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bor Productivity

검색결과 726건 처리시간 0.033초

기술사 마당 - 기술자료 - 시스템 사고(思考)를 활용한 건설 산업의 노동생산성 모델 (Labor Productivity Model on Construction Industry Using System Thinking)

  • 장호면
    • 기술사
    • /
    • 제42권4호
    • /
    • pp.62-67
    • /
    • 2009
  • Labor productivity issues with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re receiving increasing attention. With the improvement in the standard of living, domestic laborers are avoiding 3D (Difficult, Dirty, and Dangerous) jobs by degrees. Because of this situation, the problem of insufficient labor is exacerbating in several basic industries. In particular, insufficient labor is a serious problem in the construction sector, where the workers are ageing and labor costs are increasing. In this study, we adopt a systematic approach to identify factors that influence labor productivity and analyze the causality between the factors and their ripple effects with the aim that the results of the study will help improve labor productivity and ensure its effective management.

  • PDF

사업체 근로자의 연령구성이 생산성과 인건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workforce Age Structure on Productivity or Labor Costs)

  • 김기민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7권1호
    • /
    • pp.123-138
    • /
    • 2018
  • 본 연구는 한국노동연구원의 사업체패널조사 1-5차년도 자료와 행정자료인 "고용보험 DB"를 결합하여 구축한 "사업체-근로자 연계자료"를 활용하여 사업체 근로자의 연령구성과 생산성 및 인건비와의 관계를 실증분석 하였다. 사업체의 생산성은 1인당 부가가치로, 인건비는 1인당 노동비용으로, 사업체 근로자의 고령화 정도는 근로자의 연령구성으로 측정하였으며 동적패널모형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생산성과 인건비 모두 사업체의 35-39세 연령대 근로자의 비율을 중심으로 역U자의 모습을 보였다. 즉, 35-39세 연령대 근로자 대신 더 젊은층의 근로자 혹은 더 고령층의 근로자 비중이 증가하는 경우 생산성 및 인건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35-39세 연령대 근로자 대신 50세 이상 연령대 근로자가 증가할 때의 생산성 추정계수와 인건비 추정계수와의 차이가 30세 미만 연령대 근로자가 증가할 때의 생산성 및 인건비의 추정계수와의 차이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해 고령근로자의 생산성 저하에 대한 기업의 우려는 타당하나, 동시에 기업은 이미 인건비 조정 등의 방법을 통해 고령근로자를 효율적으로 활용해 왔음도 확인할 수 있다.

Selection of a Probability Distribution for Modeling Labor Productivity during Overtime

  • Woo, Sung-Kwon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49-57
    • /
    • 2005
  • Construction labor productivity, which is the greatest source of variation in overall construction productivity, is the critical factor for determining the project performance in terms of time and cost, especially during scheduled overtime when extra time and cost are invested.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select an appropriate type of probability distribution function representing the variability of daily labor productivity during overtime. Based on the results of statistical data analysis of labor performance during different weekly work hours, lognormal distribution is selected in order to take advantage of easiness of generating correlated random numbers. The selected lognormal distribution can be used for development of a simulation model in construction scheduling, cost analysis, and other applications areas where representation of the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are essential.

항만기술인력의 교육제도 개선방안 (A Study on the Education System of Port Labor in Pusan Port)

  • 박남규;남율수
    • 한국항만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261-268
    • /
    • 1998
  • The productivity of port labor in Pusan port is very low and the ratio of port accident is high in comparision with other advanced foreign ports. The aim of this paper is to find why the productivity in Pusan port is much lower than that of other countries in terms of port labor education systems. To obtai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he writers used 163 questionnaire for port labor in BCTOC, PECT and UTC for the survey of training method of cargo equipment handling.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as follows; (1) From the fact that ratio of labor who were trained by KPTI was 2.5%, we could say the public training system of port labor is not operated properly (2) As most of laborers are trained by the experienced associate, they do not recognize how the level of cargo handling equipment is set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3) In order that the port public training system plays a good role in port industry, a new license system should be introduced and an expert education system should be developed.

  • PDF

노동시장 이중구조가 노동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OECD 국가를 중심으로 (The Impact of Dual Labor Markets on Labor Productivity: Evidence from the OECD)

  • 최광성;이지은;최충
    • 경제분석
    • /
    • 제25권3호
    • /
    • pp.1-29
    • /
    • 2019
  • 본고에서는 OECD 회원국(2018년 현재 총 36개국) 중 29개국을 대상으로 상용직·임시직 고용비중 변화가 노동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이 때 자영업자도 함께 고려함으로써 상용직 및 임시직 대비 노동생산성을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는 1990-2015년 동안 OECD 29개국의 국가별 불균형(unbalanced) 패널자료를 이용하여 통상최소자승법(OLS), 고정효과(fixed effect) 분석, 일반화된 적률법(이하 GMM), 동태적 패널 GMM 등 다양한 방법으로 고용형태 변화가 노동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를 보면, 각 추정 방법에 따라 약간 차이는 있으나 상용직 비중 증가가 노동생산성 증대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이 자영업, 임시직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임시직 근로자 비중이 노동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은 상용직에 비해 상당 폭 낮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노동시장 이중구조가 심화되면 노동생산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A Case Study on Productivity Analysis and Methods Improvement for Masonry Work

  • Chang, Chul-Ki;Yoo, Wi Sung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72-381
    • /
    • 2013
  •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 great deal of research has been focused on productivity improvement because a minor change in labor productivity can often make the difference between a profit and a loss. This study shows how productivity measurement methods can be applied in practice, step by step, to analyze and identify potential problems both in productivity and methods performance for masonry work. A work sampling technique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nature and extent of an observable activity as an aid to measuring overall performance. Also, a method productivity delay model was used to identify non-productivity in individual cycle times. From the work sampling technique, it was found that the masonry crew had a Labor Utilization Factor of 47.1%, and from the videotap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material and dumpster location need to be adjusted to reduce the travelling distance. We have found that efforts to improve the productivity of masonry work should be focused almost exclusively on machine and labor delays, based on the result from the method productivity delay model.

