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bor Turnover

검색결과 189건 처리시간 0.03초

오리제초 수도작의 벼 수량, 경제성 및 환경친화성 평가 (Yield of Rice, Analysis of Economics and Environmental Impact in Duck-Paddy Rice)

  • 손상목;김영호;임경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45-71
    • /
    • 2001
  • The duck-rice forming system is increasingly spread up throughout Korea since 1992. It is discussed the rice field, rice quality, weed and pest management in the duck-rice weeding system compared to conventional farming system. Moreover the optimizing duck population, system management and fertilizer application rate were reported. Energy input and output by duck-rice farming system were carefully compared with those of low input sustainable paddy field and conventional farming paddy field. To find out the environmentally sound function of duck-rice system, the total nitrogen in paddy soil and paddy water, and nitrogen cycle in paddy rice cultivation system were analysed. finally the input and output were calculated,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 were determined in terms of nitrogen balance, labor input, animal input, renewable energy input, turnover of soil organic matter, energy loss, non-renewable indirect and direct energy input. It was concluded duck-rice weeding system could be recommended in terms of net only environmentally sound, but also farmer's income. But there are still some research needs for successful adaption of duck-rice farming to investigate to determine the optimal population of duck in rice paddy field unit, release time of duckling, duck management after release, and strategy for duck marketing and duck processing.

  • PDF

연근해어선에 승무하는 외국인 어선원의 관리방안 (A Study on Management of Foreign Seamen on Board Coastal & Offshore Fishing Boats)

  • 차철표;박종운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3권3호
    • /
    • pp.515-525
    • /
    • 2011
  • Due to changes in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of coastal & offshore fishery such as decrease in coastal & offshore fishery resources, rising labor costs, rising gas prices, rising turnover rate of seamen, and intensified avoiding 4D types of business, the domestic seamen's avoidance of going to sea is being intensifi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domestic seamen shortage, coastal & offshore fishery businesses prefer to employ foreign seamen whose wages are relatively low, so employment of foreign seamen continues to increase. However, the foreign seamen system has the problems in selecting and managing seamen but these problems have been not adequately dealt with, so damages to fishery business continue to occur due to the seamen's deserting. The cases, in which foreigners who entered the country to take the sea in coastal & offshore fishing boats deserted their workplace, recorded 36.4% as of 2010. So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foreign seamen system itself through rational management of foreign seamen, the exclusive organization to manage foreign seamen should be established and the system to rationally select foreign seamen who have experiences of fishery should be established. The utilization of foreign seamen during off season needs to be maximized by establishing the employment connection system for the management of foreign seamen and employment stabilization, and the exclusive organization for education of foreign seamen and the organization for nurturing domestic seamen need to be established and operated.

전국 임상치과위생사의 근무환경 실태조사 (Survey on the working environment of national clinical dental hygienists)

  • 강현숙;정영란;조윤영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863-878
    • /
    • 2018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gional distribution and working environment of clinical dental hygienists in Korea. Methods: From 2015 to October 2016, a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5,708 participants and the data were analyzed. Results: The region with the largest increase in clinical dental hygienist employees compared to graduates is Seoul. More than 50.0% of clinical dental hygienists working for less than 1.8 million won in the payroll period of 4-6 years were working in the Gwangju Jeonnam, Jeonbuk, and Gangwon regions. In addition, incentives and bonuses were rarely provided by localities and agencies. Although 43.4% provided both parental leave and maternity leave. Conclusions: In order to solve the fundamental problem of inter-regional movement and employee turnover rate of clinical dental hygienists, as well as address the regional imbalance in labor supply and demand, efforts should be made for institutional improvement to strengthen management and implementation.

