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ctobacillus sp.

검색결과 264건 처리시간 0.034초

동치미 유래 생균제로서 가능성이 있는 Lactobacillus sp. FF-3의 분리와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actobacillus sp. FF-3 for Probiotics Production from Korean Dongchimi.)

  • 정원복;서원석;차재영;조영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406-410
    • /
    • 2003
  • 생균제로서 가능성 있는 유산균의 선별을 위해 발효식품인 동치미로부터 분리된 균주들의 내산성, 내담즙성, 내췌장 액성 및 유해균 억제능을 조사하였다. 특히 분리된 균종 중에서 FF-3가 인공위액과 담즙산에 대한 높은 내성을 나타내었을 뿐만 아니라, Salmonella sp. 과 Escherichia coli에 대하여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FF-3유래 박테리오신은 그람 양성 및 음성 세균에서 넓은 항균 범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최종선별된 FF-3 균주를 16s rDNA sequence 동정한 결과 Lactobacillus sp.으로 확인되어 FF-3으로 명명하였다.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Lactobacillus bulgaricus SP5의 항균활성 (Antibacterial Activity by Lactobacillus bulgaricus SP5 against Pathogenic Bacteria)

  • 김완섭;양아름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497-510
    • /
    • 2016
  • 본 연구는 Lactobacillus bulgaricus SP5 분비물의 항균물질 탐색과 특성을 조사하고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억제효과를 얻고자 실시하였다. L. bulgaricus로부터 얻어진 상징액에 대한 항균활성은 시험에 이용된 모든 병원성 미생물인 E. coli 11234, Salmonella. enteritidis 3313, S. enteritidis 12021, 그리고 S. typhimurium 40253에 대해서 항균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징액 중의 황균활성 성분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양한 pH 조정과 열처리 후,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상징액의 열처리 후, 병원성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은 비열처리와 같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나, 상징액의 pH를 4.6에서 중성이상으로의 변화는 항균활성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따라서 상징액의 항균활성은 pH 변화에 대해서 불안정하였으나, 열에 대해서는 매우 안정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상징액의 병원성균에 대한 항균작용은 박테리오신 같은 peptide 보다는 lactic, acetic, phosphoric, succinic, pyroglutamic, citric, malic, 그리고 formic acid 등 다양한 유기산의 작용에 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Lactebacillus sp. GM7311이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의 Gram 음성균에 대한 작용형태 (Mode of Action of the Bacteriocan from Lactobacillus sp. GM7311 against Gram Negative Bacteria)

  • 강지희;이명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39-143
    • /
    • 1999
  • Lactobacillus sp. GM7311이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의 작용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배양이 진행 중인 세 가지 시험균주의 TSB 배양액에 일정한 시간 간격별로 최종 농도 100 BU/ml가 되도록 박테리오신을 첨가한 후 그 균수 변화와 작용 특성을 살펴보았다. 시험 균주의 증식 시기별로 박테리오신을 첨가한 경우 Proteus mirabilis의 경우는 대수증식기 중기 이전까지의 지시균에 대해서 강한 억제작용을 보이는 반면, Vibrio parahaernolricus와 Escherichia coli는 첨가 시기 모두에서 급격한 균수 감소를 보였으며 다만 정지기에 있어서는 저해 효과가 적었다. 또한 박테리오신을 처리한 세 가지 시험 균주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했을 때, Lactobacillus sp. GM7311이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은 시험 균주의 세포벽 파괴와 함께 세포 내용물을 유출시키는 bacteriolytic action 형태를 보였다. 증식 시기별로 박테리오신을 첨가하여 각 균주별로 가장 큰 영향을 받은 증식시기를 선택해서 박테리오신을 처리한 후, 아미노산 및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여 박테리오신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와 비교하였다. 이 실험에서 아미노산의 경우는 세 균주 모두에서 대부분의 성분이 크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지방산은 크게 감소하는 성분은 없었지만 각 성분들의 함량이 대체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변화를 나타내었다.

