharomyces sp.)과유산균(Lactobacillus sp.)을 포함하는 미생물배양액에 기능성성분이 포함하는 기능성비료의 시비가 크리핑벤트그래스의 잔디품질과 생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처리구는 비료의 종류에 따라 무처리구(NF), 대조구(CF), 미생물배양액(MO; CF+MO),철 함유 미생물배양액(MO-Fe; CF+MO-Fe), 그리고 황함유 미생물배양액(MO-S; CF+MO-S)였다. 시험 전후 토양분석결과, pH는 시험 후에 전보다 모든 처리구에서 약간 증가하였고, 시험 종료 후 처리구간의 토양화학성은 비슷하여 공시비료의 시비는 토양환경에 거의영향을 미치지않았다. 잔디생육 조사결과, 엽색지수와 엽록소지수는 무처리구와 비교할 때, 관행구와 처리구에서 높았고, 관행구와 처리구들 사이에는 조사시기별 변화경향은 비슷하나 MO처리구에서 약간 높게 나타났다. 잔디뿌리는 MO와 MO-Fe에서 더 길었다. 잔디의 지상부와 지하부 생육을 조사결과, 지상부에서는 MO와 MO-S가, 지하부에서는 MO와 MO-S가 관행구보다 높았으며, MO처리가 NF와 CF보다 각각 26%와 6%증가하여 MO처리가 잔디생육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T/R ratio는 모두 무처리구보다 증가였으나 처리구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잔디 지상부 지하부의 무기성분함량을 CF와 비교할 때, 지상부에서는 CF보다 MO, MO-Fe 및 MO-S 처리구에서 질소와 인 함량 증가하였고, 지하부에서는 인 함량이 증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 유산균과 효모균의 처리는 크리핑벤트그래스의 뿌리생육과 양분흡수를 촉진하여 잔디품질과 성장을 향상시키는 잔디성장촉진 기능이 있는 비료임을 알 수 있었다.

Isoflavone 비배당화 및 항산화 활성을 지닌 Lactobacillus plantarum YS712의 선발 (Isolation and Partial Characterization of Isoflavone Transforming Lactobacillus plantarum YS712 for Potential Probiotic Use)

  • 조윤희;임지영;김화영;홍성길;황성주;박동준;오세종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640-646
    • /
    • 2009
  • 발효유제품, 김치, 및 신생아 분변 등에서 유산균을 분리하여 isoflavone 전환 능력을 평가하였다. 유산균 중 높은 수준의 $\beta$-glucosidase 활성을 보인 균주는 Enterococcus sp. 77, L. paracasei, Lactobacillus sp. 712, L. brevis ATCC 8287, Lactococcus sp. KU107, L. acidophilus KCNU, L. plantarum L155 등으로 나타났다. 이들 유산균에 대하여 유당 발효성을 평가하여 가장 우수한 유산균을 선발하여 API, 16S rDNA를 분석한 결과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동정되었으며 이 활성 유산균을 Lactobacillus plantarum YS712로 명명하였다. Lactobacillus plantarum YS712는 pH 2.5에서도 약 50% 이상의 강한 생존율을 보였으며 DPPH 라디칼 소거능도 95.8%로, 선발된 유산균 중 가장 높은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이로써 Lactobacillus plantarum YS712는 발효식품 및 유제품에 다양하게 이용할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쑥 추출물의 포도상구균과 질 유산균에 대한 선택적 저해효과 (Differential Inhibitory Effect of Artemisia Extract between Staphylococcus aureus and vaginal Lactobacillus spp)

  • 정현수;차민경;권윤정;소재성
    • KSBB Journal
    • /
    • 제20권3호
    • /
    • pp.228-232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민속약이나 한방의 약재로 널리 사용되어 온 참쑥 (Artemisia mongolica fishcher)으로부터 추출한 쑥 추출물이 포도상구균 (Staphylococcu aurues)과 유산균 (Lactobacillus spp.)에 대해 선택적 저해 효과를 갖는지 조사하였다. 우선 항균 활성 실험을 통해 포도상구균을 저해하는 우수한 항균력을 가진 유산균 7균주를 선별하였다. 그리고 쑥을 추출한 용매의 종류, 농도 그리고 추출시간을 달리하여 쑥 추출물의 최적 농도 조건을 결정하였다. 생존율을 측정하기 위해 배양액에 각각 3일 동안 용매 $100\%$ (아세톤, 에탄올, 메탄올)로 추출한 쑥 추출물을 $17\%$ 첨가하였고, 이때 항균 활성 있는 유산균 KLB 224은 배양 48시간까지 생존하였다. 그러나 포도상구균은 동일한 조건에서 모두 사멸되었다. 또한 주사전자현미경 관찰을 통해 쑥 추출물이 세포 형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포도상구균은 세포 형태가 심하게 손상되었지만 유산균은 저해를 받지 않고 세포형태를 유지함을 관찰하였다.