IPA를 이용한 건설 현장별 노동생산성 저해요인 비교 (A Comparative Analysis of Hindrance Factors to Labor Productivity in Each Construction Site Using the IPA)

  • 정재호;이석원;안병주;지남용;김재준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5권6호
    • /
    • pp.71-82
    • /
    • 2014
  • 우리나라 건설 현장에서는 인적요소인 건설근로자들의 경험과 행동에 따라 노동 생산성이 좌우된다. 건설현장의 노동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노동생산성을 저해시키는 잠재적인 요인들에 대한 전략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하지만 기존의 노동생산성 관리는 사전에 잠재적인 저해요인들을 도출하여 전략적으로 관리계획을 세우기보다는 현장에서 발생하는 현재적인 저해요인들만을 관리하는데 치중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잠재적인 원인을 파악하는데 용이한 IPA를 이용하여 현장별 건설근로자의 노동생산성 저해요인을 비교분석하고자 하였으며, 근로자의 경제적인 문제에 대한 불만뿐만 아니라 근로자의 고용불안과 취약한 근로조건에 대해서 보호받고 있다고 느끼지 못하는 현실적 문제점을 파악 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현장관리자에게 실질적이고 현장에 적합한 관리측면의 전략적 시사점을 제시하며, 현장의 특성에 따라 노동생산성 향상의 중 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OECD 국가의 건설업 노동생산성 비교 및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Construction Labor Productivity in OECD Countries)

  • 박환표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75-185
    • /
    • 2023
  • OECD 국가를 대상으로 건설업의 노동생산성을 분석한 결과, 한국 건설업의 2019년 취업자당 노동생산성은 PPP 적용시 주요 선진국보다 낮은 수준이다. PPP 적용시 상대국을 100 기준으로 했을 때, 미국의 76.9, 일본의 88.4, OECD 평균의 85.1로 미흡한 수준이다. 특히 OECD 국가의 2019년도 건설업 취업자당 노동생산성을 분석한 결과, 한국은 25위 수준으로 OECD 35개 국가에서 차지하는 순위는 낮은 수준이다. OECD 국가의 건설시장규모와 건설업 노동생산성을 비교·분석한 결과, 건설시장규모가 큰 국가가 건설업 노동생산성이 높다고는 볼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건설업의 노동생산성을 향상 시키기 위해서 첫째, 스마트 건설기술을 건설현장에 접목하여 적극 활용하는 방안, 둘째, 건설현장 작업보다는 OSC 기술로 공장작업을 통한 현장 설치작업의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모듈러 공법, 기술개발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하였다. 향후에는 첨단 로봇과 공장자동화를 통한 탈현장 생산방식 및 모듈 개발을 확대하면, 건설산업도 제조업과 같은 생산방식의 개편으로 노동생산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기업의 노동생산성 향상을 위한 분석연구 (An Analytical Study for the Labor Productivity Improvement of Enterprise)

  • 김종래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35-42
    • /
    • 1981
  • This paper grasped the labor productivity actual condition by the standard of per unit working hour and production about the main products of our country's industrial the main materials and could understand the average of our country's labor productivity as compared this with the labor productivity actual condition of Japan. As the point at issue of analitical result. 1. Low a matter of thinking about productivity. 2. Have a lot of difficult problem in an industrial part. 3. Have the point at issue on technical development and accumulation. 4. Have the point at issue on management. As a countermeasure about these. 1. must convert the way of use of industrial policy. 2. must make a housing development and special serialization of a small and medium enterprise. 3. must establish an organic technical development system. 4. must grope the policy of management rationalization.

  • PDF

노동력 고령화가 노동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우리나라 지역별 패널통계 활용 (The impact of Workforce Aging on Labor Productivity: Using the Regional Panel Dataset in Korea)

  • 정용훈;이성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1호
    • /
    • pp.1-7
    • /
    • 2019
  • 본 연구는 1995년부터 2017년까지의 16개 지방자치단체 지역별 패널통계를 활용하여 노동력 고령화가 노동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지역별 고정효과와 다양한 조정변수들을 고려한 패널회귀분석 결과에서 총취업자 중 60세 이상의 취업자 비중으로 정의한 노동력 고령화는 노동 생산성에 매우 일관되고 유의한 음(-)의 효과를 주며, 부정적인 효과의 크기는 노동력 고령화가 1% 증가할 때마다 노동 생산성이 약 0.14 ~ 0.20%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조정변수로 고려된 1인당 자본스톡과 인적자본은 노동 생산성이 증가하는데 많은 기여를 하고, 경기변동의 대리변수인 실업률은 예상과 같이 노동 생산성에 유의한 음(-)의 효과를 미치며, 비록 유의하지는 않지만, 전체 산업 중 서비스업의 비중을 의미하는 산업구조의 계수가 양(+)의 값을 보이지만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노동력 고령화로 예상되는 노동 생산성의 감소를 억제하기 위해 인적자본을 유지 및 확충할 수 있는 경제 및 교육정책의 설계와 구축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