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ctobacillus plantarum

검색결과 800건 처리시간 0.033초

Triglyceride-Lowering Effects of Two Probiotics, Lactobacillus plantarum KY1032 and Lactobacillus curvatus HY7601, in a Rat Model of High-Fat Diet-Induced Hypertriglyceridemia

  • Choi, Il-Dong;Kim, Sung-Hwan;Jeong, Ji-Woong;Lee, Dong Eun;Huh, Chul-Sung;Hong, Seong Soo;Sim, Jae-Hun;Ahn, Young-Ta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6권3호
    • /
    • pp.483-487
    • /
    • 2016
  • The triglyceride-lowering effect of probiotics Lactobacillus plantarum KY1032 and Lactobacillus curvatus HY7601 were investigated. Male SD Wistar ra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ree groups and fed high-fat diet (HFD), HFD and probiotics (5 × 109 CFU/day of L. plantarum KY1032 and 5 × 109 CFU/day of L. curvatus HY7601), or normal diet for 6 weeks. Probiotic treatment significantly lowered the elevated plasma triglyceride and increased plasma free fatty acid, glycerol, and plasma apolipoprotein A-V (ApoA-V) levels. The probiotic-treated group showed elevated hepatic mRNA expression of PPARα, bile acid receptor (FXR), and ApoA-V.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L. plantarum KY1032 and L. curvatus HY7601 lower triglycerides in hypertriglyceridemic rats by upregulating ApoA-V, PPARα, and FXR.

고초균과 유산균의 혼합배양에 의한 두유 요구르트의 발효 특성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Soybean Yogurt by Mixed Culture of Bacillus sp. and Lactic Acid Bacteria)

  • 양밍;곽정순;장세리;찌아위엔;박인식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73-27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단백질이 풍부한 원료 콩에 청국장에서 분리한 Bacillus subtilis와 김치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plantarum을 이용한 혼합발효를 통해 대두 발효 제품의 개발을 목표로 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분석 결과를 얻었다. 우수 균주 선별을 위한 연구로 고초균의 경우 단백질 분해능이 높은 균주를 청국장에서 분리하였고, 유산균의 경우 산도 생성이 높은 균주를 김치에서 분리하였다. 그리고 청국장에서 분리한 균주는 Bacillus subtilis로, 김치에서 분리한 균주는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동정되었다. 두유 발효에서 pH는 Lactobacillus plantarum를 이용한 두유 발효와 혼합 배양의 경우가 급격한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고, Bacillus subtilis 단독 배양일 경우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완만한 변화를 보였다. Lactobacillus plantarum을 이용한 두유 발효와 혼합 배양의 경우가 lactic acid의 생성은 배양 8시간 이후에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Bacillus subtilis 단독 배양의 경우가 완만하게 증가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pH 분석에서 나타난 결과와 일치하였다. 두유 요구르트 생육도 측정 결과는 혼합 배양의 경우 단독 배양에 비해 증식이 더 우수하였으며, 배양 32시간째 각 처리구별 총 균수는 Lactobacillus plantarum의 경우 $1.02{\times}10^8$ $cfu/m{\ell}$, Bacillus subtilis의 경우 $2.12{\times}10^8$ $cfu/m{\ell}$인데 비해 혼합 배양의 경우는 $4.09{\times}10^8$ $cfu/m{\ell}$로 가장 높았다. ${\alpha}$-Amylase의 활성은 Bacillus subtilis 단독 배양과 혼합 배양일 경우는 8시간 이후 효소 활성이 증가되면서 24시간 동안 발효시 22.01 $unit/m{\ell}$, 8.13 $unit/m{\ell}$로 가장 높았다. Protease의 경우는 Bacillus subtilis 단독 배양과 혼합 배양일 경우는 8시간 이후 활성이 증가하기 시작하여 발효 32시간째 103.08 $unit/m{\ell}$, 85.84 $unit/m{\ell}$로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Lactobacillus plantarum 단독 배양일 경우는 가수분해효소 활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유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plantarum M23의 Tyrosinase 활성 저해 및 생리적 특성조사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Lactobacillus plantarum M23 Isolated from Raw Milk)