전문대졸 청년층의 재학 중 직무경험이 첫 일자리 근속기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Job Experiences of College Graduate Youths on Employment Period in Their First Job)

  • 유재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164-173
    • /
    • 2018
  • 본 연구는 전문대학 졸업자의 근속기간 이탈 위험요인들과 재학 중 직무경험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2015 대졸자직업 이동경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바로 대학에 진학한 30세 미만의 전문대학 졸업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학 중 직무경험자들은 비경험자들에 비해 가계소득과 같은 경제적 특성에서 비교적 낮은 편이었으나 학교특성에서는 활발한 취업준비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재학 중 직무경험 여부에 따라 초기 노동시장 진입 특성 역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재학 중 직무경험자의 첫 일자리 이행기간이 짧고 근속기간은 길었으나 임금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Cox 회귀분석을 통해 근속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고 재학 중 직무 경험, 경험횟수, 경험기간이 이직위험을 낮추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재학 중 직무경험이 다음 일자리의 유지기간을 높인다는 점은 이전 직장경험과 같은 양상을 보이고 있지만 재학 중 직무경험 횟수가 많은 점은 반대로 근속기간 유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청년취업자의 노동이동 및 고용형태 전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Youth Employee's Labor Mobility and Employment Status Transition)

  • 반정호;김경희;김경휘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7권3호
    • /
    • pp.73-103
    • /
    • 2005
  • 본 연구는 청년패널 자료(2002-2003)를 활용하여 청년취업자의 노동이동 및 고용형태 전환의 실태를 파악하고 고용형태의 전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주요 분석 결과 및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취업자의 비정규직 고용은 약간의 감소를 보이지만, 같은 기간 취업청년계층이 정규직에서 비정규직이나 실업(혹은 비경제활동인구)으로 대거 전환되는 된 것으로 나타나, 우리나라의 청년계층의 고용이 매우 불안정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여성이나 저학력자의 비정규직 고용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고, 실업이나 비경제활동 인구로 전환되는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들 계층의 고용안정화를 위해 정부차원의 차별적인 정책이 요구된다. 둘째, 청년계층의 구직활동이 공식적인 경로에 의해 이루어진 경우나 직장에서 배치된 직무가 적절할수록 비정규직 함정에 빠질 위험이 낮아진다는 결과를 보여주어, 청년계층에 대한 취업의 경로를 공식화하고 청년계층의 교육이나 기능(기술)수준에 적합한 직무배치를 통해 고용의 질적인 수준을 향상시켜야 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규모가 큰 대기업일수록 비정규직 함정에 빠지게 될 위험이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최근 청년계층의 대기업 정규직 채용이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감안할 때, 오히려 소규모 사업체나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여 청년계층의 입직을 증가시키는 방안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청년취업자의 직장형태가 정부관련 기관일수록 비정규직 함정에 빠질 위험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와 같은 결과는 제한적인 연구기간으로 인해 단언하기는 어렵지만, 우리나라의 청년실업정책이 공공근로나 인턴제와 같은 비정규직 고용을 중심으로 실시되고 있는 현실을 반영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현행 청년실업 정책은 청년계층으로 하여금 안정된 직업경력을 확보하거나 정규직으로 전환을 촉진시키는 가교역할을 할 수 있는 고용정책으로 변화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지체장애근로자의 직업성공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to affect the career success among workers with disabilities)