  • PDF

Characterization of Selected Lactobacillus Strains for Use as Probiotics

  • Song, Minyu;Yun, Bohyun;Moon, Jae-Hak;Park, Dong-June;Lim, Kwangsei;Oh, Sejo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551-556
    • /
    • 2015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lactic acid bacteria from various sources and to identify strains for use as probiotics. Ten Lactobacillus strains were selected and their properties such as bile tolerance, acid resistance, cholesterol assimilation activity, and adherence to HT-29 cells were assessed to determine their potential as probiotics. Lactobacillus sp. JNU 8829, L. casei MB3, L. sakei MA9, L. sakei CH8, and L. acidophilus M23 were found to show full tolerance to the 0.3% bile acid. All strains without L. acidophilus M23 were the most acid-tolerant strains. After incubating the strains at pH 2.5 for 2 h, their viability decreased by 3 Log cells. Some strains survived at pH 2.5 in the presence of pepsin and 0.3% bile acid. Lactobacillus sp. JNU 8829, L. acidophilus KU41, L. acidophilus M23, L. fermentum NS2, L. plantarum M13, and L. plantarum NS3 were found to reduce cholesterol levels by >50% in vitro. In the adhesion assay, Lactobacillus sp. JNU 8829, L. casei MB3, L. sakei MA9, and L. sakei CH8 showed higher adhesion activities after 2 h of co-incubation with the intestinal cells. The results of this comprehensive analysis shows that this new probiotic strain named, Lactobacillus sp. JNU 8829 could be a promising candidate for dairy products.

담즙산 분해능이 뛰어난 젖산균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Lactic Bacteria Containing Superior Activity of the Bile Salts Deconjugation)

  • 하철규;조진국;채영규;허강칠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64-170
    • /
    • 2004
  • 건강한 성인의 분변으로부터 담즙산 분해능이 우수한 젖산균의 분리를 위하여 무작위 선별법과 도말법을 사용하여 층 120주의 젖산균을 1차 분리하였고, 그중 5종의 젖산균을 최종 선발하였다. 유용한 젖산균이 갖추어야할 중요한 성질인 내산성, 내담즙산성, 대장균 저해능을 시험한 결과 Lactobacillus sp. CK 102이 가장 우수한 균주로 나타났다. Lactobacillus sp. CK 102 균주는 pH 2.0에서 68% 이상의 내성과 1.0% 담즙산이 함유된 배지에서 90%이상의 내성을 나타냈으며 MRS 배지에서 대장균과 혼합 배양시 18시간 이내에 대장균을 100% 사멸시켰다. 젖산균제로써 기능이 가장 우수한 균주인 Lactobacillus sp. CK 102를 API kit와 16S rRNA sequencing 방법을 사용하여 동정한 결과 Lactobacillus platarum 으로 밝혀졌다. 이상의 결과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sp. CK 102는 생균제로서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Lactobacillus sp. Oh-B3로부터 생산되는 박테리오신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Bacteriocin from Lactobacillus sp. Oh-B3.)

  • 김동섭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84-188
    • /
    • 2002
  • Lactobacillus sake는 냉장온도(2-4 ℃)이하에서도 성장이 가능한 통성혐기성균으로서, sausage와 진공포장육의 제조에 관여하며, 동양에서는 청주의 발효와 김치의 숙성에도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L. sake는 이들 식품의 제조시 과도한 발효의 진행으로 식품을 변질시켜 가치를 저하시키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L. sake의 생육을 효과적으로 저지하는 박테리오신을 생산하는 미생물을 김치로부터 분리하여 Lactobacillus sp. Oh-B3로 명명하였다. 최대의 박테리오신을 생산하기 위한 분리균의 배양조건은 초기 pH를 8.0으로 조절한 MRS배지에 접종하여 25℃에서 24시간동안 배양했을 때 최대의 박테리오신을 생산하였다. 분리균의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균체를 제거한 상등액에 ammonium sulfate를 첨가한 뒤, 얻어진 침전물을 투석하고 여과한 뒤, -20℃에 보관하며 조박테리오신 용액으로 사용하였다. 분리균이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은 pH 2.0-9.0의 넓은 범위에서 비교적 안정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그람음성균에 대해서는 항균활성을 보이지 않았고 일부 그람양성균에 대해서만 활성을 나타내었다. 조박테리오신 용액에 각각의 단백질 분해효소를 처리한 후 박테리오신의 잔존활성을 측정한 결과 분리균이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은 대부분의 단백질분해효소에 의해 활성이 제거되었다. 그리고 조박테리오신 용액을 열처리를 한 뒤 잔존활성을 측정한 결과 분리균이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은 100℃에서도 매우 안정하였으며, autoclave를 하여도 50% 이상의 활성이 유지되었다. 일반적인 박테리오신과 마찬가지로 분리균이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은 bacteriocidal action을 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동물 사료화를 위한 음식물 쓰레기의 미생물 분포 변화 (Changes of Microbiological Distribution in Food Waste for Animal Feed)

