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ctobacillus Fermentation

검색결과 963건 처리시간 0.03초

열처리 및 겨자유의 첨가가 김치 발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Low Temperature Heating and Mustard Oil on the Kimchi Fermentation)

  • 홍완수;윤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31-337
    • /
    • 1989
  • 항균력을 지닌다고 보고된 겨자유는 김치의 주요 유산균인 락토바실루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루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페디오코커스 세레비지에 (Pediococcus cerevisiae), 로이코너스톡 메세테로이데스(Leuconostoc mesenteroides)에 항균력을 지니고 있었으며, 김치제조시 겨자유 및 겨자분을 첨가하였을 때 적숙기에 이르는 시간이 지연되었다. 겨자유의 매운맛은 배추, 무우의 매운맛 성분과 잘 조화되어 풍미에 좋은 영향을 줄 뿐 아니라 신맛을 약화시키는 효과도 지니고 있었다. 저온 열처리+겨자+과산화수소 처리 병용은 숙성이 완만하게 진행되어서 대조군에 비해 김치 적숙기에 이르는 시간이 2.5배 정도 연장되었다. 저온 열처리+겨자+과산화수소+후처리 병용군은 $15^{\circ}C$에서 저장하는 동안 발효가 천천히 진행되어 저장 15일 후에도 pH 4.32, 산도 0.4%로서 숙성 초기단계에 머물러 있었으며 대조군에 비해 김치적숙기에 이르는 시간이 5배 정도 연장되었다.

  • PDF

Lactobacillus acidophilus NCFM의 배양 및 저장 중 D(-) 및 L(+)-lactic acid의 변화 (D(-) and L(+)-Lactic Acid Determination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during Fermentation and Storage Period)

  • 이경욱;신용국;백승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68-174
    • /
    • 1998
  • 이 연구는 발효유 제조시 사용되는 Lactobacillus acidophilus NCFM이 생산하는 lactic acid의 생성변이를 조사하므로써 발효유 제조시 D(-)-lactic acid의 함량을 최소화하고 보존 중의 D(-)-lactic acid의 함량도 최소화하므로써 보다 인체에 유익한 발효유의 제조를 위한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발효온도는 $37^{\circ}C$에서 산생성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D(-)-lactic acid의 비율도 가장 낮았다. 보존온도에 따른 변이에서는 저온에서 후산생성도 적었으며, D(-)-lactic acid의 비율도 가장 낮았다. 또한 처리에 따른 산생성에서는 호기상태에서 산생성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D(-)-lactic acid의 함량이 가장 낮았다.

  • PDF

차엽카테킨의 김치발효 지연 및 관련 미생물의 증식억제 (Retardation of Kimchi Fermentation and Growth Inhibition of Related Microorganisms by Tea Catechins)

  • 위지향;박근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275-1280
    • /
    • 1997
  • 차엽카테킨을 김치 천연보존제로서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차엽에서 분말형태로 차엽카테킨을 조제하였다. 이 차엽카테킨을 김치산패에 관여하는 미생물인 St. feacalis, Leuc. mesenteroides, L. plantarum, L. brevis, P. cerevisiae와 Sachh. cerevisiae를 대상으로 항미생물 활성을 검정한 결과, Leuc. mesenteroides, L. plantarum, P. cerevisiae에 대해서는 2 mg/mL 첨가수준, St. faecalis는 4 mg/mL 첨가수준, L. brevis는 5 mg/mL 첨가수준에서부터 균의 생육이 억제되기 시작하였으나 Sacch. cerevisiae에 대한 생육억제효과는 낮았다. 차엽카테킨을 배추김치와 물김치에 첨가시기와 첨가수준을 달리하여 첨가하여 숙성중의 pH 및 산도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두종의 김치 모두 2 mg/g 첨가수준 이상에서 pH저하와 산도증가가 억제되어, 김치의 천연보존제 및 산패억제제로서 차엽카테킨의 이용가능성이 시사되었다.

  • PDF

Rice bran fermentation by lactic acid bacteria to enhance antioxidant activities and increase the ferulic acid, ρ-coumaric acid, and γ-oryzanol content