  • 이달엽
    • 한국사회복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사회복지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 /
    • pp.185-216
    • /
    • 2003
  • 본 연구에서 지체장애근로자들의 직업성공을 구성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이들 요인이 직업성공과 이직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조사하여 가설적 이론모형을 검증하려는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서 지체장애를 가진 근로자 374명과 일반근로자 453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나타난 주요 연구결과들은 다음과 같이 요약되었다. 첫째, 장애근로자와 일반근로자의 직업성공을 구성하는 요인은 개인, 가정, 조직의 측면에서 나타났다. 개인적인 측면은 자아존중감과 자아효능감으로 구성되었고, 가족적인 측면은 다중역할스트레스와 자녀의 수로 구성되었다. 조직적인 측면은 자원활용능력, 네트워킹, 그리고 조언자로 구성되었다 이 밖에도 주관적인 직업성공과 객관적인 직업성공이라는 잠재변수에서 종 10개의 측정변수가 도출되었다. 둘째, 장애근로자와 일반근로자 집단 모두 직종이 직업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관측변수에서는 두 집단에서 직업성공에 영향을 주는 변수가 서로 다르게 나왔다. 장애근로자집단은 이직을 했을 때 평균적으로 근속한 년수와 임금을 제외하고 나머지 모든 관측변수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집단은 조언자와 근속년수를 제외하고 나머지 모든 관측변수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장애근로자와 일반근로자 집단 모두 연령과 이직 경험이 이직 (이직횟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장애집단은 친구의 수, 일반집단은 직업선택 시 중요하게 고려하는 사망이 각각 이직에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어 두 집단의 자이를 보여주었다. 또한 관측변수에서도 장애집단은 배우자의 직업과 근속년수, 일반집단은 다중역할 스트레스와 이직평균 근무년수에서 각기 다르게 이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설적 경로모형을 검증한 결과 제 1모형은 어느 정도 타당하고 직업성공을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 2모형은 카이스퀘어와 자유도 ($x^2=64950$, df=61, P=0341), 기초부합치 (AGFI)는 .954, 비적합지수 (CFI)는 997, 그리고 원소간의 평균차이 (RMR)도 .038로써 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모두 허용된 범위 안에 있기 때문에 매우 적합한 모형으로 직업 성공을 보다 높게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직종이 두 집단 모두에서 직업성공을 예측하는데 주요한 변수로 나타나 장애근로자들의 학력을 높이고 계속해서 전문화 육에 많은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특히, 임금정도와 같은 객관적인 직업성공 보다는 임금과 진급에서의 만족과 같은 주관적인 직업성공에 더욱 더 많은 고려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장애근로자의 이직을 줄이기 위해서는 직장 내에서 유용한 인적 자원과 네트웍의 수를 늘여야 할 것이다. 이것은 장애집단이 일반집단보다 대인관계에 대해서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 PDF

국내 제조기업의 ERP 시스템 도입의 정량적 성과에 관한 연구 (The Quantitative Effects of ERP Systems in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 장활식;박광오;최우혁;한정희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26권
    • /
    • pp.27-60
    • /
    • 2008
  • Researches on the introduction of ERP system kept on examining the critical successful factors (CSFs) that focus on factors to achieve effectively successful projects, and trying to measuring the actual effectiveness of the introduction of ERP system. However, most of the preceding researche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introduction of ERP system that was searching devoted effects has been ceased, and actually even researches on the economical results have just done the basic cognitive evaluation of result indicators by many questionnaires instead of objective measuring values, because of the difficulty of measuring the evaluation of the result. Moreover, researches on positive effects of the introduction of ERP on enterprise results and researches that failed to give advantageous effects showed different results each other. And a part of researches reported that only a part of result indicators were partially affected. In this research, we investigated Korean large enterprises or middle-sized enterprises in manufacture industry that introduces SAP R/3 and Oracle package to compare their quantitative financial results after the introduction of ERP system, in order to measure the effects of the ERP system. First, we evaluated the difference of the quantitative financial results before and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ERP system. Second, we evaluated the opportunities shown by the effects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ERP system. Third, we removed the sample of the exchange crisis (IMF) and executed the additional analysis to reflect the average increasing and decreasing rate in the industry, so that pure evaluation can be achieved. Inherent limits of precedent researches are removed and practical effects of the pure introduction of the ERP system are evaluated, so the research of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Because of the introduction of ERP, the rate of turnover of inventory property has increased and sales of preparation inventory property have decreased so that more effective inventory property management has been achieved. Moreover, preparation sales of labor costs and preparation sales of the number of employees have decreased to show the effect of the reduction of labor costs. However, it could no be concluded that we could increase the profit due to the introduction of ERP system. Due to the introduction of ERP, although we concluded that the return on assets (ROA) and the additional value of one-person employee statistically showed obvious differences and increased, the return on equity failed to show obvious differences after the process of introduction of ERP.