  • 김판경;박승춘;김명희;오태광;손천배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56-161
    • /
    • 1998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icrobiological changes and distribution of bacteria producing enzyme in order to change food wastes to animal feed during 6 days at room temperature. Food wastes were divided as follows: one is untreated food wastes containing 80% water content and another wastes containing 40% water content adiusted by wheat bran. During the fermentation of food wastes, Lactobacillus sp. and Streptococcus sp. were grown the top position among investigated microorganisms in both of food wastes. Numbers of total microorganisms were much more than untreated wastes during fermentation of flood wastes with 40% water content. But, Streptococcus sp. and Enterobacteriaceae from 4 to 6 days were not detected in treated wastes with 40% water contents. This fact indicated that the adiustment of water content in food waste was effective in fermentation. However, the numbers of microorganisms producing pretense were low in both treated and untreated food waste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flood wastes should be treated as food wastes with 40% water content to maintain a lot of fermentative microorganisms such as Lactobacillus sp., Streptococcus sp. and yeasts together with pretense to make final animal feed.

  • PDF

Kefir로부터 분리한 Lactobacillus rhamnosus의 Probiotic 특성 (Probiotic Characteristics of Lactobacillus rhamnosus Isolated from Kefir)

  • 유숙진;조진국;황성구;허강칠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57-364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Kefir를 $0.02\%\;NaN_3$를 포함하는 MRS agar에 도말하여 1차적으로 Lactobacillus sp.를 선발하였고, 그 중 가장 우수한 균을 최종 분리하였다. 분리된 유산균은 API kit를 이용한 당 발효성 및 생화학적 시험을 토대로 Lactobacillus rhamnosus에 $99.5\%$의 상동성을 가진 유산균종으로 동정되었다. Lactobacillus rhamnosus는 amylase와 xylanase 비활성이 0.673과 $0.288\;{\mu}mole/min/mg$으로 비교적 높은 활성을 보였다. pH 2에서 $65\%$ 이상의 강한 생존률을 나타냈고 $1.0\%$ 담즙산에서도 $72\%$가 생존하는 내성을 나타냈다. $60^{\circ}C$에서도 Lactobacillus rhamnosus는 강한 열 안정성을 나타내 대조구인 Lactobacillus acidophilus보다 100배 이상의 생존률을 보였다. 또한 Lactobacillus rhamnosus는 대장균에 첨가하여 혼합배양시 18시간 이내에 대장균을 $100\%$ 사멸시켜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냈다. Lactobacillus rhamnosus는 100ppm CTC, 50ppm OTC, 150ppm Lincomycin, 200ppm Tylosin에서는 생장이 억제되나 기타의 9가지의 항생제에 대하여는 강한 내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새로 분리한 Lactobacillus rhamnosus는 소화에 관련한 효소 활성이 높고 내산성 및 내담즙산성, 열 안정성이 우수하며 높은 항균 활성을 함유하여 식품용 probiotics로 충분한 활용 가치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감마선 조사된 저염 오징어젓갈 발효의 미생물균총 특성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Gamma Irradiated and Low-Salted Fermented Squid)

