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ctobacillus brevis G10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31초

Attenuating effect of Lactobacillus brevis G101 on the MSG symptom complex in a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 Kim, Dong-Hyun;Choi, Yeji;Park, Sun-Sung;Kim, Se-Young;Han, Myung Joo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9권6호
    • /
    • pp.673-676
    • /
    • 2015
  • BACKGROUND/OBJECTIVES: Lactobacillus brevis G101 suppresses the absorption of monosodium glutamate (MSG) from the intestine into the blood in mice. Therefore, the attenuating effect of orally administered G101 on monosodium glutamate (MSG) symptom complex was investigated in humans MATERIALS/METHODS: Capsules (300 mg) containing Lactobacillus brevis G101 ($1{\times}10^{10}CFU/individual$) or maltodextrin (placebo) was orally administered in 30 respondents with self-recognized monosodium glutamate (MSG) symptom complex for 5 days and the rice with black soybean sauce containing 6 g MSG (RBSM) was ingested 30 min after the final administration. Thereafter, the MSG symptom complex (rated on a 5-point scale: 1, none; 5, strong) was investigated in a double blind placebo controlled study. The intensity of the MSG symptom complex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respondents of the G101 intake group ($2.87{\pm}0.73$) compared to that in those treated with the placebo ($3.63{\pm}1.03$) (P = 0.0016). Respondents in the placebo group exhibited more of the various major conditions of the MSG symptom complex than in the G101 intake group.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ppearance time of the MSG symptom complex between subjects orally administered G101 and those administered the placebo, its disappearance in < 3 h was observed in 69.9% of subjects in the G101 treatment group and in 38.0% of subjects in the placebo group (P = 0.0841). CONCLUSIONS: Oral administration of Lactobacillus brevis G101 may be able to reduce the intensity of the MSG symptom complex.

Lactobacillus brevis G101 Inhibits the Absorption of Monosodium Glutamate in Mice

  • Jang, Se-Eun;Han, Myung Joo;Kim, Se-Young;Kim, Dong-Hy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4권11호
    • /
    • pp.1592-1596
    • /
    • 2014
  • To evaluate the effect of Lactobacillus brevis G-101 on absorption of monosodium glutamate (MSG), we orally administered MSG with or without G-101 in mice and measured the maximum concentration (Cmax) and blood concentration curve (AUC) of MSG and ${\gamma}$-aminobutyric acid (GABA). Oral administration of G-101 ($1{\times}10^9CFU/mouse$) potently inhibited Cmax and AUC of MSG by 97.8% and 94.3%, respectively (p < 0.05), but increased those of GABA by 32.1% and 67.7%, respectively (p < 0.05). G-101 inhibited the absorption of MSG. These results suggest that G-101 may reduce the side effect of MSG by inhibiting the absorption of MSG.

Adhesive Properties of Lactobacillus brevis FSB-1 In Vivo

  • Kim, Seong-Yeong;Shin, Kwang-Soon;Lee, Ho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60-567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in vivo gastrointestinal survival and adhesive properties of orally administered Lactobacillus brevis FSB-1. ELISA conducted using polyclonal antibodies specific for L. brevis FSB-1 was able to detect the organism in feces; therefore, we used ELISA to determine the concentr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in feces collected from Wister rats that had been administered $10^{10}$ cells/rat/d orally for 20 d. The mean recovery of L. brevis FSB-1 was approximately $10^{7.22}$ cells/g of wet feces during the oral administration period, and $10^{7.50}$ and $10^{7.46}$ at 8 and 10 d after the end of oral administration,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L. brevis FSB-1 was able to survive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of rats, and that it had a high adhesive property in rat colons.

Lactobacillus brevis HY7401 섭취가 쥐의 혈중 알코올 수준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actobacillus brevis HY7401 Intake on the Serum Ethanol Concentration in Rats)

  • 안영태;김용희;배진성;임광세;허철성;양우영;김형수;백영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604-608
    • /
    • 2004
  • Lactobacillus 균주들의 에탄올과 acetaldehyde의 대사 가능성을 시험관내 및 생체내에서 시험하였다. ADH와 ALDH 활성은 L. brevis 균주들이 다른 Lactobacillus 균주들과 비교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L. brevis HY7401은 가장 높은 ADH와 ALDH 활성을 나타냈다. L. brevis HY7401$(10^9\;cfu/mL)$을 2주간 하루에 1 mL씩 쥐에게 급여한 후 시험 14일째에 에탄올(4g/kg BW)을 경구투여하고 혈중 에탄올 양을 측정한 결과, L. brevis HY7401 급여에 의해 혈중 에탄올 수준이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탄올 투여 6시간후의 혈중 에탄올 양이 각각 $1,195{\pm}92.9$(대조군) 그리고 $454{\pm}150mg/L$(HY7401군)으로 나타났다. 또한 L. brevis HY7401 급여한 군에서 소장내 에탄올 농도가 대조구와 비교하여 약 1/2수준이었으며, 초산 농도는 2배정도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결과들은 사람으로부터 분리된 L. brevis HY7401이 높은 ADH와 ALDH 활성을 갖고 있어 에탄올과 acetaldehyde를 대사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L. brevis HY7401을 쥐에게 급여함으로써 혈중 에탄올 수준을 낮출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Expression of ${\alpha}$-Galactosidase Gene from Leuconostoc mesenteroides SY1 in Lactobacillus brevis 2.14