  • 허인숙;김기성;양승용;이남혁;임상동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501-508
    • /
    • 2007
  • 본 연구는 국내 각 지역의 목장에서 수거한 원유에서 분리된 젖산균 M23 균주에 대해 tyrosinase 활성 저해율을 측정한 결과, mushroom에서 추출한 tyrosinase에서는 52.1%, Melanoma B16에서 추출한 tyrosinase에서는 32.0%로 나타났으며, 활성 저해율이 다른 상업균주와 시중 발효유에 비해 높게 나타남에 따라 tyrosinase 활성 저해효과가 우수한 균주로 선발하였다. 선정된 균은 Gram 양성, rod형태의 homo균이며, 당 발효실험과 16S rRNA 분석결과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판명되었고, L. plantarum M23으로 명명하였다. 발효유에 적합한 starter인지 확인하기 위해 생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L. plantarum M23은 배양온도 $40^{\circ}C$에서 빠른 생장을 보였고, pH 4.3에 도달하는데 17시간이 소요되었다. 16종의 항생제 중 vancomycin에 대해 내성이 높았으며, 효소활성실험에서 leucine arylamidase, ${\beta}-galactosidase$의 활성도가 높았다. 담즙 첨가시 약간의 영향을 받았으나 담즙에 대한 내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H 내성 실험결과 pH 2에서 큰 변화가 없음에 따라 내산성이 있었다. 항균력 시험에서는 E. coli에 대해 77.8%, S. typhimurium와 S. aureus에 대해 각각 86.5%, 83.8%의 억제력이 나타나 항균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멜라닌 억제능이 우수한 기능성 발효유 제품의 스타터로 L. plantarum M23은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가열살균한 Lactobacillus rhamnosus와 Lactobacillus plantarum의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 (Hypocholesterolemic Effect of Lyophilized, Heat-Killed Lactobacillus rhamnosus and Lactobacillus plantarum)

  • 김대원;양대혁;김선영;김광수;정명준;강상모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69-74
    • /
    • 2009
  • 유산균은 사람의 장 기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우리는 배지에서 콜레스테롤 농도를 낮추는 균주 Lactobacillus rhamnosus CBT 1702 and Lactobacillus plantarum CBT 1209를 screening하였다. 이 균주들을 이용하여 콜레스테롤 저하효과를 보았다. 콜레스테롤과 담즙산이 함유된 MRS배지에서 콜레스테롤을 동화, 담즙산을 탈결합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렛트에게 이들 균주를 혼합식이하여 콜레스테롤 제거능 정도를 보았다. 실험은 대조군, 고콜레스테롤군(HCD군), 고콜레스테롤에 생균첨가군(LLAB 군)과 고콜레스테롤에 가열살균 균 첨가군(HKLAB)으로 하였다. 그 결과 LLAB군과 HKLAB군이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를 HCD군에 비하여 각각 35%, 40%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그리고 특히 HKLAB군은 HCD군 및 LLAB군과 비교하여 HDL-C를 약 20%씩 유의적으로 증가시키고 LDL-C를 각각 60%, 20%정도 씩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동맥 경화지수인 AI와 심장위험인자 CRF를 비교하였을 때 LLAB 군과 HKLAB군은 HCD군 대비 각각 1.5배, 2배 유의적으로 낮았다. 또한 HKLAB군은 LLAB군에 비해 AI는 30% 유의적으로 낮고 CRF도 24% 유의적으로 낮았다. 결론적으로 본 유산균 Lactobacillus rhamno년 CBT 1702와 Lactobacillus plantarum CBT 1209는 고지혈 랫트의 AI와 CRF값을 감소시켜 동맥경화와 심장질환의 가능성을 감소시켰으며 이의 가열살균 균체는 이에 더욱 효과적이었으며 이러한 증상을 개선시키는 유용한 기능성 원료로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Serratia marsecscens 와 Lactobacillus plantarum Purine Nucleoside Phosphorylase의 생합성에 대한 요산의 조절 (The Regulation of Uric Acid on the Biosynthesis of Serratia marcescens and Lactobacillus plantarum Purine Nucleoside Phosphorylase)

