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ctobacillus fermentum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24초

Lactobacillus salivarius LCH1230으로부터 생산된 Listeria 균 억제물질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Anti-Listerial Substance Produced by Lactobacillus salivarius LCH1227)

  • 신유리;임공분;채종표;강대경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609-616
    • /
    • 2011
  • 전통발효식품으로부터 L. monocytogenes ATCC 19114에 강한 항균활성을 보이는 균주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주의 형태학적 및 생화학적 특성과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Lactobacillus salivarius LCH1227으로 동정되었다. L. salivarius LCH1227이 분비하는 항균물질은 L. monocytogenes 뿐만 아니라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us faecalis, Streptococcus agalactiae, Bacillus cereus, Lactobacillus fermentum 등과 같은 그람양성 세균에 대해 폭 넓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L. salivarius LCH1227의 생육에 따른 항균 활성을 측정한 결과, 생장정체기 초기에 최대 활성(300 AU/mL)을 나타내었고, 생장정체기 이후부터 활성이 점차 감소하였다. 항균물질의 활성은 pH 2-12 구간에서 비교적 안정하였으며, 열처리에 의해서도 활성이 소실되지 않아 열에 안정한 물질임을 알 수 있었다. L. salivarius LCH1227이 생산하는 항균물질은 단백질 분해효소 처리 후에 활성이 실활됨으로써 단백질성 물질인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Tricine-SDS-PAGE 실험을 통하여 항균물질의 분자량은 약 5 kDa 정도임을 알 수 있었다.

발효배양액에서 Streptococcus parauberis Z49균주가 생산하는 Bacteriocin의 간편한 추출 (Simple and Rapid Extraction of a Bacteriocin Produced by Streptococcus parauberis Z49 from Fermented Cultures)

  • 박홍제;강용호
    • 미생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91-295
    • /
    • 2010
  • Streptococcus parauberis Z49가 생산하는 새로운 bacteriocin의 특성을 조사하고 수성 이상계를 사용하여 발효배양액에서 효율적으로 추출하였다. Nisin과 유사한 S. parauberis Z49의 bacteriocin은 $121^{\circ}C$에서 15 min 열처리해도 활성이 있었으며, 넓은 범위의 pH (pH 2-12)에서 안정하며, M. luteus, Lactobacillus sp., L. fermentum, E. faecium, L. monocytogenes, and P. fluorescens의 생육을 억제하였다. S. parauberis Z49의 발효배양액에 있는 bacteriocin을 간편하게 분리하기 위한 PEG 600/$Na_2SO_4$ 수성 이상계의 최적조건은 PEG 600 15%, $Na_2SO_4$ 30%, NaCl 8% 이었으며, bacteriocin은 PEG층에서 농축이 되었다.

생균활성 보존을 위한 유산균 미세캡슐 개발 (Development of Probiotic Microcapsules for the Preservation of Cell Viability)

  • 이강휘;장금일;이윤복;손헌수;김광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66-70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생균제로서의 L. fermentum YL-3의 미세캡슐화를 시도하였고, 균체에 대한 캡슐 재료의 영향을 조사함으로써 캡슐제조시 균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제조된 캡슐의 내산성과 저장성을 조사하여 유산균의 내산성과 저장능의 증진에 적합한 캡슐의 제조 및 보존 방법을 연구하였다. 먼저, 인체에 무독성인 sodium alginate를 캡슐의 원료로 선택하여 microcapsule을 제조한 결과 생균제가 alginate 캡슐에 포집되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pH 2에서 120-126 ${\mu}m$ 크기의 견고한 캡슐을 제조하였으며, pH가 증가할수록 크기가 커지지만 pH 3 이상에서는 견고성이 너무 떨어져 캡슐의 형성이 어려워 오히려 pH 3에서의 캡슐보다 작은 형태를 나타내었다. 반면, 캡슐 후의 생균제의 생존율은 pH가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캡슐제조시 사용되는 재료가 균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캡슐의 주재료인 sodium alginate와 $CaCl_{2}$는 균의 활성을 떨어뜨리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그 외의 재료인 sodium citrate, Tween 80, Span 80, soybean oil은 균의 활성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microcapsule과 macrocapsule을 제조하여 각각의 캡슐의 내산성과 저장성을 비교한 결과, 내산성은 microcapsule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저장성은 $4^{\circ}C$에서는 microcapsule, $25^{\circ}C$에서는 macrocapsule에서의 생균제 활성이 좋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식물성 유산균 혼합물을 활용한 환경 폐수의 정화능력 평가 (Evaluation of Purification Capacity of Vegetable Lactobacillus fermentum Culture System in Closed Environmental Waste Water)