  • Le, Bao;Anh, Pham Thi Ngoc;Kim, Jung-Eun;Cheng, Jinhua;Yang, Seung Hwa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2권3호
    • /
    • pp.257-264
    • /
    • 2019
  • Rice bran is considered a natural source of antioxidants. In this study, rice bran was fermen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to increase its antioxidant activity. Four strains isolated from fermented food, Lactobacillus plantarum MJM60383, Lactococcus lactis subsp. lactis MJM60392, Lactobacillus fermentum MJM60393, and Lactobacillus paracasei MJM60396, were confirmed as safe through stability tests such as safety assessment for biogenic amine production, hemolytic activity, and mucin degradation, and showed high reducing capacity. The antioxidant activity of rice bran fermentation altered by these strains was evaluated using several methods including measurement of $Fe^{2+}$ chelating activity and scavenging activity by 1,1-diphenyl-2-picryl-hydrazil (DPPH),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and nitric oxide assays. In this study, the total phenolic content and ${\gamma}$-oryzanol were evaluated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ompared to non-fermented rice bran and a commercial product, rice bran fermented with Lactococcus lactis subsp. lactis MJM60392 showed the highest phenolic content (844.13 mg GAE/g). Moreover, the content of ferulic acids, ${\rho}$-coumaric acid, and ${\gamma}$-oryzanol in rice bran increased after fermentation with L. lactis subsp. lactis MJM60392 and L. fermentum MJM60393 compared to other samples. Indeed,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NO scavenging activity were also found to be high in these fermented rice bran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fermentation with lactic acid bacteria increases the active compound levels and the potent antioxidant activities of rice bran.

Protease를 생산하는 Lactobacillus paracasei의 분리와 이를 이용한 두유 발효 최적화 (Optimization of Soymilk Fermentation by the Protease-producing Lactobacillus paracasei)

  • 이설희;장동훈;최혁준;박영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571-57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김치나 젓갈 등 각종 발효식품으로부터 단백질 가수분해 활성이 있는 총 108주의 분리된 유산균 중 일정 수준이상의 protease 활성을 지니는 29주를 선정하였다. 그 중 두유단백질 분해능이 가장 높은 균주 MK1을 본 연구의 발효균주로 최종 선정하였고, 생리학적 특성 및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등과 같은 분자유전학적 분석을 통해 Lactobacillus paracasei MK1로 동정 및 명명하였다. L. paracasei MK1을 이용하여 두유의 최적 발효산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pH, 적정 산도, 생균수 및 단백질 분해 양상에 따른 최적화 연구를 실시하였다. L. paracasei MK1의 종배양액을 멸균한 두유에 2%(v/v)접종하여 발효시켰을 경우, 발효의 최적온도는 $30^{\circ}C$이었으며, 이 때의 적정산도와 pH는 발효 초기 0.15%와 pH 7.31에서 24시간 발효 후 0.98%과 pH 4.56으로 변화하였다. 생균수는 초기 6.94 log CFU/mL에서 발효 후 9.03 log CFU/mL로 증가하였다. 두유의 최적 희석배수는 50%로서 적정산도는 배양 24시간 후 0.08%에서 0.45%로 증가하였다. 최적 초기 pH는 6.0이었으며 탄소원으로 2%(w/v) glucose를 50%로 희석한 두유에 첨가하고, $30^{\circ}C$에서 두유 발효를 실시하였을 때 가장 적합한 발효 경향을 나타내었다.

어성초(Houttuynia cordata Thunb) 유산균 발효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Extracts from Houttuynia cordata Thunb.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 김용민;정해진;정헌식;성종환;김동섭;김한수;이영근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68-47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 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이미 알려진 어성초의 효능을 더욱 증가시켜 고부가가치를 지닌 기능성 원료로써 활용하고자, Leuconostoc mesenteroides 4395와 Lactobacillus sakei 383 두 유산균을 이용하여 발효시킨 후 그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항산화 활성 척도로써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였는데 10일간의 발효에서 두 균주 모두 발효 5일차에, 발효온도는 Leuconostoc mesenteroides 4395가 30℃에서 71.67±0.52%, Lactobacillus sakei 383는 35℃에서 70.11±0.67%로 각각 최대의 활성이 나타났으며, 두 가지 균 모두 대조군인 미발효물에 비해 DPPH 라디칼 소거능이 약 20% 상승하였다. 총 페놀함량에서는 대조군이 35.90±0.61 mg/g 함유한 반면에 발효한 후 두 균주 모두 약 10 mg/g씩 증가하였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에서도 대조군의 21.69±1.52 mg/g에 비해 약 6 mg/g 이상 증가함을 나타내었다. SOD 유사활성에서는 발효의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대조군에 비해서는 미약하게 증가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어성초의 유산균 발효물이 발효하지 않은 어성초에 비해 항산화 활성이 더욱 높아, 고부가가치를 지닌 기능성식품의 원료로써 활용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수용성 β-glucan을 함유한 꽃송이버섯 발효액의 제조 (Preparation of fermentation broth of Sparassis latifolia containing soluble β-glucan using four Lactobacillus species)

