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ctobacillus brevis

검색결과 253건 처리시간 0.025초

저염 오징어젓갈 숙성중 젖산균의 변화 (Changes in Lactic Acid Bacteria of Squid with Low Salt during Fermentation)

  • 조진호;오세욱;김영명;정동효;김정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208-1212
    • /
    • 1997
  • 수분활성을 조절한 오징어육으로 제조한 저염 오징어젓갈의 우점 미생물을 분리 동정하고 숙성중 변화를 조사하였다. 우점미생물은 젖산균으로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bacillus brevis, Leuconostoc sp., Pediococcus sp., Streptococcus sp.,로 동정되었으며 총균수의 80%를 차지하였다. 숙성중 Leuconostoc, Streptococcus, Pediococcus는 초기에 급격히 증가하였다가 숙성적기 이후에 급속히 감소하였으며 Lactobacillus는 숙성적기 이후에 급격히 증가하였다. 한편, yeast는 숙성중기 이후에 검출되었으며 숙성말기에 급격히 증가하여 주로 부패에 관여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바이오제닉 아민 비생성 Lactobacillus brevis SBB07의 분리 및 잠재적 프로바이오틱스 특성 분석 (Isolation of Biogenic Amine Non-producing Lactobacillus brevis SBB07 and Its Potential Probiotic Properties)

  • 양희종;정수지;정성엽;류명선;정도연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68-77
    • /
    • 2018
  • 바이오제닉 아민 비생성 유산균의 선별을 위해 순창군에서 재배된 베리류 및 엑기스, 식초 등으로부터 42종의 유산균을 분리하였다. 분리주를 대상으로 세포외 효소 활성, 항균 활성, 항산화 활성과 같은 다양한 생리활성 분석을 실시하여 5종의 분리주를 1차 선별하였다. 분리주를 대상으로 바이오제닉 아민 생성 여부를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SBB07을 선별하였고,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Lactobacillus brevis SBB07로 명명하였다. SBB07의 프로바이오틱스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효소 생산 여부, 내산성, 내담즙성, 내열성, 항생제 내성을 조사하였고, pH 2.0에서의 내산성 및 0.5% oxgall을 함유한 내담즙성에서 각각 86% 이상과 54% 이상의 높은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60^{\circ}C$에서도 113% 이상의 생존율을 나타내어 내열성도 우수하며 다양한 항생제 내성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프리바이오틱스 이용가능성을 확인한 결과에서는 GOS의 이용 능력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FOS와 inulin의 이용 능력도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SBB07은 세포외 효소 및 항균 활성이 우수하고, 내담즙, 내산성, 내열성 및 항생제 내성을 지니며 프리바이오틱스 기질 이용 능력도 우수한 프로바이오틱스 소재로 활용가능성이 높은 유산균으로 기대된다.

Pediococci 선택배지를 이용한 김치 유래 Pediococci 검출 (Detection of Pediococci in Kimchi Using Pediococci Selective Medium)

  • 이명재;이종훈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38-242
    • /
    • 2009
  • 분자생물학적 방법에 의한 김치유산균 연구의 진행으로 Leuconostoc, Lactobacillus, Weissella 속 유산균의 김치발효 과정 중 생육에 대한 새로운 결과들이 도출되었지만, Pediococcus속의 생육에 대한 새로운 결과는 거의 보고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김치에 존재하는 Pediococcus 속 유산균의 존재에 대한 재조명을 위하여 ampicillin (A)의 첨가로 pediococci의 선발 유효성이 향상된 것으로 보고된 pediococci selective medium(PSM)+A를 이용하여 pediococci 선택적 검출의 유효성을 검토한 결과, 기존에 보고된 결과와는 달리 Pediococcus pentosaceus 외에도 leuconostocs, Lactobacillus casei, Lactobacillus curvatus, Oenococcus oeni, Streptococcus thermophilus에 대한 생육저해가 발생하지 않았다. PSM+A 한천배지를 이용하여 김치에 생육하는 미생물을 검출한 경우, leuconostocs, P. pentosaceus, Weissella koreensis, Lb. curvatus, Lactobacillus brevis, Lactobacillus sakei가 생육하여 김치와 같은 발효침채류의 발효에 관여하는 pediococci의 선택적 선발에는 PSM+A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Enzyme-assisted extraction of Ecklonia cava fermented with Lactobacillus brevis and isolation of an anti-inflammatory polysaccharide