  • 이득식;김남균;심수용;이동진;윤원병
    • 산업식품공학
    • /
    • 제15권1호
    • /
    • pp.22-27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춘천지역에서 발생하는 환경 오폐수를 시료로 하여 미생물을 혼합하여 제조한 수질정화제를 실제 하천과 호수의 오염환경과 유사한 배양기내에서 생물학적반응을 시켜오염물질의정화정도를측정하고평가하였다. 사용된 미생물은 식물성 유산균(vegetable Lactobacillus fermentum),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와 고초균(Bacillus subtilis)이다. 두가지의미생물혼합제를투입하여정화정도를 실험하였다. 실제 하천에 투입하여 정화되는 과정과 유사하게 반응을 시키고자 반응 온도는 $21({\pm}3)^{\circ}C$로 하였으며 완전교반을 진행하였다. 사용한 시료의 오폐수의 오염도와 미생물에 의한 정화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총질소 함량과 총인 함량을 측정하였다. V.L.F.와 S.C.의 혼합물로 구성된 혼합제의 경우 총질소함량을 감소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임을 보여주었으며, V.L.F., S.C.,와 B.S.로 구성된 혼합제의 경우 그 총인의 함량을 저감화하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실험에서 얻어진 실험 데이터를 통하여 V.L.F.와 S.C.의 혼합제가 오폐수의 정화반응에서 나타나는 반응상수값을 도출하였으며 그 값은 0.178 $day^{-1}$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저감화하고자 하는 성분에 따라 미생물의 종류와 그 혼합비를 조절하는 최적화과정이 필수적임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곡선적합으로 도출한 반응상수값은 미생물을 이용하여 호수와 하천의 정화정도를 simulation함에 필요한 실험인자로서 응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Development of Species-Specific Primers for PCR Identification of Lactobacillus hilgardii and Lactobacillus farciminis in Kimchi

  • Lee, Myung-Ki;Ku, Kyung-Hyung;Kim, Young-Jin;Kim, Kyung-Hee;Kim, Yu-Ri;Yang, Hye-Ju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5권2호
    • /
    • pp.159-166
    • /
    • 2010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species-specific primer sets for kimchi Lactobacillus. Known gene sequences of Lactobacillus 16S rRNA were collected from the NCBI Gene bank, and 69 primer sets were designed using the homologous gene sequence. Six species of kimchi Lactobacilli were used as reference strains: Lactobacillus brevis KCTC3102, Lactobacillus farciminis KCTC3681, Lactobacillus fermentum KCTC3112, Lactobacillus hilgardii KCTC3500, Lactobacillus plantarum KCTC3099, and Lactobacillus sanfranciscensis KCTC3205. PCR amplification and gel electrophoresis were performed to identify the accuracy and specificity of the developed primer set. The results show that the primer set of 5'-aagcctgcgaaggcaag-3' & 5'-aggccaccggctttg-3', 5'-acatactatgcaaatctaagagattagacg-3' & 5'-actgagaatggctttaagagattagcttac-3' resulted in a specific PCR band on L. hilgardii, and primer set of 5'-ctaataccgcataacaactactttcacat-3' & 5'-aacttaataaaccgcctacattctctttac-3' on L. farcimini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developed primer sets can provide a useful tool for the identification and differentiation of L. hilgardii and L. farciminis from other Lactobacillus species of kimchi.