  • 김동호;김재훈;육홍선;안현주;김정옥;손천배;변명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619-1627
    • /
    • 1999
  • 염 농도와 감마선 조사 선량을 달리한 오징어젓갈의 미생물 균총 변화를 살펴보았다. 총균, Lactobacillus spp., Staphylococcus spp.는 발효기간에 따라 지속적으로 생장하여 발효 40일째에 염도 5%와 10%에서는 $10^8\;CFU/mL$까지, 염도 20%에서는 $10^7\;CFU/mL$까지 생장하였으며 5 kGy 이상 감마선 조사구는 초기 균수 감소로 발효 후기의 미생물 밀도가 낮아졌다. 염도가 증가할수록 감마선 조사가 미생물 생장에 미치는 영향이 컸으며, 감마선 조사에 의한 오징어젓갈 관련 발효 미생물의 생장억제는 염도 10%에 10 kGy의 감마선 조사 조건이 적합하였다. 발효미생물의 동정 결과, L. plantarum이 전 실험구에 걸쳐 가장 일반적인 발효균으로 분리되었으며 Lactobacillus sp. 2, Mic. varians, Streptococcus sp. 1 등은 염도 5%의 실험구에만, Mic. morrhuae 등은 20%의 염농도에서만 분리되어 염도에 따른 microflora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L. brevis, Ped. halophilus, Pse. diminuta 등은 방사선 감수성이 큰 미생물군이었으며, L. plantarum, Mic. morrhuae, Pseudomonas sp. 3 등은 방사선에 대한 저항성이 높았다. 전체적으로 보아 염도 20% 실험구에서의 분리 미생물이 15종으로 가장 다양한 분포를 보였으며 염도가 낮아질수록, 감마선 조사선량이 높아질수록 종의 다양성은 낮았다.

  • PDF

부추김치와 배추김치 발효양상 (Fermentation Patterns of Leek Kimchi and Chinese Cabbage Kimchi)

  • 안순철;김태강;이헌주;오윤정;이정숙
    • 미생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34-238
    • /
    • 2001
  • 배추김치와 부추김치의 발효양상을 비교하기 위해 $20^{\circ}C$$10^{\circ}C$로 나누어 발효과정 중의 총 균수, 젖산균 수, pH 및 총 당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20^{\circ}C$에서 발효한 배추김치의 경우 총 균수와 Leuconastoc속과 Lactobacillus속 젖산균 모두 발효 초기인 2일째에 최대에 도달하다가 그 이후에는 점점 감소하였다. 그러나 $20^{\circ}C$에서 발효한 부추김치의 경우에는 Leucanostoc속은 발효 3일째에 최대에 도달한 후 점차 감소하였지만 Lactobacillus속은 발효 15일 이후까지 그 균수가 유지되었다. $10^{\circ}C$에서 발효한 경우에는 배추김치, 부추김치 모두 $20^{\circ}C$에서 발효한 경우보다 Leuconostoc속과 Lactobacillus 속의 균수가 서서히 중가하다가 감소하였다. pH 변화는 배추김치 경우에는 3일 후에 적숙기 김치의 pH인 4.2 부근에 도달한 후 발효 5일째에 3.5 까지 낮아져 그 후에도 계속 유지되었으나 부추김치의 경우에는 발효 10일째까지 적숙기 김치의 pH인 4.2 이상으로 유지되었다. $10^{\circ}C$의 경우 배추김치는 6일 후 pH 4.2 정도였으나 부추김치는 24일 후에도 pH 4.2 이상으로 유지하였다. 발효 기간에 따른 총 환원당의 함량은 배추김치와 부추김치 모두에서 발효초기부터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계속적으로 감소하였지만 $10^{\circ}C$에서 발효한 부추김치의 경우에는 감소정도가 매우 완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부추김치가 배추김치보다 젖산균의 종식이 더디어 배추김치에 비해 발효가 서서히 진행됨을 알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