  • Lee, Won-Woo;Ahn, Ginnae;Wijesinghe, W.A.J.P.;Yang, Xiudong;Ko, Chang-Ik;Kang, Min-Cheol;Lee, Bae-Jin;Jeon, You-Jin
    • ALGAE
    • /
    • 제26권4호
    • /
    • pp.343-350
    • /
    • 2011
  • Fermentation and enzyme-assisted extraction (EAE) improve nutrition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foods by increasing the extraction of active compounds, ingestion rates, and body absorptio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applying the EAE process improves the extraction and isolation efficiency of a polysaccharide from fermented Ecklonia cava (FE), which inhibited NO production in lipopolysaccharide (LPS)-activated RAW 264.7 cell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E using the fungi Candida utilis and two different bacteria, namely Lactobacillus brevis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increased protein and carbohydrate contents in comparison with those in non-fermented E. cava (NE). Aqueous extracts of fermented E. cava increased extraction yields and carbohydrate content, compared with the aqueous extract of NE. In addition, treating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with aqueous extracts resulted in reduced NO production compared to that in LPS-treated cells. Ten EAEs of L. brevis-fermented E. cava (LFE) improved NO inhibitory effects in LPS-activated RAW 264.7 cells and the Viscozyme extract (VLFE) from the resulting extracts showed the highest NO inhibitory effect. We found that the >30 kDa fraction of VLFE led to markedly high inhibition of LPS-induced NO production as compared to that in the <30 kDa fraction. The crude polysaccharide isolated from >30 kDa fraction (VLFEP) consisted of fucose and markedly decreased NO production induced by LPS stimulation. VLFEP could be useful as an anti-inflammatory agent to suppress macrophage activation.

Heat-Killed Lactobacillus brevis Enhances Phagocytic Activity and Generates Immune-Stimulatory Effects through Activating the TAK1 Pathway

  • Jeong, Minju;Kim, Jae Hwan;Lee, Ji Su;Kang, Shin Dal;Shim, Sangmin;Jung, Moon Young;Yang, Hee;Byun, Sanguine;Lee, Ki W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0권9호
    • /
    • pp.1395-1403
    • /
    • 2020
  • There is an increasing interest in using inactivated probiotics to modulate the host immune system and protect against pathogens. As the immunomodulatory function of heat-killed Lactobacillus brevis KCTC 12777BP (LBB) and its mechanism is unclear,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LBB on immune response based on the hypothesis that LBB might exert stimulatory effects on immunity. In the current study, we demonstrate that administration of LBB can exert immune-stimulatory effects and promote clearance of foreign matters through enhancing phagocytosis. Treatment with LBB induced the production of TNF-α, IL-6, and nitric oxide in macrophages. Importantly, LBB directly increased the phagocytic activity of macrophages against bacterial particles. LBB was able to promote the production of TNF-α in bone marrow-derived macrophages and splenocytes and also increase the proliferation rate of splenocytes, suggesting that the immune-stimulating activity of LBB can be observed in primary immune cells. Investigation into the molecular mechanism responsible revealed that LBB upregulates TAK1 activity and its downstream ERK, p38, and JNK signaling pathways. To further confirm the immunomodulatory capability of LBB in vivo, we orally administered LBB to mice and assessed the effect on primary splenocytes. Splenocytes isolated from LBB-treated mice exhibited higher TNF-α expression and proliferative capacity. These results show that heat-killed L. brevis, a wildly consumed probiotic, may provide protection against pathogens through enhancing host immunity.

메밀 및 다시마를 포함하는 유산균 발효액의 생리적 기능 (Physiological Functions of Lactic Acid Bacteria Fermented Broth Containing Fagopyrum esculentum and Saccharina japonica)

  • 전숭종;김애령;이종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10호
    • /
    • pp.1110-111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각종 곡물(메밀, 귀리, 검은깨, 검은콩, 율피, 현미, 보리, 들깨, 밀) 및 다시마를 포함하는 Lactobacillus brevis AR1의 발효물 중에서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는 화장품 소재를 조사하였다. 그결과 메밀 및 다시마를 포함하는 Lb. brevis AR1의 발효물을 처리한 섬유아세포에서 효과적으로 콜라겐 합성이 증가하였다. 특히, 다시마 함유 Lb. brevis AR1의 발효물은 양성 대조구인 β-glucan 보다 높은 콜라겐 합성능을 나타내었다. Lb. brevis AR1은 메밀 또는 다시마와 함께 4% MSG를 첨가한 배지에서 72시간 배양한 후, 180 mM의 GABA를 생산하여 84.5%의 GABA 전환율을 나타내었다. 메밀 및 다시마를 포함하는 Lb. brevis AR1의 발효물은 생쥐 피부의 염증 반응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졌고 섬유아세포에서는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 결과들은 메밀 및 다시마를 포함하는 Lb. brevis AR1의 발효물이 피부 주름 개선과 항염증 효과를 가지는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유산균 접종에 의한 하수 슬러지의 가용화 (Solubilization of Sewage Sludge by Inocul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 양현상;최정은;이은영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33-239
    • /
    • 2008
  • A new approach to the solubilization of excess activated sludge by the inocul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was studied to reduce the amount of sludge produced in the activated sludge treatment process. Aerobic microorganism in sludge was lysed in anaerobic condition and the cytoplasmic substance eluted was utilized as a carbon source by lactic acid bacteria. On the basis of sludge solubilization efficiency, Lactobacillus brevis and Leuconostoc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were selected the best candidates among five kinds of Lactobacillus sp. and seven kinds of Leuconostoc sp. The sludge solubilization efficiency by heterofermentative lactic acid bacteria was more efficient than that of homofermentative bacteria. Initial value of soluble COD (sCOD) was 1050 mg/L at the initial inoculation time increased to 3070 mg/L (192% solubilization) at 96 h of the incubation time. The inoculation of lactobacillus brevis to the sludge resulted in 2824% increase in sCOD value after 96 h of incubation than the control experiment. Leuconostoc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showed 152% increase of solubilization and 30% increase of S-COD/T-COD on 96 h of incubation time. Considering the increase of S-COD by the inoculation of Leuconostoc sp. on 24 h, 10% inocul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to the sludge was most effective.