다양한 Lactobacillus 균주에 대한 electrotransformation 최적 조건 탐색 (Determination of Optimal Electrotransformation Conditions for Various Lactobacillus spp.)

  • 이유원;임성훈;신춘봉;소재성
    • KSBB Journal
    • /
    • 제24권2호
    • /
    • pp.182-188
    • /
    • 2009
  • Lactobacillus 균주는 대표적인 probiotics로서 인체의 건강유지에 좋은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건강한 한국인 체내에서 분리하고 선별된 6개의 Lactobacillus 균주 (L. paracasei KLB58, L. fermentum MS79 and KLB282, L. plantarum KLB213, L. gasseri KLB238, and L. reuteri KLB270)를 플라스미드 pNCKH104로 electrotransformation 하였다. 최적 조건을 찾기 위해 pulse voltage, time constant, 세포벽 처리방법, 세포현탁액을 다양하게 변화시켰으며, 그 결과 각각의 균주에 대해 최적의 형질전환 조건을 결정하였다. 대체로 인체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균주는 전처리 없이 0.5 M sucrose buffer로 현탁하여 1.8 kV의 pulse voltage와 5 ms의 time constant로 electroporation을 수행하였을 때 약 2.5 ${\times}$ $10^3$ ${\sim}$ 5.5 ${\times}$ $10^4$ CFU/${\mu}g$ DNA의 형질전환 효율을 보였는데, 기존의 Lactobacillus 균주를 이용한 형질전환 실험들에 비해 월등히 높은 결과는 아니지만, Lactobacillus 균속 내의 다양한 종에 적용되는 공통의 조건을 찾음으로써 보다 간편한 형질전환 실험을 기대할 수 있다. 이는 앞으로 산업적, 임상적으로 중요한 Lactobacillus 균주의 형질전환을 손쉽게 하여 항균 펩타이드를 삽입한 벡터의 cell surface display발현 및 분석, 유용유전자 탐색을 위한 knock-out mutant등의 제작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 본다.

Kefir에서 추출한 Exopolysaccharide의 Rotavirus의 저해효과 (Inhibitory Effect on Rotavirus by Exo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Kefir)

  • 송진욱;김태진;김용휘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538-542
    • /
    • 2007
  • 본 연구는 kefir로부터 EPS를 분리하여 MA104 세포에 대한 독성과 rotavirus에 대한 저해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Kefir culture 및 grain 파쇄입자에서 Lactobacillus fermentum, 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bacillus brevis 등의 유산균과 Candida kefyr, Cryptococcus albidus, Pichia ohmeri 등의 효모가 분리 동정되었다. EPS의 1% 농도에서, MTT assay에 의한 EPS의 rotavirus에 대한 억제효과는 human rotavirus(KU)가 $72.52{\pm}6.48%$, bovine rotavirus(NCDV)가 $36.06{\pm}7.63%$, porcine rotavirus(OSU)가 $81.66{\pm}1.11%$로 나타났으며, EPS의 1/128% 농도에서, human rotavirus(KU)가 $24.98{\pm}4.58%$, bovine rotavirus(NCDV)가 $4.71{\pm}6.16%$, porcine rotavirus(OSU)가 $4.05{\pm}14.90%$로 나타났다. Kefir에서 분리한 EPS는 다양한 혈청형과 유래 동물의 rotavirus 모두에게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Rice bran fermentation by lactic acid bacteria to enhance antioxidant activities and increase the ferulic acid, ρ-coumaric acid, and γ-oryzanol content