  • 최병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61-365
    • /
    • 2001
  • 최소 배지와 MRS 배지에 여러 퓨린 뉴클레오시드을 첨가하여 각각 호기적과 혐기적 조건하에서 배양시킨 Serratia marcescens ATCC 25419와 Lactobacillus plantarum ATCC 8014 세포 추출물에서 PNP의 비활성도를 조사한 결과 이노신은 5 mM 이상의 농도에서 Serratia PNP의 비활성도를 대조군과 비교하여 30% 정도 감소시켰으나, Lactobacillus PNP의 비활성도를 60% 이상 증가시켰다. 히포잔틴은 $0.1{\sim}0.5\;mM$의 낮은 농도에서는 Serratia PNP의 비활성도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5 mM 이상의 농도에서는 45% 정도를 감소시켰다. 하지만 히포잔틴은 $0.1{\sim}1\;mM$의 낮은 농도에서는 Lactobacillus PNP의 비활성도를 20%, $1{\sim}15\;mM$의 농도에서는 $50{\sim}65%$ 정도 증가시켰다. 한편, 요산은 0.5 mM의 농도에서 Serratia와 Lactobacillus PNP의 비활성도를 20% 정도 증가시킨 반면, $5{\sim}10\;mM$의 농도에서 $20{\sim}25%$ 정도, 그리고 15 mM의 농도에서는 $60{\sim}80%$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5 mM 이상 농도의 이노신과 히포잔틴은 Serratia PNP의 비활성도를 30%이상 감소시킨 반면, Lactobacillus PNP의 비활성도를 60% 이상 증가시켰으며 낮은 농도(0.5 mM)의 요산은 효소의 비활성도를 증가시키고 높은 농도(15 mM)의 요산은 감소시키는 등 퓨린 뉴클레오티드 분해 대사 과정에서 요산은 Serratia marcescens와 Lactobacillus plantarum PNP 생합성의 조절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Sorbic acid가 김치발효와 Ascorbic acid 안정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orbic Acid on the Kimchi Fermentation and Stability of Ascorbic Acid)

  • 안숙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8-26
    • /
    • 1985
  • 배추김치와 동치미에 sorbic acid 0.05%를 첨가하여 $^23~25{\circ}C$에서 숙성시키면서, 성분변화 및 유산균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sorbic acid를 첨가한 김치는 control김치보다 pH저하를 억제시키고, 과잉의 산생성도 다소 억제시켰다. 2. 염분은 배추김치가 2.3%, 동치미는 2.5%였다. 3. ascorbic acid 함량은 sorbic acid 첨가 김치가 숙성기간내내 함양이 더 많았다. 특히 환원형 ascorbic acid 잔존량이 많았다. 4. 배추김치.동치미에서 분리.동정된 유산균은 le-uconostoc mesenteroides,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bacillus brevis, streptococcus faecalis, pedio-coccus pentosaceus 였다. 5. 유산균의 생장 및 산생성에 미치는 sorbic acid 의 영향은 lactobacillus plantarum이 가장 영향을적게 받았고, leuconostoc mesenteroides가 가장 영향을 많이 받았다. 6. 김치숙성중 유산균의 변화는, sorbic acid 첨가 김치에서는 배추김치.동치미 모두 leuconostoc mes-enteroides가 가장 많이 억제되었고, lactobacillus plantarum이 가장 영향을 적게 받았다. 효모균은 완전히 억제되었다. 7. 관능검사결과 유의적만 차가 있게 PH 4~4.3부근에서는 control김치가 더 맛이 있었고, pH 3.7~3.8 인때는 sorbic acid 첨가 김치가 더 맛이 있었다.

  • PDF

한국여성의 질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plantarum MG989와 Lactobacillus fermentum MG901의 Gardnerella vaginalis와 Candida albicans에 대한 억제효과 및 특성 규명 (Characterization and Inhibitory Activity of Lactobacillus plantarum MG989 and Lactobacillus fermentum MG901 Isolated from Vaginal Microbiota of Korean Women against Gardnerella vaginalis and Candida albicans)

  • 백남수;이윤엽;한설화;강창호;소재성
    • KSBB Journal
    • /
    • 제31권1호
    • /
    • pp.40-45
    • /
    • 2016
  • Vaginitis, also known as vaginal infection and vulvovaginitis, is an inflammation of the vagina and possibly vulva. The three main kinds of vaginitis are bacterial vaginosis, vaginal candidiasis, and trichomonia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haracterize Lactobacillus plantarum MG989 and L. fermentum MG901 isolated from the vaginas of healthy Korean women in terms of their inhibitory activity against the vaginitis associated pathogens such as Gardnerella vaginalis and Candida albicans. Co-culture experiments showed that the two Lactobacillus strains MG989 and MG901 significantly reduced the viability of G. vaginalis and C. albicans. Also, the two strains were resistant to bile acid up to 1% and their autoaggregation rates were as high as 83.33%. Further studies are underway to demonstrate that the two strains can be applied as pharmaceutical agents for recovering healthy vaginal ecosystem.

