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bor Turnover

검색결과 189건 처리시간 0.021초

호텔 종사자의 감정노동과 사회적 지지가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Social Support on Turnover Intention of Hotel Workers)

  • 고미진;정혜선;백은미;정명희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52-159
    • /
    • 2018
  • Purpose: This study identified the influence of hotel workers' emotional labor and social support on their intentions to change jobs. Methods: Study participants were 437 workers from seven hotels in Korea who consented to the survey. Among them, insufficient responses from 21 participants were excluded, as well as 107 responses from workers with workloads of under one hour of face to face work. Thus, 309 hotel workers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A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 hotel workers' intention to change jobs. Results: The intention to change jobs was high when external behavior was shown, and workers who received social support from a superior exhibited low intention of changing jobs.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s of turnover intention are external behavior and the support of a superior. It is therefore important to educate managers on personnel management methods for reducing external behaviors so that the rate of job changes by hotel workers can be reduced. It is also necessary to prepare and manage measures for strengthening the support system by workplace superiors.

임상치과위생사들의 감정노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Emotional Labor of Clinical Dental Hygienists)

  • 이명주;김영남;이소영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13-118
    • /
    • 2015
  • 임상치과위생사들의 감정노동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여 치과위생사들의 감정노동에 대처하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2013년 6월부터 9월까지 부산, 경남지역 치과병, 의원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자의 감정표현의 빈도 수준은 $72.33{\pm}17.78$, 감정표현의 주의성 수준은 $72.76{\pm}13.92$, 감정의 부조화의 수준은 $64.46{\pm}15.16$이었으며, 전체 감정노동 수준은 평균 $69.85{\pm}12.82$였다. 일반적인 특성 및 이직관련 특성에 따라 감정노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결혼상태에서는 감정표현의 빈도가 기혼보다 미혼이 높게 나타났다(p<0.037). 근무기관에서는 감정표현의 빈도는 종합병원 및 대학병원보다 치과병 의원이 높게 나타났으며(p<0.001), 감정표현의 주의성은 치과병원보다 치과의원이 높게 나타났다(p<0.002). 감정의 부조화에서는 치과병원보다 치과의원이 높게 나타났으며(p<0.032), 전체에서는 치과병원과 종합병원 및 대학병원보다 치과의원이 높게 나타났다(p<0.001). 이직의도가 있는 군에서 감정표현의 빈도(p<0.001), 감정표현의 주의성(p<0.001), 감정의 부조화(p<0.001), 전체(p<0.001)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감정노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이직의도(p<0.001)와 근무기관(p<0.001)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치과위생사들의 감정노동에 이직의도와 근무기관이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정노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조직적 차원의 개선이 필요하며, 감정노동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감성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한국 임상치과위생사의 이직의도 관련 요인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Turnover intention among dental hygienists in Kore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이다솜;홍해경;한경순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59-272
    • /
    • 2022
  • Objective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turnover intention of registered South Korean dental hygienists and analyze the effect sizes. Methods: Overall, 54 studies based on criteria of PICO from 1 January 2000 to 11 January 2022 were extracted. The factors related to turnover intention were applied to the ecological system theory and categorized. Subsequently, the effect size of the correlations was comprehensively meta-analyzed by dividing it into protective and risk factors depending on the negative or positive correlation direction. Results: For the overall effect size, the protective factor (ESr=-0.458) was higher than the risk factor (ESr=0.352). In the protective factor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belonging to the microsystem yielded the largest effect size. Furthermore, as for risk factors, burnout, job stress, work harassment, role conflict, and emotional labor belonging to the microsystem showed a moderate effect size. Conclusions: Factors belonging to the microsystem demonstrated a large effect size in both protection and risk factors for dental hygienists' turnover intention. Additionally, the factor showing the largest effect size was protective factor categorized into a microsystem.