  • Lee, Kang-Wook;Park, Ji-Yeong;Park, Jae-Yong;Chun, Ji-Yeon;Kim, Jeong-Hwa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5호
    • /
    • pp.1115-1118
    • /
    • 2008
  • ${\alpha}$-Galactosidase gene (aga) from Leuconostoc mesenteroides SY1 was expressed in a heterologous host, Lactobacillus brevis 2.14 using an Escherichia coli-Leuconostoc shuttle vector, pSJE. pSJEaga (pSJE carrying aga) was introduced into Lactobacillus brevis 2.14 by electroporation and transformation efficiency was $1.1{\times}10^3$ per ${\mu}g$ DNA. L. brevis transformants (TFs) showed higher ${\alpha}$-galactosidase (${\alpha}$-Gal) activities than cells containing pSJE. Transcription levels of aga in L. brevis 2.14 grown on different carbon sources (1%, w/v) were examined by slot blot analysis. Aga transcript levels and ${\alpha}$-Gal activities were higher in cells grown on melibiose, raffinose, and galactose than cells on glucose, sucrose, and fructose. Western blot result showed that L. brevis 2.14 harboring pSJEaga produced much more ${\alpha}$-Gal when grown on melibiose than on glucose.

Optimization of Whey-Based Medium for Growth and ACE-Inhibitory Activity of Lactobacillus brevis

  • Ahn, Jae-Eun;Park, Seung-Yong;Lee, Byong-H.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25권1호
    • /
    • pp.1-7
    • /
    • 2007
  • 유청을 기초로 하는 배지를 제조하여 Lactobacillus brevis를 배양하면서 유청 단백질로부터 기능성 펩타이드 생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Lb. brevis의 적정생장에 필요한 배지성분의 농도는 2% 유청 분말, 1%의 포도당 및 0.5%의 효모추출물이었다. Lb. brevis의 생장은 효모 추출물의 보충이 포도당의 보충보다 더 효과적이었다. 이 유청 배지에서 Lb. brevis의 생장은 2.0 ${\times}$ 10$^8$CFU/mL에 달하였다. 생장 후의 유청 배지를 10,000 ${\times}$ g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그 여액으로부터 얻은 유청단백분해물은 ACE 효소 억제 효과가 나타났다. 분자량 8,000Da 이하로 부분 정제한 분획의 ACE에 대한 억제효과는 유청단백분해물의 64.7 ${\pm}$ 3.6%, IC$_{50}$은 38.8 ${\pm}$ 2.2 mg/mL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청을 기초로 한 배지는 젖산균으로부터 유청 단백질을 발효하여 ACE 억제 효과를 주는 펩타이드 생산에 적합한 배지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Lactobacillus brevis 균주를 이용한 다래 수액에서의 감마아미노뷰티르산 (γ-Aminobutyric Acid) 생산 최적화 (Optimization of γ-Aminobutyric Acid Production Using Lactobacillus brevis spp. in Darae Sap)

  • 정명교;정지희;김광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14-222
    • /
    • 2016
  • 본 연구는 기능성 물질인 GABA를 생성하는 젖산세균을 분리하고 다래 수액을 이용하여 GABA 생산을 위한 배지의 최적화를 목표로 하였다. 다래 수액 발효에 이용할 고효율의 GABA 생성 균주 분리를 위해 젖산세균이 많다고 알려진 시료들에서 균주들을 채취하여 MRS broth에 접종 후 $37^{\circ}C$에서 24시간동안 배양 후, 효소적 방법을 이용해 균주가 생산하는 GABA양($605.67{\mu}g/mL$)을 측정하여 분리 선별하였다. 그리고 선별한 균주를 생리, 생화학적인 시험과 API 50 CHL을 이용한 당 발효 시험, 그리고 16s rDNA 분석을 통한 결과, L. brevis CFM11로 명명하였다. 선발된 젖산세균주의 생육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다양한 온도(25, 32, 37, $45^{\circ}C$)와 시간(0, 24, 48, 72 h)에 따른 특성을 측정한 결과 $32^{\circ}C$, 48시간 배양했을 때 가장 높은 GABA 생성량과 생육조건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L. brevis CFM11를 이용한 발효 시 다래 수액에 부족할 수 있는 발효 영양원을 보충하고 기능성을 높이기 위해 미강추출물을 첨가하여 발효에 이용하였고, 또한 높은 농도의 GABA 생성을 위해 다양한 영양원과 젖산세균의 GABA 생성을 증가시킨다고 알려진 MSG를 첨가하여 최적 발효 조건을 찾은 결과, 미강추출물 40%, sucrose 1.0%, soytone 3.0%, magnesium sulfate 0.2%, MSG 0.2% 첨가하는 것이 다래 수액 발효를 위한 최적 조건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적화된 다래 수액에 L. brevis CFM11를 이용하여 발효를 한 결과, 균주의 최적 생육 조건인 $32^{\circ}C$ 48시간 배양 시 가장 높은 GABA 생성량인 $1366.13{\mu}g/mL$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분리 균주인 L. brevis CFM11를 이용하여 발효 시 다래 수액 내에서 높은 효율의 GABA를 생성 가능하다고 판단되며, 이로 인해 GABA의 기능성이 더해진 젖산세균 발효음료의 상업적 생산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 새우젓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brevis HLJ59의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활성 및 생리적 특성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of Lactobacillus brevis HLJ59 Isolated from Salted Shrimp)