  • Le, Bao;Anh, Pham Thi Ngoc;Kim, Jung-Eun;Cheng, Jinhua;Yang, Seung Hwa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2권3호
    • /
    • pp.257-264
    • /
    • 2019
  • Rice bran is considered a natural source of antioxidants. In this study, rice bran was fermen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to increase its antioxidant activity. Four strains isolated from fermented food, Lactobacillus plantarum MJM60383, Lactococcus lactis subsp. lactis MJM60392, Lactobacillus fermentum MJM60393, and Lactobacillus paracasei MJM60396, were confirmed as safe through stability tests such as safety assessment for biogenic amine production, hemolytic activity, and mucin degradation, and showed high reducing capacity. The antioxidant activity of rice bran fermentation altered by these strains was evaluated using several methods including measurement of $Fe^{2+}$ chelating activity and scavenging activity by 1,1-diphenyl-2-picryl-hydrazil (DPPH),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and nitric oxide assays. In this study, the total phenolic content and ${\gamma}$-oryzanol were evaluated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ompared to non-fermented rice bran and a commercial product, rice bran fermented with Lactococcus lactis subsp. lactis MJM60392 showed the highest phenolic content (844.13 mg GAE/g). Moreover, the content of ferulic acids, ${\rho}$-coumaric acid, and ${\gamma}$-oryzanol in rice bran increased after fermentation with L. lactis subsp. lactis MJM60392 and L. fermentum MJM60393 compared to other samples. Indeed,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NO scavenging activity were also found to be high in these fermented rice bran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fermentation with lactic acid bacteria increases the active compound levels and the potent antioxidant activities of rice bran.

한국에서 수집된 케퍼 그레인의 특성에 대한 연구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Kefir Grains Collected from Korean)

  • 박선정;주영철;장윤현;차성관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62-268
    • /
    • 2003
  • Locals 케퍼 그레인은 코카서스 지방에서 유래한 전통적인 발효유이며, 주로 젖산균과 효모로 우유를 발효시켜서 만든다. 국내에서 수집한 10종류의 케퍼 그레인 중에서 6종류가 포도송이 형태나 융털, 나뭇잎, 좁쌀, 수건 같은 특징적인 형태를 가지고 있었으며, 젤라틴같이 끈적한 조직감을 나타냈다. 케퍼 그레인에서 우점하는 미생물을 조사하기 위하여 SPC, MRS, Ml7, Rogosa와 APT 한천배지와 petrifilm을 사용하여 일반세균과 효모를 계수하였다. 5종류의 한천배지 중에서 가장 검출률이 좋았던 것은 SPC, MRS와 Rogosa 한천배지였으며, Ml7과 APT 한천배지에서는 균락의 수가 매우 적었는데, 이는 케퍼 그레인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종류가 대부분 젖산간균이었기 때문으로 추정되었다. 각 케퍼 그레인당 50여개 정도의 균락을 분리하여 API 50 CHL kit로 동정한 결과 Lactobacillus fermentum과 Lb. brevis가 각각 41∼88%와 2∼54%의 점유율을 나타내는 우점균으로 밝혀졌다. 이 외에 Lactococcus lactis subsp. lactis와 Leuconostoc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가 소수로 검출되었으며, 일반세균은 전체적으로 $10^{8}$ cfu/g 수준이었고, 효모는 $10^{6}$$10^{7}$ cfu/g수준이었다. 케퍼 그레인의 효과적인 보존방법을 찾기 위하여 멸균된 10%환원탈지유와 혼합하여 동결건조한 것, 3개월간 냉장보존한 것, 그리고 6개월간 냉동보존한 것, 그리고 케퍼 그레인 자체로 냉동보존한 것을 비교 평가하였다. 그 결과, 냉동보존한 케퍼 그레인의 복원시 산 생성력이 우수하였으나 15개월 냉동건조한 케퍼 그레인이 냉장 또는 냉동보관한 케퍼 그레인에 비하여 산 생성력이 우수하였을 뿐만 아니라 이미와 이취도 거의 없어 가장 좋은 보존방법으로 평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