콜센터 상담직원의 직무특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셀프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call center agent job characteristics on turnover intention : focused on moderating effect of self leadership)

  • 오종철;안운석
    • 벤처혁신연구
    • /
    • 제1권1호
    • /
    • pp.145-164
    • /
    • 2018
  • 본 연구는 콜센터 상담직원의 감정노동 직무특성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직무소진과 심리적자본의 역할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콜센터 상담사의 이직의도를 낮출 수 있는 방법으로 셀프리더십의 역할을 실증분석을 통해 검정한다. 본 연구의 목표는 첫째, 콜센터 상담사의 감정노동 직무특성이 직무소진과 심리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한다. 둘째, 콜센터 상담사의 직무소진과 심리적 자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한다. 끝으로 상사의 셀프리더십의 역할을 검정하기 위해 콜센터 상담사의 직무특성, 직무소진, 심리적 자본 및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칠 때 셀프리더십이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를 검정한다. 연구결과 표면행위와 긍정규범은 직무소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시간적압력, 자율성결여, 공간적제약은 콜센터 상담사의 직무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소진은 이직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셀프리더십은 공간적 제약이 직무소진에 영향을 미칠 때 유의한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과 생활만족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고용형태의 조절효과 분석 (The Effects of Work and Life Satisfaction on the Turnover Inten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Employment Type)

  • 이수아;강순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600-611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한국노동패널 데이터를 이용하여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임금근로자의 일 만족도, 생활만족도와 이직의도의 영향관계와 고용형태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직무만족도가 높으면 이직의도는 감소하였으나 직무환경만족도와 생활만족도는 높을수록 이직의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직무환경에 만족할수록 자신이 가진 경험, 경력 등을 활용하여 더 나은 기회를 찾고자 하는 경향이 더 높기 때문이거나 또는 자유로운 일자리를 선호하는 직업가치 변화가 반영되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생활만족도가 높으면 이직의도가 증가하는 것은 직무 이외 생활에 만족할수록 근무환경 등에 대한 기대치가 높아 이직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통제변수로서 연령이 높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정규직이면 이직의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직무만족도, 직무환경만족도, 생활만족도와 정규직 여부와의 상호 작용항은 모두 유의하여 고용형태가 조절효과를 가짐을 보여주고 있다. 정규직 여부는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 관계에서 양의 조절효과를, 직무환경만족도 및 생활만족도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는 음의 조절효과를 보이고 있다. 직무만족도와 정규직 자체는 이직의도를 낮추나 두 변수가 통제된 이후 정규직이라면 오히려 새로운 직장 구직가능성도 높아져 이직의도에는 양의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직무환경만족도와 생활만족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양의 영향에 정규직이 음의 조절효과를 보인다는 것은 그나마 정규직이라는 신분이 직무환경만족도와 생활만족도가 이직의도를 높이는 효과를 줄여준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직무만족도, 직무환경만족도, 생활만족도와 이직의도의 관계, 또한 정규직 여부의 조절효과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결과는 측정변수의 한계 등에서 비롯된 것일 수도 있기에 추후 지속적인 심층적 연구가 필요하다.

감정 노동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행복감의 매개 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 효과 : 면세점 판매사원 대상 연구 (Influence of Emotional Labour on Turnover Intention : Mediation Effect of Flourishing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 최정우;정승철
    • 벤처혁신연구
    • /
    • 제5권1호
    • /
    • pp.39-58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서울 한 시내 면세점에 근무하고 있는 판매종사자들 323명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감정 노동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적 지지'를 통한 '행복감'의 매개된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감정 노동, 이직 의도, 행복감 및 사회적 지지 등의 변인 간의 관계를 연구하고 이에 활용된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SPSS 22.0과 SPSS PROCESS MACRO(V.2.16.3)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서 도출한 몇 가지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러 변인 간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감정 노동은 이직 의도와는 유의미한 정적(+)상관관계를 행복감 및 사회적 지지와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감정 노동과 이직 의도와의 관계에 있어서 행복감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였다. 셋째, 감정 노동이 이직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있어 행복감은 매개변수의 역할을 하고 사회적 지지는 매개변수에 조절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사회적 지지의 조절 효과는 감정 노동수준이 낮을 때보다 감정 노동수준이 높을 때 더욱 큰 효과를 지니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 면세점 판매종사자들의 감정 노동으로 인한 이직 의도를 낮추기 위해 제언 및 연구의 한계점 등을 제시하였다.