의약용 프로바이오틱 비스판균의 미생물학적 동정 (Microbiological Identification of Medical Probiotic Bisspan Strain)

  • 전경동;이광호;김원석;백현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24-127
    • /
    • 2000
  • Beneficial bacteria, which have been used for medical purpose and for medicines for treating intestinal disorders, include strains of Bifidobacterium sp., Lactobacillus sp., Enterococcus sp., Clostridium butyricum, Lactobacillus sporogenes, Bacillus subtilis, Bacillus polyfermenticus and the like. Bacillus polyfermenticuss SCD with is commonly called as Bispan strain has been appropriately used for the treatment of long-term intestinal disorders, since the live strains in the form of active endospores can successfully reach the target intestine. In this study, the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ispan strain was done using SEM observation, API 50CHB kits, isoprenoid quinone analysis, and fatty acid analysis. These results suggest that Bispan strain is very similar to Bacillus subtilis.

  • PDF

동치미 유래 생균제로서 가능성이 있는 Lactobacillus sp. FF-3의 분리와 특성

  • 박진철;옥민;조영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제23차 추계총회 및 국제학술심포지움
    • /
    • pp.201.1-201
    • /
    • 2003
  • 생균제로서 가능성 있는 유산균의 선별을 위해 발효식품인 동치미로부터 분리된 균주들의 내산성, 내담즙성, 내췌장액성 및 유해균 억제능을 조사하였다. 특히 분리된 균종 중에서 FF-3가 인공위액과 담즙산에 대한 높은 내성을 나타내었을 뿐만 아니라, Salmonella sp. 과 Escherichia coli에 대하여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FF-3유래 박테리오신은 그람양성 및 음성 세균에서 넓은 항균 범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최종선별된 FF-3 균주를 16s rDNA sequence 동정한 결과 Lactobacillus sp.으로 확인되어 FF-3으로 명명하였다.

  • PDF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Novel Lactic Acid Bacterium for the Production of Lactic Acid

  • Wee, Young-Jung;Yun, Jong-Sun;Park, Don-Hee;Ryu, Hwa-Won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9권4호
    • /
    • pp.303-308
    • /
    • 2004
  • We isolated a novel lactic acid bacterium from a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 soybean paste. The newly isolated strain, dubbed RKY2, grew well on glucose, sucrose, galactose, and fructose, but it could not utilize xylose, starch, or glycerol. When the partially amplified 16S rDNA sequence (772 bp) of the strain RKY2 was compared with 10 reference strains, it was found to be most similar to Lactobacillus pentosus JCM $1588^T$, with 99.74% similarity. There-fore, the strain RKY2 was renamed Lactobacillus sp. RKY2, which has been deposited in the 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s as KCTC 10353BP. Lactobacillus sp. RKY2 was found to be a homofermentative lactic acid bacterium, because its end-product from glucose metabolism was found to be mainly lactic acid. It could produce more than 90 g/L of lactic acid from MRS medium supplemented with 100 g/L of glucose, with 5.2 g $L^-1$ $h^-1$ of productivity and 0.95 g/g of lactic acid yield.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the Lactate Dehydrogenase Genes from Lactobacillus sp. RKY2

  • Lee, Jin-Ha;Choi, Mi-Hwa;Park, Ji-Young;Kang, Hee-Kyoung;Ryu, Hwa-Won;Sunwo, Chang-Sin;Wee, Young-Jung;Park, Ki-Deok;Kim, Do-Won;Kim, Do-Man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9권4호
    • /
    • pp.318-322
    • /
    • 2004
  • Lactic acid is an environmentally benign organic acid that could be used as a raw material for biodegradable plastics if it can be inexpensively produced by fermentation. Two genes (ldhL and ldhD) encoding the L-(+) and D-(-) lactate dehydrogenases (L-LDH and D-LDH) were cloned from Lactobacillus sp., RKY2, which is a lactic acid hyper-producing bacterium isolated from Kimchi. Open reading frames of ldhL for and ldhD for the L and D-LDH genes were 962 and 998 bp, respectively. Both the L(+)- and D(-)-LDH proteins showed the highest degree of homology with the L- and D-lactate dehydrogenase genes of Lactobacillus plantarum. The conserved residues in the catalytic activity and substrate binding of both LDHs were identified in both enzy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