  • PDF

IPA 분석 기법에 기초한 조리사의 직업 선택 동기에 따른 만족도에 관한 연구 (Study on Satisfaction with Career Choice Motivations for Chefs through IPA Analysis)

  • 김헌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65-27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어떠한 동기요인이 조리사에 대한 직업을 선택하게 하는 지에 대해 학술적인 고찰을 거쳐 직업선택 동기의 중요도와 만족도 간에 IPA 분석하고, 동기요인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조리사 직업선택 동기에 따른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현실, 자기중심, 가치 등은 만족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안정은 만족도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따라서 회사를 운영하는 경영자는 직원들에게 승진의 기회 증가, 능력발휘 기회, 보상, 경력개발, 근무환경 개선 등을 통하여 종사원들이 안정적으로 근무할 있도록 동기 부여를 해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기업체에서 운영하는 영업장이나 특급호텔에서는 개인이 운영하는 영업장과는 달리 초과수당, 세탁서비스, 직원식당, 야근수당, 40시간 근무 등 근로기준법이 적용하여 운영하지만, 아직까지는 기업체가 아닌 개인이 운영하는 개인운영업장이나 신규오픈한 대부분의 호텔들은 그렇지 못하기 때문에 후생복리의 중요도가 낮게 나타났고, 이직율이 높은 것으로 예상된다.

SCM 시스템 도입성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 - 구조방정식모형 접근 - (Empirical Research on Performance of SCM Adoption -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

  • 박광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295-310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SCM을 도입한 기업들의 정성적, 정량적 성과를 분석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모형의 검증을 위해 SCM을 도입하여 실행한지 1년 이상 되는 기업에 5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그 중 유효한 153부가 회수되어 연구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SCM 성과영향요인들을 도출하여, 이들 간의 상호영향관계 모형화를 통해, SCM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망하고, SCM 도입으로 인한 기업의 재무비율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하면 다음과 같다. 변화관리는 정보시스템 품질과 SCM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보시스템 품질 역시, SCM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CM 도입 후 재무비율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재고회전율, 투자수익률, 자산수익율은 증가하였고, 매출액 대비 인건비는 감소하였다.

Collaborative Governance in Philippine Science and Technology Parks: A closer look at the UP - Ayala Land Technohub

  • Sale, Jonathan P.
    • World Technopolis Review
    • /
    • 제4권1호
    • /
    • pp.23-32
    • /
    • 2015
  • Public-private partnerships (PPPs) are very popular governance practices, as they enable the private partner to engage in business and have profits while the public partner improves the provision of public services. PPPs are organizational arrangements with a sector-crossing or sector-blurring nature, and are modes of governance - governance by partnerships or collaborative governance (Schuppert 2011). New models and applications of PPPs have been developed over time. Collaborative governance entails information exchange, action or movement harmonization, resource sharing, and capacity enhancement among the partners (Sale 2011; 2012a). As the national university, the University of the Philippines (UP) serves as a research university in various fields of expertise and specialization by conducting basic and applied research and development, and promoting research in various colleges and universities, and contributing to the dissemination and application of knowledge, among other purposes. (Republic Act 9500) It is the site of two (2) science and technology parks (Sale 2012b), one of which is the UP - Ayala Land Technohub. A collaboration between industry and the academe, the Technohub is envisioned as an integrated commun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companies building a dynamic learning and entrepreneurial laboratory (UP-AyalaLand Technohub). This paper takes a closer look at the UP - Ayala Land Technohub as an example of a PPP or collaborative governance in science and technology parks. Have information exchange, action or movement harmonization, resource sharing, and capacity enhancement taken place in the Technohub? What are some significant outcomes of, and issues arising from, the PPP? What assessment indicators may be used? Is a governance instrument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