치과위생사의 직무수행능력이 정서적 노동평가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job performance of dental hygienists on emotional labor evaluation)

  • 이종렬;배수명;김혜진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835-847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job performance of dental hygienists on emotional labor evaluation. Methods: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203 dental hygienists working at dental hospitals and clinics in Gyeongnam and Busan from May 2014 and March 2015. The study instruments comprised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9 items), job performance competency (44 items), and emotional labor evaluation (29 items) by Likert 5 point scale. Data were analyzed by SPSS 21.0 program and AMOS 18.0 program. Results: Those who had turnover intention showed higher scores in the dental treatment cooperation category and overall job performance than those who had not. Higher job performance was shown in those who had more work experience and higher salary. The scores of emotional labor evaluation were higher in the group of higher salary and team and department leaders. The job performance had a significant impact of the emotional labor evaluation. Conclusions: The job performance of dental hygienist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emotional labor evaluation. Psychologic stress by work caused the dental hygienists to have depression and lower quality of life.

치과위생사의 감정노동에 대한 환자와 치과위생사의 상호인식비교 (Perceptual differences of emotional labor between dental hygienists and patients: An empirical examination of the co-orientation model)

  • 김선영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717-727
    • /
    • 2018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data on ways to facilitate effe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s and dental hygienists, to improve the job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ists, and to reduce the turnover rate among dental hygienists. Therefor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erception of dental hygienists' emotional labor was conducted targeting patients and dental hygienis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1 to September 20, 2018, from 367 participants, including 216 dental hygienists and 151 patients residing in Gwangju, Jeonnam. Using the co-orientation model, their perception of dental hygienists' emotional labor was analyzed through the independent t-test and paired t-test. Results: With reference to objective consistency, patients showed a higher perception of dental hygienists' emotional labor than dental hygienists did, indicating that the former perceived the emotional labor more negatively. Regarding accurac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ntal hygienists' response to six questions, while the same was observed for 11 questions for patients. Thus, the accuracy of dental hygienists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patients. Conclusions: To help dental hygienists perform dental health prevention activities more actively, consistently, and happily, and to establish commitment and professionalism in dental hygienists to enhance national dental health. Additionally, it would be necessary to sustain continuous research interest on measures for understanding the co-oriented relationship between patients and dental hygienists, and to solve the negative elements of dental hygienists' emotional labor.

Multi-family Residential Construction Management Practice in the U.S.

  • Cho, Namho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1254-1254
    • /
    • 2022
  • The Multi-family Residential is one of the most famous building types for a rental property in the US. Often times it includes multiple residential buildings and some amenity facilities, including a clubhouse or leasing office, swimming pool, dog park, and garages. Since the building type is built for rental purposes, the construction planning is phased and it makes the project complicated. Detailed planning and execution are important for successful construction management. This paper provides some management practices that are applied to one of the multi-family residential construction projects in Phoenix, AZ. The Front End Planning (FEP) process performed by both owner and contractor is the first key to a successful construction project. Specifically, the early review of phased turnover strategy, grading, fire/Americans with Disabilities Act (ADA) compliance, and Mechanical/ Electricity/Plumbing/Technology (MEPT) will provide absolute benefit to the project. Second, using a scheduling method to control short-term schedules and long-term can provide the ability to manage the issues with agility. Third, material delivery and procurement dominate the both project schedule and cost. With this COVID-19 circumstance, it is hard to expect the material, equipment, and labor forces to be delivered on time with the contracted price. Managing floats are more than important to managing construction productivity. Risk management should work to share the risks fairly. Lastly, turnover is directly linked with the profit of the project for both owner and contractor.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owner and contractor to re-schedule the proper turnover schedule is important for the phased construction projec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