열무 추출물과 Cold Shock가 김치 젖산균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Yulmoo Extract and Cold Shock on the Growth of Kimchi Lactic Bacteria)

  • 김은정;한영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3권1호통권97호
    • /
    • pp.78-82
    • /
    • 2007
  • Yulmoo Kimchi becomes sour without carbonated taste when ripened at room temperature after being placed under cold temperature. The carbonated taste of Kimchi is reported to come from the hetero lactic fermentation of Leuconostoc strains. Yulmoo extract was made with methanol and added to four lactic bacteria strains originating from kimchi. The bacteria were also subjected to $1^{\circ}C$ for 24 hours as a cold shock treatment. after which Leuconostoc mesenteroide subsp. dextranicum KCCM 40708, Lactobacillus brevis KCTC 3102, Lactobacillus plantarum KCTC 3108, and Leuconostoc lactics KCTC 3528 strains showed a growth inhibition with the addition of Yulmoo extract at the concentration of 250-4,000 ppm. Leuconostoc mesenteroide subsp. dextranicum KCCM 40708, Lactobacillus brevis KCTC 3102, Lactobacillus plantarum KCTC 3108, and Leuconostoc lactics KCTC 3528, a strains appearing at the early stage of Kimchi fermentation, showed a higher growth inhibition following Yulmoo treatment in combination with the cold shock.

차엽카테킨의 김치발효 지연 및 관련 미생물의 증식억제 (Retardation of Kimchi Fermentation and Growth Inhibition of Related Microorganisms by Tea Catechins)

  • 위지향;박근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275-1280
    • /
    • 1997
  • 차엽카테킨을 김치 천연보존제로서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차엽에서 분말형태로 차엽카테킨을 조제하였다. 이 차엽카테킨을 김치산패에 관여하는 미생물인 St. feacalis, Leuc. mesenteroides, L. plantarum, L. brevis, P. cerevisiae와 Sachh. cerevisiae를 대상으로 항미생물 활성을 검정한 결과, Leuc. mesenteroides, L. plantarum, P. cerevisiae에 대해서는 2 mg/mL 첨가수준, St. faecalis는 4 mg/mL 첨가수준, L. brevis는 5 mg/mL 첨가수준에서부터 균의 생육이 억제되기 시작하였으나 Sacch. cerevisiae에 대한 생육억제효과는 낮았다. 차엽카테킨을 배추김치와 물김치에 첨가시기와 첨가수준을 달리하여 첨가하여 숙성중의 pH 및 산도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두종의 김치 모두 2 mg/g 첨가수준 이상에서 pH저하와 산도증가가 억제되어, 김치의 천연보존제 및 산패억제제로서 차엽카테킨의 이용가능성이 시사되었다.

  • PDF

Sorbic acid가 김치발효와 Ascorbic acid 안정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orbic Acid on the Kimchi Fermentation and Stability of Ascorbic Acid)

  • 안숙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8-26
    • /
    • 1985
  • 배추김치와 동치미에 sorbic acid 0.05%를 첨가하여 $^23~25{\circ}C$에서 숙성시키면서, 성분변화 및 유산균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sorbic acid를 첨가한 김치는 control김치보다 pH저하를 억제시키고, 과잉의 산생성도 다소 억제시켰다. 2. 염분은 배추김치가 2.3%, 동치미는 2.5%였다. 3. ascorbic acid 함량은 sorbic acid 첨가 김치가 숙성기간내내 함양이 더 많았다. 특히 환원형 ascorbic acid 잔존량이 많았다. 4. 배추김치.동치미에서 분리.동정된 유산균은 le-uconostoc mesenteroides,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bacillus brevis, streptococcus faecalis, pedio-coccus pentosaceus 였다. 5. 유산균의 생장 및 산생성에 미치는 sorbic acid 의 영향은 lactobacillus plantarum이 가장 영향을적게 받았고, leuconostoc mesenteroides가 가장 영향을 많이 받았다. 6. 김치숙성중 유산균의 변화는, sorbic acid 첨가 김치에서는 배추김치.동치미 모두 leuconostoc mes-enteroides가 가장 많이 억제되었고, lactobacillus plantarum이 가장 영향을 적게 받았다. 효모균은 완전히 억제되었다. 7. 관능검사결과 유의적만 차가 있게 PH 4~4.3부근에서는 control김치가 더 맛이 있었고, pH 3.7~3.8 인때는 sorbic acid 첨가 김치가 더 맛이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