  • 조한교;최문희;신현재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0-5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꽃송이버섯 건물과 powder를 각각 Yeast Extract broth와 MRS broth에서 Lactoballius 4종(L. plantarum, L. acidophilus, L. helveticus, and L. delbrueckii)과 함께 발효시켰다. 발효액의 final pH는 pH $3.9{\pm}0.02$로 유산균의 일반적인 final pH 값과 일치함을 통해 유산균의 발효를 확인하였고, 유산균에 의한 꽃송이버섯 발효의 효과를 ${\beta}$-glucan 함량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Yeast Extract broth 발효액은 YSB-2LP 1.65 g/100 g으로 ${\beta}$-glucan을 거의 함유하고 있지 않았지만 MRS broth 발효액은 Yeast Extract broth 발효액의 10배에 달하는 MPB-1LP 10.84 g/100 g을 함유하고 있었다. MPB-1LP는 꽃송이버섯 powder와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발효한 발효액으로 pH stress로 인해 만들어진 L. plantarum의 ${\beta}$-D-glucosidase에 의해 분해된 고분자량의 수용성 ${\beta}$-glucan이라 사료된다. 꽃송이버섯을 powder 상태로 L. plantarum과 함께 발효시켰을 때 꽃송이버섯의 수용성 ${\beta}$-glucan 추출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꽃송이버섯 유산균 발효물의 면역촉진 작용 연구를 위한 기초연구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김치의 저온 발효 중 미생물 변화 양상 (Change of Microbial Communities in Kimchi Fermentation at Low Temperature)

  • 박정아;허건영;이정숙;오윤정;김보연;민태익;김치경;안종석
    • 미생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45-50
    • /
    • 2003
  • 분자 생물학적 방법 인 DGGE를 이용하여 저온에서 김치가 발효되는 동안 관여하는 미생물의 다양성과 변화양상을 분석하였다. 김치를 저온 ($4^{\circ}C$)에서 발효시키는 60 일 동안 5 일 마다 시료를 채취하였으며, 채취한 김치 시료에서 genomic DNA를 추출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김치 시료 genomic DNA로부터 16S rDNA의 V3영역을 증폭하여 DGGE를 수행한 결과에서 관찰된 amplicon들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저온에서 김치가 발효되는 동안 젖산균들이 주요 미생물 군집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Weissella koreensis가 발효 전 과정 동안, Lactobacillus sakei의 경우는 발효 10 일째부터, 그리고 Leuconostoc gelidurn은 발효30 일째부터 amplicon들의 농도가 진하게 나타나 이들이 저온에서 김치 발효 과정 동안의 우점종 균주들 임을 알 수 있었다.

발효 애기똥풀 주정추출물의 항균 및 항산화활성에 있어 발효 균주의 효과 (Effects of Different Starter Cultures on the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Fermented Chelidonium majus var. asiaticum)

  • 함영주;신영근;최낙진;강상모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467-476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ermentation on biological activity of Chelidonium majus var asiaticum and to screen effective starter culture strains.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to Sta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and Salmonella gallinarum and antioxidant activity as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by using DPPH were tested. Total six starter culture strains, two of Lactobacillus brevis, one of Lactobacillus plantarum and three of Saccharomyces cerevisiae were used. Plant extract was prepared after fermentation by using ethanol. All strains showed normal growth in viable cell counts of fermented cultures and L. plantarum showed the highest cell growth significantly (p<0.05). In antibacterial activities of extracts, the activity was found only in the extract from the fermentation using L. plantarum. In antioxidant activity, the highest activity was shown in the fermentation using L. plantarum significantly (P<0.05). Newly produced spots in two of three elution systems on TLC-DPPH test were detected in the fermentation using L. plantarum.

뽕잎의 유산발효에 의한 Piperidine Alkaloid 함량 증진 (Enhancement of Piperidine Alkaloid Contents by Lactic Acid Fermentation of Mulberry Leaves (Morus alba L.))

  • 류일환;권태오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472-478
    • /
    • 201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solid-state fermentation method using cellulolytic lactic acid bacteria Lactobacillus plantarum TO-2100 in order to increase piperidine alkaloid contents in mulberry leaves. Piperidine alkaloid, one type of which include 1-deoxynojirimycin (1-DNJ), is known to inhibit ${\alpha}$-glycosidase activities. Using this strain, the optimal solid-state fermentation conditions on mulberry leaves powder were found as the following: initial moisture content,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were 20%, $30{\sim}35^{\circ}C$ and 60 ~ 70%, respectively, and the fermentation time was 72 hrs. The piperidine alkaloid contents in the fermented mulberry leaves were 2.86% on dry powder, which is 7-fold increase from that of non-fermented mulberry leaves. The 1-deoxynojirimycin contents after applying preparative thin layer chromatography were 2.02% on dry powder, which is 8 times higher than that of non-fermented mulberry leaves. ${\alpha}$-Glycosidase activities was inhibited by 65.7 ~ 84.7% with 3 ~ 5% treatments of hot-water extracts of the fermented mulberry leaves, compared to 16.2 ~ 40.2% with 3 ~ 5% treatments of hot-water extracts of non-fermented mulberry leaves. Therefore, the results suggest that solid-state fermentation method does indeed increase of piperidine alkaloid contents on mulberry lea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