김치로부터 담즙산 분해능이 우수한 Lactobacillus plantarum CIB 001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Lactobacillus plantarum CIB 001 with Bile Salt Deconjugation Activity from Kimchi)

  • 차상도;김태운;이동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222-226
    • /
    • 201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solate and characterize the Lactobacillus plantarum with bile salt deconjugation activity that was isolated from Kimchi. Some isolates were selected and identified as L. plantarum by 16S rRNA gene sequence and 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SDS-PAGE) analysis of whole cell protein patterns. They were assayed to determine their capacities to express bile salt hydrolase (BSH) activity. Among the identified strains, L. plantarum CIB 001 showed the highest level of BSH activity. Then, resistance to gastric acidity and bile condition were analyzed for further characterization. This strain was able to maintain viability for 1h at pH 2.0 and to survive in a MRS (deMan, Rogosa, and Sharpe) broth with 1.0% of bile acids. L. plantarum CIB 001 would potentially be useful in the food industry as probiotics.

김치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plantarum K6의 생리적 특성 및 비만억제효과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besity Effect of Lactobacillus plantarum K6 isolated from Kimchi)

  • 김슬기;임상동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5권4호
    • /
    • pp.221-231
    • /
    • 2017
  • 본 연구는 김치로부터 비만 억제능력이 있는 젖산균을 분리 및 동정하고, 이 균주의 생리적 특성을 규명하여 상업적으로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Modified MRS 분별배지를 사용하여 노란색 집락을 형성하는 균주를 대상으로 각각 ${\alpha}-amylase$ inhibitory activity,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와 lipase inhibitory activity가 우수한 균주를 선발한 결과 K6 균주가 최종 선발되었다. K6 균주는 ${\alpha}-amylase$ 억제활성 $96.78{\pm}3.29%$, ${\alpha}-glucosidase$ 억제활성 $92.55{\pm}9.62%$, lipase 억제활성 $85.17{\pm}0.79%$, 지방분화 억제활성 $27.4{\pm}1.4%$로 나타났으며, 동정결과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판명되었고, Lactobacillus plantarum K6으로 명명하였다. L. plantarum K6은 답즙산과 산성의 pH에서 모두 우수한 생존력을 나타내었고, 효소활성은 전반적으로 낮았으나 arylamidase와 ${\beta}-galactosidase$에 대해 비교적 높은 효소 활성을 나타내었다. 항생제 내성 실험 결과 vancomycin, ampicillin, polymyxin B에 내성이 있는 반면 erythromycin에 감수성을 나타냈으며, 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Listeria monocytogenes와 Staphyloccous aureus에 대해 각각 51.8%, 42.4%, 61.6%와 54.9%의 억제 효과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민을 생성하지 않으며, 장부착성은 대조구인 L. rhamnosus GG보다 우수하였다.

Lactobacillus plantarum G72 Showing Production of Folate and Short-chain Fatty Acids

  • Jang, Hye Ji;Lee, Na-Kyoung;Paik, Hyun-Dog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18-23
    • /
    • 2021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roduction of folate, short chain fatty acids (SCFAs), and antimicrobial activity exhibited by Lactobacillus plantarum G72 for potential dietary application in pregnant women. L. plantarum G72 has been reported to possess characteristic activities and functionality including β-galactosidase activity and antioxidant activities. L. plantarum G72 showed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pathogenic bacteria (Listeria monocytogenes ATCC 15313, Salmonella typhimurium P99, Escherichia coli ATCC 25922, and Staphylococcus aureus KCCM 11335) using a modified method, and formation of the largest inhibition zone was observed against S. aureus KCCM 11335 (12.0-17.0 mm). The adherence of four food-borne pathogenic bacteria to HT-29 cells was inhibited by L. plantarum G72 (0.13 to 0.92 log CFU/ml). The most considerable inhibition of adherence to HT-29 cells was observed by using L. plantarum G72 against S. typhimurim P99. Additionally, folate production by L. plantarum G72 was 50.1 ng/ml, and L. plantarum G72 produced relatively more lactic acid (11,176.73 mg/kg) than acetic, propionic, or butyric acids.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L. plantarum G72 may serve as a multifunctional food additive in the health indus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