  • 전춘표;김윤회;이중복;조민섭;신기선;최충식;권기석
    • 미생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9-14
    • /
    • 2010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통 발효식품인 장류, 김치류 및 젓갈류로부터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활성이 우수한 젖산균을 분리하고자 하였다. 젖산균을 분리하기 위한 선택배지로서 bromocresol purple (BCP) 한천배지를 사용하여 1차적으로 젖산균을 분리하였으며, 그 중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활성이 우수한 균주를 최종 선발하였다. 분리된 젖산균을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으로 동정한 결과 Lactobacillus brevis ATCC $14869^T$와 99.7%의 유사도를 나타냄에 따라 L. brevis HLJ59로 명명하였다. L. brevis HLJ59는 내산성의 경우 pH가 2.0, 3.0으로 보정된 DeMan Rogosa Sharpe 액체배지에서 접종 후 각각 90분, 30분이 경과하였을 때 배양초기와 비교 시 약 99%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으나, 담즙산(Bile extract)의 경우 1% 첨가 시에도 생육에 저해를 받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어 L. brevis HLJ59 균주는 담즙산에 대한 내성이 우수한 균주임을 확인하였다. 항생제 내성의 경우 20종의 항생제를 paper disc법으로 조사한 결과 본 균주는 cephalosporin계의 cefoxatin (30 ${\mu}g$), ceftnaxone (30 ${\mu}g$), penicillin계의 penicillin (10 units), quinolones계 cprofloxacin (5 ${\mu}g$), nalidixic acid (30 ${\mu}g$), lincosamid계의 lincomycin (2 ${\mu}g$) 및 기타 chloramphenicol (30 ${\mu}g$)에 대해서는 내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Lactobacillus brevis를 활용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과 산양삼의 발효물에 대한 특성 연구 (Properties of Aqueous Extract of Protaetia Brevitarsis Larva and Mountain Ginseng Fermented by Lactobacillus Brevis)

  • 이영덕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69-374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김치로부터 분리된 L. brevis SM61을 생화학적 특성과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분리 및 동정하였으며,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열수추출물과 산양삼 분말을 L. brevis SM61을 이용하여 48시간동안 발효를 수행하여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열수추출물과 L. brevis SM61을 사용한 발효물에 대해 농도에 따른 세포 독성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리고,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열수추출물과 L. brevis SM61을 사용한 발효물에 대해 발효 시간에 따른 폴리페놀 함량을 분석한 결과 발효 초기에는 약 $1.49{\mu}g/mL$ 비해 48시간 이후 약 $5.09{\mu}g/mL$ 수준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항산화능은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열수추출물이 약 60%였으나, L. brevis SM61을 이용한 발효물이 약 98%로 높아졌다. 항균 활성의 경우 L. brevis SM61을 이용한 발효물에서만 항균 효과가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분리된 신규 L. brevis SM61을 이용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열수추출물에 대한 발효물은 식용 곤충의 기능성을 강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해당 유산균을 활용하여 다양한 식용 곤충에도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Characterization of the Recombinant Glutamate Decarboxylase of Lactobacillus brevis G144 Isolated from Galchi Jeotgal, a Korean Salted and Fermented Seafood

  • Kim, Jeong A;Park, Ji Yeong;Kim, Jeong Hwan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9-17
    • /
    • 2021
  • A γ-aminobutyric acid (GABA)-producing microorganism was isolated from galchi (hairtail fish, Trichiurus lepturus) jeotgal, a Korean salted and fermented seafood. The G144 isolate produced GABA excessively when incubated in MRS broth containing monosodium glutamate (MSG, 3%, w/v). G144 was identified as Lactobacillus brevis through 16S rRNA and recA gene sequencing. gadB and gadC encoding glutamate decarboxylase (GAD) and glutamate/GABA antiporter, respectively, were cloned and gadB was located downstream of gadC. The operon structure of gadCB was confirmed by reverse transcription (RT)-polymerase chain reaction. gadB was overexpressed in Escherichia coli and recombinant GAD was purified and its size was 54.4 kDa as evidenced by SDS-PAGE results. Maximum GAD activity was observed at pH 5.0 and 40℃ and the activity was dependent on pyridoxal 5'-phophate. The Km and Vmax of GAD were 8.6 mM and 0.01 mM/min,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